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12건 중 412건 출력
, 10/42 페이지
-
91
-
노동은 어떻게 놀이가 됐는가? : 한국 MMORPG와 게임 판타지 장르소설에 나타난 자기계발의 주체
-
유인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v.0,
2019,
pp.79-106)
-
92.
- 뮤지컬 <위키드>의 판타지 무대 연출 연구
- 장인화
-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i, 148 p., 2021
-
93
-
로맨스 판타지 웹소설의 신계급주의와 서사 특징 -책빙의물과 회귀물을 중심으로-
-
권경미;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
v.0,
2022,
pp.109-140)
-
94
-
동양학 , 고증인가 방법인가 ? : 중국 환상문학의 역사와 이론 - 최근 판타지 소설의 흥기와 관련하여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중국어문학지,
v.0,
2000,
pp.137-147)
-
95
-
알라우네 전설과 대중매체의 수용 - 한스 하인츠 에버스의 판타지 소설 「알라우네」와 영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
천현순;
이화여자대학교;
(카프카 연구,
v.0,
2015,
pp.209-232)
-
96.
- 1920 - 30년대 주요섭의 아동문학 연구
- 전희은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105 p., 2012
-
97.
- 《창란결》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서사구조와 댓글 분석
- 왕재욱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91 p., 2024
-
98
-
문화콘텐츠에서 서사매체의 변용과 발전 전략 연구
-
허만욱;
;
(우리 文學 硏究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v.29,
2010,
pp.457-483)
-
99.
- 토니 모리슨의 『가장 푸른 눈』에 나타난 판타지의 파괴성과 그 극복
- 권임정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i, 73 p., 2013
-
100
-
소비에트 이데올로기에 대한 안티테제 텍스트로서의 ⟨잠입자⟩ -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판타지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소설로의 시나리오 변형과정에 대한 小考
-
박영은;
한양대학교;
(외국문학연구,
v.0,
2013,
pp.97-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