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5건 중 325건 출력
, 10/33 페이지
-
91
-
‘변경’의 포효하는 목소리—일본 언더그라운드 힙합과 마이너리티의 시학—
-
정창훈;
동국대학교;
(日本思想,
v.0,
2024,
pp.175-206)
-
92
-
동아시아 서적교류 현존자료의 사례와 유형―일본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 조선간본과 조선본 간행자료―
-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日本學硏究,
v.73,
2024,
pp.59-91)
-
93.
- 조선후기 통신사행문학 <해유록(海游錄)> 연구 : 대일(對日) 인식의 개방적 면모와 문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 박희문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ⅳ, 100 p., 2016
-
94.
- 朝鮮譯學考
- 임동석
-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국외박사,
6, 564p., 1992
-
95
-
‘강화양명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정리 - 관련 주요 문화사적 도표, 연표를 중심으로
-
최재목;
이상훈;
;
(陽明學 = Yang-ming studies,
v.16,
2006,
pp.83-118)
-
96
-
이광수의 사회심리학적 문학론과 ‘퇴화’의 효과 - 「문사화 수양」을 중심으로
-
이재선;
;
(西江人文論叢 = Humanities journal,
v.2008,
2008,
pp.253-295)
-
97
-
현대 한국 장묘문화에 있어 일본식 화장ㆍ납골의 영향과 그 문제점
-
김시덕;
;
(韓國民俗學= The Korean folklore,
v.43,
2006,
pp.115-148)
-
98
-
1978년 귄터 그라스의 방일과 일본의 귄터 그라스 수용 ― 《양철북》의 작가, 비판적 지식인
-
양아람;
고려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0,
pp.549-591)
-
99
-
1960년대 펄 벅(Pearl S Buck)의 일본방문과 일본의 펄 벅 수용 ― 『대지』의 작가, 혼혈아의 어머니
-
양아람;
고려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0,
pp.423-464)
-
100
-
‘국어’ 교과서의 탄생과 근대 민족주의 -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
-
강진호;
;
(상허학보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v.36,
2012,
pp.257-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