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제146회 학술대회: 보한제 신숙주 선생 문화인물 선정 기념강연-조선 초기 대일 통교와 신숙주
-
한영국;
;
(語文 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v.30,
2002,
pp.395-409)
-
2
-
제146회 학술대회 :보한제 신숙주 선생 문화인물 선정 기념강연-신숙주의 음운학
-
강신항;
;
(語文 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v.30,
2002,
pp.349-375)
-
3
-
조선 신숙주의 중국어관
-
김태성;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연구,
v.14,
2002,
pp.181-197)
-
4
-
제146회 학술대회: 보한제 신숙주 선생 문화인물 선정 기념강연-신숙주의 시대와 문학-사대부적 문명의식의 현실화와 관련해 논함
-
임형택;
;
(語文 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v.30,
2002,
pp.377-394)
-
5
-
신숙주, 충·불충을 다시보다
-
나천수;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0,
2020,
pp.479-522)
-
6
-
A Study of Shin Sook-ju’s Interior tidying up Diplomacy
-
Park, Hyun Mo;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17,
2018,
pp.67-96)
-
7
-
조선 전기 격동기 신숙주의 정치적 역할과 그 의미
-
신병주;
건국대학교;
(동국사학,
v.0,
2020,
pp.233-266)
-
8
-
⟨신숙주 부인 일화⟩의 소환과 역사적 사실의 ‘이야기 만들기’
-
권순긍;
세명대학교;
(구비문학연구,
v.0,
2016,
pp.193-225)
-
9
-
⟨신숙주부인전⟩의 역사 수용 양상과 소설사적 의의
-
곽정식;
경성대학교;
(새국어교육,
v.0,
2009,
pp.609-632)
-
10.
- 세조대 申叔舟의 對女眞活動과 備邊對策
- 안선미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ⅳ, 77 p,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