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건 중 159건 출력
, 10/16 페이지
-
91
-
마늘설기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
이효지;
이은선;
한양대학교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v.2004,
2004,
pp.133-133)
-
92
-
결핵균 H37Rv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서 면역 반응에 대항하는 Mtb 유전자의 발현 변화
-
이효지;
조정현;
강수진;
정유진;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의료.바이오 신소재 융복합 연구사업단;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의료.바이오 신소재 융복합 연구사업단;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의료.바이오 신소재 융복합 연구사업단;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의료.바이오 신소재 융복합 연구사업단;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2010,
pp.134-139)
-
93
-
백합가루 첨가량에 따른 백합병(百合餠)의 관능적ㆍ텍스쳐 측정
-
이효지;
정낙원;
신수진;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배화여대 전통조리과;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0,
2004,
pp.480-488)
-
94
-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HPLC에 의(依)한 면실(綿實), 대두(大豆), 호마(胡麻), 소마(蘇麻), 옥배(玉胚) 및 채종유(菜種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關)하여-
-
고영수;
장유경;
이효지;
한양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12,
1979,
pp.43-49)
-
95
-
신선초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
이효지;
이은미;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v.2004,
2004,
pp.134-134)
-
96
-
느티떡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
이효지;
백현남;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v.2003,
2003,
pp.73-73)
-
97
-
'제민요술(濟民要術)'에 수록된 식품가공법 연구보고(II) -팔화제-
-
윤서석;
윤숙경;
조후종;
이효지;
안숙자;
안명수;
서혜경;
윤덕인;
임희수;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韓國食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v.6,
1991,
pp.137-140)
-
98
-
'제민요술(齊民要術)'에 수록된 식품조리가공법 연구보고(4) -어자.포(脯).석.갱(羹).학.증(蒸).부-
-
윤서석;
윤숙경;
조후종;
이효지;
안명수;
안숙자;
서혜경;
윤덕인;
임희수;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음식문화비교연구회;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6,
1990,
pp.85-97)
-
99
-
송화설기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TEX>$ cdot$</TEX>텍스쳐 특성
-
이효지;
김하정;
차경희;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전주대학교 전통음식문화;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2005,
pp.505-513)
-
100
-
마늘설기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TEX>$ cdot$</TEX>텍스쳐 특성
-
이효지;
이은선;
차경희;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전주대학교 문화관광대학 전통음식문화전공;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2005,
pp.180-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