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8건 중 378건 출력
, 10/38 페이지
-
91.
- 이문구의『冠村隨筆』연구
- 한선희
-
충남대학교, 국내석사,
82 p., 2006
-
92
-
이문구 초기 소설에 나타난 서발턴의 담화 전략
-
장성규;
건국대학교;
(겨레어문학,
v.0,
2024,
pp.253-278)
-
93
-
박정희 정권의 가족계획사업과 문학적 대응 양상 연구-1960~70년대 남정현, 이청준, 이문구 소설을 중심으로
-
구자연;
서울대학교;
(구보학보,
v.0,
2023,
pp.465-509)
-
94.
- 이문구의 농촌소설 연구 : 『우리 동네』를 중심으로
- 한상준
-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58p., 2000
-
95
-
이문구 문학의 시원
-
김정숙;
충남대학교;
(비평문학,
v.0,
2007,
pp.7-26)
-
96
-
The Power of Stories Moving towards the Discovery of the People Spirit : The Novel 『Gwanchon Supil』 by Lee Mun-gu
-
Oh, Chang Eun;
;
(교양학연구 =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18,
2022,
pp.351-389)
-
97
-
전으로서의 소설과 전통의 미학 - 이문구의 『매월당 김시습』읽기
-
양진오;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13,
2009,
pp.365-388)
-
98
-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토포필리아의 수사학-심리적 실향의식을 중심으로
-
신재은;
동서울대학교;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15,
2011,
pp.229-256)
-
99
-
‘떠남’과 ‘돌아옴’을 통한 고향의 재인식 과정 - 이문구의 『관촌수필』연구
-
강찬모;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12,
2008,
pp.345-368)
-
100
-
공동체의 기억을 보존하는 방법 - 이문구의 『관촌수필』
-
차승기;
조선대학교;
(현대문학의 연구,
v.0,
2024,
pp.187-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