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1건 중 151건 출력
, 10/16 페이지
-
91
-
백두산: 만들어진 전통과 표상
-
박계리;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보,
v.0,
2011,
pp.43-74)
-
92
-
5∼6세기 勿吉의 중심지와 徒太山
-
김락기;
;
(한국고대사연구,
v.0,
2009,
pp.201-237)
-
93
-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요소의 역사지리적 특징 비교 고찰
-
최원석;
경상대학교;
(南冥學硏究,
v.0,
2014,
pp.231-270)
-
94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화산재-시멘트 블록의 강도예측
-
장동수;
이충원;
박성용;
박순지;
김용성;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강원대학교 석재복합건설신소재연구소;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한국방재학회 2014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v.2014,
2014,
pp.251-251)
-
95
-
시나리오에 따른 백두산 천지의 외륜산 붕괴에 의한 홍수재해 모의
-
이길하;
김상현;
최은경;
김성욱;
대구대학교 토목공학과;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주식회사 지아이 지반정보연구소;
주식회사 지아이 지반정보연구소;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4,
2014,
pp.501-510)
-
96
-
한반도 주위 화산재해위험성과 연구동향
-
이승수;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단;
(한국방재학회 2013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v.2013,
2013,
pp.3-3)
-
97
-
초소형위성 STEP Cube Lab-II의 발사시간 변화에 따른 궤도 열환경 특성 분석
-
손민영;
오현웅;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15,
2021,
pp.89-97)
-
98
-
중국의 백두산 관광정책과 뉴패러다임
-
윤휘탁;
한경국립대학교;
(동북아역사논총,
v.0,
2024,
pp.383-425)
-
99
-
화산가스의 채취 및 분석에 대한 기술보고
-
이승열;
이상철;
양경희;
정훈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2012,
pp.415-429)
-
100
-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한 라하르 범람지역의 예측: 백두산 화산에 적용
-
윤성효;
장철우;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과;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2017,
pp.27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