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신구문화사
-
1.
- 박재삼 시 자세히 읽기-『춘향이 마음』(신구문화사, 1962)을 중심으로
-
김혜련 |
한국문학연구소 |
한국문학연구 |
(21)
|
pp.299~320 |
1999.12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0
-
2.
- <書評> 최성환, 『영·정조대 탕평정치와 군신의리』, 신구문화사, 2020.
-
김용흠 |
역사교육연구회 |
역사교육 |
(156)
|
pp.345~359 |
2020.12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1
-
3.
- 조선후기 사상사와 실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 –유봉학, 『실학과 진경산수』(신구문화사, 2013)–
-
조성을 |
한국역사연구회 |
역사와 현실 |
(89)
|
pp.405~434 |
2013.09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3
-
4.
- 조선과 다른 고려의 읍치를 말하다-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
박성현 |
한국중세사학회 |
한국중세사연구 |
(43)
|
pp.355~370 |
2015.12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0
-
5.
- 1960년대 일본번역문학의 수용과 전집의 발간-신구문화사 <일본전후문제작품집>을 중심으로
-
이종호 |
대중서사학회 |
대중서사연구 |
21
(2)
|
pp.7~38 |
2015.08 |
학제간연구
- 피인용횟수 : 9
-
6.
- 전후 신진시인들의 ‘세계’ 인식과 ‘시’의 이념 - 『세계전후문제시집』(신구문화사, 1962)을 중심으로
-
김양희 |
한국문학언어학회 |
어문론총 |
(68)
|
pp.187~224 |
2016.06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3
-
7.
- 한국 중세인들의 풍수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 - 장지연, 『고려 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신구문화사, 2015)
-
이강한 |
한국역사연구회 |
역사와 현실 |
(101)
|
pp.345~360 |
2016.09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0
-
8.
- 역사적 관점에서 풀어낸 고려와 조선의 국도풍수론-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신구문화사, 2015)-
-
김기덕 |
한국중세사학회 |
한국중세사연구 |
(44)
|
pp.323~331 |
2016.02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0
-
9.
- 고려의 국정운영과 국왕권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 ??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박재우, 신구문화사, 2005) ―
-
이정훈 |
한국역사연구회 |
역사와 현실 |
(59)
|
pp.313~324 |
2006.03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0
1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