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지역에서 만들어가는 전환의 기획들 - 구도완, 2009,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창비
-
정규호;
;
(에코 = ECO,
v.14,
2010,
pp.209-217)
-
2
-
녹색정치에 대한 질문은 충분히 뾰족한가? - 대화문화아카데미 바람과 물 연구소 기획, 구도완 외, 2013, 『녹색당과 녹색정치』, 아르케
-
김현우;
;
(에코 = ECO,
v.17,
2013,
pp.287-294)
-
3
-
녹색정치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구도완 지음. 2018. 『생태민주주의』. 한티재.
-
이정림;
충남대학교;
(ECO,
v.22,
2018,
pp.279-286)
-
4
-
개발주의를 비판하는 힘 있는 목소리 - 홍성태,『개발주의를 비판한다 : 박정희 체계를 넘어 생태적 복지사회로』(당대, 2006)
-
구도완;
;
(경제와 사회 = Economy and Society,
v.74,
2007,
pp.326-330)
-
5
-
한국 환경사회학의 쟁점
-
Ku, DoWan;
;
(경제와 사회 = Economy and Society,
v.100,
2013,
pp.273-291)
-
6
-
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
-
구도완;
;
(한국사회학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29,
1995,
pp.347-371, 468-469)
-
7
-
새로운 환경운동의 이론과 실천을 위하여 「환경, 쟁점과 그 과제」, 『동향과 전망』, 1994년 가을호 특집2, 녹두
-
구도완;
;
(동향과 전망,
v.24,
1994,
pp.317-326)
-
8
-
[특집/사회운동-노동,환경,시민]환경운동과 녹색정치
-
구도완;
;
(경제와 사회 = Economy and Society,
v.25,
1995,
pp.80-103)
-
9
-
[특집/사회영향평가 연구] 환경영향평가제도와 사회영향평가 - 제도도입과 발전 방안
-
구도완;
;
(에코 = ECO,
v.3,
2002,
pp.133-156)
-
10
-
댐을 넘어서 지역만들기로, 오비타니 히로아키 지음, 시민환경연구소 옮김, 2010, 『댐 건설을 둘러싼 환경운동과 지역발전』, 잉걸
-
구도완;
;
(에코 = ECO,
v.14,
2010,
pp.23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