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7건 중 157건 출력
, 10/16 페이지
-
91
-
중국 근대 여성해방 담론의 여성 배제 과정 고찰:『婦女雜誌』를 중심으로
-
김순진;
한신대학교;
(외국문학연구,
v.0,
2010,
pp.37-62)
-
92
-
천란(陳染) 글쓰기의 여성적 의미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학연구,
v.25,
2003,
pp.297-320)
-
93
-
다시 쓰는 여성의 서사 :-천란(陳染)의《개인생활(私人生活)》을 중심으로―
-
김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문논역총간,
v.0,
2004,
pp.225-242)
-
94
-
권정생과 황춘밍 동화 비교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어문논역총간,
v.0,
2014,
pp.243-265)
-
95
-
施蟄存과 朴泰遠의 도시인식
-
김순진;
한국외대;
(중국연구,
v.39,
2007,
pp.24-438)
-
96
-
거울 속의 공간, 상하이- 왕안이의 소설을 중심으로 -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학연구,
v.0,
2004,
pp.185-202)
-
97
-
장톈이 장편동화 속 환상세계의 의미망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어문논역총간,
v.0,
2017,
pp.157-180)
-
98
-
방정환과 예성타오 동화 비교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문화연구,
v.0,
2016,
pp.229-254)
-
99
-
韓少功의 《馬橋詞典》 읽기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문화연구,
v.0,
2011,
pp.121-148)
-
100
-
주어진 ‘평등’, 만들어가는 ‘차이’ ― 김미란, 『현대 중국 여성의 삶을 찾아서』(소명출판, 2009)
-
김순진;
한신대학교;
(중국현대문학,
v.0,
2009,
pp.295-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