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조선시대 박동량·송상기의 강진 유배 한시 연구
- 강현옥
-
전남대학교, 국내석사,
152, 2024
-
2
-
玉吾齋 송상기의 생애와 현실인식
-
김경수;
청운대학교;
(韓國史學史學報,
v.0,
2012,
pp.65-103)
-
3
-
玉吾齋 송상기의 생애와 현실인식
-
김경수;
청운대학교;
(韓國史學史學報,
v.0,
2012,
pp.65-103)
-
4
-
중남미 문학의 전개와 자유의 문제
-
송상기;
;
(세계문학비교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
v.23,
2008,
pp.293-315)
-
5
-
카를로스 데 시구엔사 이 공고라의 『알론소 라미레스의 불행』에 나타나는 바로크적 주체로서의 크리오요
-
송상기;
;
(외국문학연구= Foreign literature studies,
v.49,
2013,
pp.129-149)
-
6
-
순천제일대학 차량기계과 소개
-
송상기;
순천제일대학 차량기계과;
(自動車工學會誌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KSAE),
v.22,
2000,
pp.89-91)
-
7
-
메소아메리카의 미학
-
송상기;
;
(라틴아메리카연구 = Asian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v.13,
2000,
pp.5-24)
-
8
-
근대성과 바로크 - 까를로스 푸엔떼스, 옥따비오 빠스, 그리고 루삐노 따마요의 작품을 중심으로
-
송상기;
;
(라틴아메리카연구 = Asian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v.12,
1999,
pp.227-258)
-
9
-
후아나 수녀의 『신성한 나르키소스 El divino Narciso』를 통해 본 중남미 식민지 시대 바로크적 표상
-
송상기;
;
(외국문학연구= Foreign literature studies,
v.47,
2012,
pp.57-78)
-
10
-
『성역(Zona sagrada)』 : 삶과 죽음에 대한 희화적(戱畵的) 극한의 변주곡(變奏曲)
-
송상기;
;
(세계문학비교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
v.5,
2001,
pp.8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