총 4,740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백조》의 공간 표상과 초월적 인식
-
노춘기;
강남대학교;
(우리어문연구,
v.0,
2024,
pp.7-31)
-
992
-
『개벽』에 나타난 1920~1930년대 인도에 대한 조선의 인식
-
문예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역사교육과;
(남아시아연구,
v.29,
2024,
pp.95-123)
-
993
-
亡國 이후 深齋 曺兢燮과 耕齋 李建昇의 교유 일면
-
전송희;
부산대학교;
(동양한문학연구,
v.70,
2025,
pp.167-198)
-
994.
- 19세기-20세기 초 아제르바이잔 민족의식의 형성 과정
- 제리페 이스마일로바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91 p., 2025
-
995
-
식민지시기 책시장의 동향과 지식・문학의 관계(3): 1930년대 후반기의 문학중심주의
-
유석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민족문학사연구,
v.0,
2022,
pp.87-126)
-
996
-
시라카바(白樺)』의 미술지로서 전개 양상 - 1910년 전후의 문예지와 비교 고찰 -
-
문형자;
전북대학교;
(日本語文學,
v.1,
2023,
pp.329-349)
-
997.
- 규합총서(閨閤叢書)의 민속 관련 구비전승의 연구
- 김지현
-
전남대학교, 국내박사,
viii, 245 p., 2016
-
998
-
일제강점기 천도교 출판 매체 연구에 대한 통시적 고찰 - 『開闢(개벽)』을 중심으로 -
-
우수영;
경북대학교;
(동학학보,
v.0,
2024,
pp.43-72)
-
999
-
미술관 교육 관점에서 조명한 미술관 건축
-
이혜진;
성신여자대학교;
(예술교육연구,
v.22,
2024,
pp.357-376)
-
1000
-
『사민필지』의 집필 과정과 내용적 특징
-
안예리;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어사연구,
v.0,
2023,
pp.173-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