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20건 중 620건 출력
, 1/62 페이지
-
1.
- 김준태 시 연구
- 천유철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198장 ;, 2024
-
2
-
정직의 시학 - 김준태론
-
류찬열;
;
(우리 文學 硏究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v.30,
2010,
pp.291-314)
-
3.
- 김준태 『나무의 말이 좋아서』의 한·중번역
- ZHANG JIE
-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 2020
-
4
-
Scars of War and the Journey to Unification in Kim Jun-tae’s Poetry
-
Cheon, Yu Cheol;
;
(통일인문학 =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v.100,
2024,
pp.315-346)
-
5
-
The meaning of “unification” in Juntae Kim’s poems
-
Lee, Sang-Sook;
;
(우리 文學 硏究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v.63,
2019,
pp.511-536)
-
6
-
정직의 시학 -김준태론-
-
류찬열;
중앙대학교;
(우리문학연구,
v.0,
2010,
pp.291-314)
-
7
-
오월의 시학 시론(試論) 연구: 김준태의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를 중심으로
-
전동진;
전남대학교;
(민주주의와 인권,
v.13,
2013,
pp.37-72)
-
8
-
김준태 시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과 통일의 길
-
천유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일인문학,
v.100,
2024,
pp.315-346)
-
9
-
김준태의 ‘불이(不二)의 시학’에 관한 시론(試論)
-
정민구;
전남대학교;
(문화와융합,
v.42,
2020,
pp.407-429)
-
10
-
오월의 시학 시론(試論) 연구 - 김준태의「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를 중심으로
-
Jeon, Dong-Jin;
;
(민주주의와 인권 =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
v.13,
2013,
pp.3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