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건 중 188건 출력
, 10/19 페이지
-
91
-
金台俊의 「鄭寅普論」을 통해 본 解放前 爲堂 鄭寅普에 대한 評價
-
최재목;
;
(陽明學 = Yang-ming studies,
v.20,
2008,
pp.83-121)
-
92
-
「조선문학원류초본(朝鮮文學源流草本)」을 통해 본 정인보(鄭寅普)의 ‘조선문학’ 구상
-
김진균;
성균관대학교;
(반교어문연구,
v.0,
2015,
pp.35-62)
-
93
-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
조성산;
;
(역사와 담론 = History and discourse : journal of historical review,
v.56,
2010,
pp.471-508)
-
94
-
한국근대양명학에 관한 연구 현황과 전망
-
김세정;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v.42,
2018,
pp.119-178)
-
95.
- 한국선도의 홍익정치 전통과 삼균주의의 미래
- 소대봉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 국내박사,
214, 2025
-
96
-
근대기 현실인식 및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박한영, 이건방, 정인보를 중심으로-
-
김윤경;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
v.0,
2017,
pp.41-80)
-
97
-
An Essay on the Study of ‘Eol’ as Humanities spirit and the Korean ‘Shinmyung’ - focused on 『Damwon Jeong In-bo Complete Works』
-
이난수;
;
(陽明學 = Yang-ming studies,
v.37,
2014,
pp.109-141)
-
98
-
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변영만, 조긍섭과 정인보, 하겸진의 교유를 중심으로
-
김진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60,
2021,
pp.275-300)
-
99
-
근대 유교지식인의 주체 인식과 사회적 구현의 문제-정인보의 ‘감통(感通)’론을 중심으로
-
박태옥;
대전대학교;
(동서철학연구,
v.0,
2021,
pp.165-190)
-
100
-
후기 하곡학파의 진가론(眞假論)과 실학(實學)
-
김윤경;
한국전통문화대;
(유학연구,
v.42,
2018,
pp.83-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