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643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근대적 영화관람문화의 등장과 공론장으로서의 영화관: 제도화 시기 독일 영화관을 중심으로
-
이주봉;
군산대학교;
(현대영화연구,
v.17,
2021,
pp.177-199)
-
92.
- 예술영화관 잠재관객개발을 위한 문화매개 활동에 관한 연구
- 김상아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국내석사,
iv, 81 p., 2016
-
93
-
한중 현대사회문화의 이해와 중국어문화교육 - 영화 “심플라이프”를 활용하여 -
-
정인숙;
남서울대학교;
(중국학논총,
v.0,
2019,
pp.301-321)
-
94
-
영화 〈신여성〉과 1930년대 상해 문화헤게모니 小考
-
申東順;
;
(中國小說論叢= (The)Journal of the research of Chinese novels,
v.26,
2007,
pp.341-357)
-
95
-
스페인에서 문화 브랜드로서의 한국 영화
-
양성혜;
고려대학교;
(스페인어문학,
v.0,
2008,
pp.293-312)
-
96
-
할리우드 영화와 미국의 정치문화: 영화 「매트릭스」에 나타난 천년왕국사상을 중심으로
-
장정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1세기정치학회보,
v.16,
2006,
pp.223-248)
-
97
-
문화생산의 글로벌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정책 패러다임의 모색 -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수;
;
(韓國 行政 學報,
v.42,
2008,
pp.27-48, 459)
-
98
-
'더 많은' 모두를 위한 영화 -배리어프리 영상과 문화적 시민권
-
이화진;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대중서사연구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v.25,
2019,
pp.263-288)
-
99
-
한국전쟁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
-
위경혜;
;
(대중서사연구,
v.0,
2010,
pp.337-364)
-
100
-
출동! 건강한 기업문화 - 언제나 즐겁고 편안한 영화가 넘치는 영화관 롯데시네마 김포공항관
-
최가영;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v.36,
2012,
pp.3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