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59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이병곤李炳鯤의 질병과 한의학 치료 —『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1906~1948)를 중심으로
-
손경희;
금오공과대학교;
(국학연구,
v.0,
2023,
pp.299-331)
-
92
-
『송강가사(松江歌辭)』에 대한 가람 이병기의 비평과 정전화(正典化)의 실제
-
김윤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
v.0,
2013,
pp.81-107)
-
93
-
시조발생 담론의 전개양상과 지향점
-
조규익;
;
(時調學論叢 =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
v.27,
2007,
pp.237-262)
-
94
-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
권정은;
경원대학교;
(한국시가연구,
v.29,
2010,
pp.305-330)
-
95
-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격조론(格調論)’의 의미 연구 - 김억과 이병기를 중심으로
-
서진영;
경희대학교;
(한국현대문학연구,
v.0,
2009,
pp.289-318)
-
96
-
시조의 해석정전 형성에 관한 연구 - 이병기·신석정의 『명시조 감상』(1958)을 중심으로
-
강영미;
신경숙;
고려대학교;
한성대학교;
(한국어문교육,
v.0,
2023,
pp.83-113)
-
97
-
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
-
권성훈;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56,
2012,
pp.29-53)
-
98
-
이병기의 한글 문예운동에 대한 일고찰 -이념성과 심미성의 괴리 양상을 중심으로
-
전도현;
고려대학교;
(한국근대문학연구,
v.1,
2009,
pp.95-122)
-
99
-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ASP) 모델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12,
2001,
pp.25-42)
-
100
-
근대 홍콩을 향한 진암 이병헌의 시선과 공간 인식 고찰– 『중화유기(中華遊記)』를 중심으로
-
한길로;
吉林大學;
(로컬리티 인문학,
v.0,
2022,
pp.8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