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향기(香氣)
-
이경미;
동서대학교;
(중국학,
v.0,
2021,
pp.441-462)
-
2.
- 한국 고전 문헌의 장미 속(Rosa spp.) 식물 한자명 사용 분석
- 김소영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국내석사,
vii, 94장, 2019
-
3.
- 한·중 난초시의 난초 관련 소재 비교 연구
- 장설기
-
가천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 2016
-
4.
- 川端康成硏究 : 川端文學における傳統の世界
- 최순애
-
二松學舍大學, 국외박사,
212p., 2000
-
5
-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 감각(感覺)과 정조(情調)론을 중심으로
-
허혜정;
;
(한국어문학연구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56,
2011,
pp.301-334)
-
6
-
고전문학과 용인, 용인학
-
맹영일;
단국대학교;
(고전문학연구,
v.0,
2023,
pp.59-87)
-
7.
- 中國茶 品質 評價 方法에 관한 硏究
- 임충성
-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5, 60 p., 2007
-
8.
- 《本草衍義》에 수록된 黃蠟沈의 異名과 기원, 생성기전, 성상, 효능
- 하재진
-
동의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23 p., 2022
-
9
-
李睟光의 梅花詩 考察
-
김재룡;
;
(우리 文學 硏究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v.27,
2009,
pp.43-70)
-
10.
- Dead-time effects in photon counting
- Cho, Doo Jin
-
University of Rochester, 국외박사,
xv, 158 p.,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