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026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
양영자;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31,
2011,
pp.155-183)
-
92
-
전통민요의 자료 활용과 문화콘텐츠
-
이창식;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11,
2002,
pp.173-202)
-
93.
- 민요 소리꾼 이남조의 생애담 연구
- 홍미희
-
목포대학교, 국내석사,
ii, 55장, 2001
-
94
-
김영돈의 민요학 연구
-
이창식;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13,
2003,
pp.159-184)
-
95
-
“디아스포라” 민요와 민요의 “디아스포라”- 한국민요 ‘아리랑’과 아일랜드 민요 “대니 보이” 비교연구
-
조성원;
서울여자대학교;
(비교문학,
v.0,
2013,
pp.329-363)
-
96
-
통속민요 성주풀이 발생에 대한 고찰
-
이보형;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34,
2012,
pp.147-186)
-
97
-
부산지역 민요의 유형과 성격
-
박경수;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12,
2003,
pp.103-130)
-
98
-
Scaffolding을 적용한 민요 수업 방안 고찰
-
황부남;
이현주;
;
(남북문화예술연구,
v.9,
2011,
pp.107-146)
-
99
-
전남 화순 도장마을의 민요 전승과 밭노래마을 운영 실태
-
신은주;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36,
2012,
pp.199-236)
-
100
-
한ㆍ중(韓ㆍ中) 열두달 세시풍속민요 비교
-
권오경;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32,
2011,
pp.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