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하나
총 1,745건 중 1,745건 출력
,175/175페이지
-
1741.
- 우리 안의 ‘과거’, 1960년을 낯설게 혹은 다르게 읽는 법 ―권보드래·천정환 저, 『1960년을 묻다』(천년의상상, 2012)와 이하나,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푸른역사, 2013)의 문화사적 함의들―
-
공임순 |
한국역사연구회 |
역사와 현실 |
(92)
|
pp.389~417 |
2014.06 |
역사학
- 피인용횟수 : 0
-
1742.
- 감각의 목적과 자연의 기술 ‒데카르트 6성찰의 문장 “감각들 속에는 신의 측량할 수 없는 힘과 선함을 증명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발견되지 않는다”(AT VII, 87, 26-28)에 대한 해석의 한 시도‒
-
이재훈 |
한국철학회 |
철학 |
(150)
|
pp.111~133 |
2022.02 |
철학
- 피인용횟수 : 1
-
1743.
-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의 경륜 안에서 신실한 성경읽기 - 칼빈(John Calvin)의 『기독교강요』와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의 Essays and Aphorisms 에 나타난 ‘읽기의 인간학’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해 본 현 한국교회의 성경 읽기에 대한 비판적 반성-
-
정건 |
개혁신학회 |
개혁논총 |
12
|
pp.175~204 |
2009.12 |
기독교신학
- 피인용횟수 : 0
-
1744.
- 피해자의 자손행위를 이용한 간접정범의 인정여부 ―간접정범과 자수범의 이해구조 : 하나의 이단적 고찰― ―간접정범과 자수범에 관한 독일이론의 맹신적 추종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저항― ―동일과 비동일의 동일/동일과 비동일의 비동일― ―자수범론에서 말하는 ‘간접정범’과 간접정범론에서 말하는 ‘간접정범’의 의미차이와 간극― ―자수범과의 작별: 아듀 자수범!―
-
이용식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
형사판례연구 |
30
|
pp.1~61 |
2022.07 |
형사정책
- 피인용횟수 : 5
-
1745.
- 청대 비학은 서예사에서 하나의 이정표로, 중국 서예 발전사의 전환점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는 물론 동아시아 서예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청나라 중엽부터 금석 고증학이 대성하기 시작하여, 옹방강(翁方纲), 완원(阮元), 포세신(包世臣), 강유위(康有为)등 명가들이 저술하여 비학을 제창하였다. 이때 홍대용(洪大容), 박제가(朴齐家), 강세황(姜世晃), 김정희(金正喜) 등 조선의 많은 사자와 학자들이 중국을 방문하여 청나라의 건가학파(乾嘉学派)와 깊이 있는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는 조선의 금석비학과 서예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중국 서예의 대외 전파와 유변학적 관점에서 청대 비학의 조선 후기 서예계에서의 전파, 수용 및 유변학을 분석하였다.
-
QIAN LEI |
한국서예학회 |
서예학연구 |
(46)
|
pp.265~281 |
2025.03 |
서예
- 피인용횟수 : 0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