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1건 중 161건 출력
, 10/17 페이지
-
91
-
1980-90년대 한국화의 수묵추상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와 시각문화,
v.0,
2014,
pp.150-171)
-
92
-
서화가 황씨 사형제의 작품세계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동양고전연구,
v.0,
2008,
pp.437-470)
-
93
-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석당논총,
v.0,
2011,
pp.55-90)
-
94
-
‘신금강산도’의 동시대적 표상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美術史論壇,
v.0,
2013,
pp.141-165)
-
95
-
개화기 米芾故事圖 주제의 표현양상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美術史論壇,
v.0,
2014,
pp.61-85)
-
96
-
정원 속의 작은 정원 — 조선후기 盆景애호와 園林畵의 분경 —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동방학,
v.0,
2009,
pp.401-440)
-
97
-
1980~90년대 현대 한국화의 통섭-황창배(1947~2001)가 창출한 ‘지필묵’의 경계 확장-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
v.26,
2014,
pp.157-185)
-
98
-
1950년대 전통화단의 ‘인물화’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
v.28,
2015,
pp.137-172)
-
99
-
오오카 슌보쿠(大岡春卜, 1680-1763)의『명조자연(明朝紫硯)』 연구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보,
v.0,
2015,
pp.215-235)
-
100
-
조선후기의 野外雅會圖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보,
v.0,
2005,
pp.5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