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1건 중 141건 출력
, 10/15 페이지
-
91
-
기록영상물의 공공재화와 영상역사 쓰기―‘제국-국민국가’ 서사를 넘어서
-
허은;
고려대학교;
(역사비평,
v.0,
2014,
pp.324-355)
-
92
-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과 문화냉전의 귀결
-
허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
v.0,
2023,
pp.489-526)
-
93
-
제1共和國 初期 對日 米穀輸出의 歷史的 배경과 성격
-
허은;
고려대학교;
(韓國史學報,
v.0,
2000,
pp.183-216)
-
94
-
베트남전쟁 시기 미국의 냉전정책 전환과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
-
허은;
고려대학교;
(韓國史學報,
v.0,
2023,
pp.123-155)
-
95
-
마산수출자유지역 초국적기업 자회사의 구조조정과 여성 노동의 유연화
-
허은;
부산대학교;
(여성학연구,
v.29,
2019,
pp.237-277)
-
96
-
‘부유한 노동자 도시’의 여성' - 울산과 창원 여성 일자리의 실태와 특성 -
-
허은;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지역사회연구,
v.28,
2020,
pp.87-113)
-
97
-
사회서비스 정책결정의 트릴레마와 노인돌봄노동의 저임금
-
허은;
창원대학교;
(산업노동연구,
v.25,
2019,
pp.195-238)
-
98
-
냉전시대 동아시아 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 네트워크’ 구축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은;
고려대학교;
(아세아연구,
v.60,
2017,
pp.104-143)
-
99
-
개인화와 성별분업: 패널 자료를 이용한 가족형성기 여성의 성역할 태도 분석
-
허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사회학,
v.51,
2017,
pp.47-78)
-
100
-
美軍政의 食糧 增産政策과 農村統制 - 비료 수급 문제를 중심으로
-
허은;
고려대학교;
(韓國史學報,
v.0,
1997,
pp.35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