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2
제1장 사회적 경제란 무엇인가
1. 사회적 경제의 역사적 발전 = 9
1) '사회적 경제' 시대의 배경 = 9
2) 사회적 경제의 역사적 발전 = 13
2. 제3섹터로서의 '사회적 경제' = 21
1) 국가, 시장, 사회적 경제 = 21
2) 사회적 경제와 비영리섹터 = 24
3) 사회적 경제, 제3섹터, 시민사회 = 26
3. '사회적 경제'의 개념정의 = 28
제2장 '사회적 경제' 조직의 유형
1. 정부-기업-제3섹터 분류 = 35
1) 3대 섹터 '수요와 공급' 모델 = 36
2) 3대 섹터 혼합의 '서비스 섹터' = 39
3) 3대 섹터 기반의 '사회적 경제' 조직 = 40
4)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의 분류 = 41
2. 결사체, 협동조합, 공제회, 재단 = 43
1) 사회적 경제=협동조합+공제화+결사체 = 44
2) 협동조합, 공제회, 결사체, 재단 = 46
3) 다양한 '결사체' 유형 = 47
3.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한 분류 = 51
1) 새로운 조직 유형의 등장 = 51
2)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한 분류 = 52
제3장 사회적 경제와 사회기업가
1. 사회적 경제의 사회적 목적 = 55
1) '사회적' 목적의 다원성 = 55
2) 사회적 경제와 시민권 = 62
2. 사회적 경제와 사회기업가 = 65
1) '사회기업가정신'의 시대 = 65
2) 사회기업가정신의 의미 = 69
3) 사회기업가의 특성과 역할 = 73
3. '사회기업가'와 파트너십 = 80
1) '사회기업가' 지원정책: 미국 사례 = 80
2) 영국의 서포터즈 트러스트 = 83
3) 캐나다의 '사회적 구매' = 87
4) 한국의 '노리단' 사회적 기업 = 90
제4장 사회적 기업과 기업가정신
1. 사회적 기업의 의미와 유형 = 97
1)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 97
2) 사회적 기업의 유형: 국가, 시장, 시민사회 = 102
3) 사회적 기업의 유형: 이해관계자 분류 = 104
4) 사회적 기업의 유형: 비즈니스 모델 분류 = 106
2.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제도 = 108
1) 사회적 기업의 다원적 특성 = 108
2)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 = 114
3) 사회적 기업의 당면과제 = 116
3. 정부의 '사회적 기업' 정책 = 119
1) 영국의 '사회적 기업' 정책 = 119
2) 스웨덴의 '사회적 기업' 복지정책 = 124
3) 한국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 = 131
제5장 사회적 경제와 정부정책
1. 정부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41
1) 파트너십 유형과 유럽 사례 = 141
2) 미국의 '제3자 정부' 정책 = 147
2. 영국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50
1) 정부-제3섹터 파트너십의 발전 = 150
2) 정부의 제3섹터 지원정책 = 155
3) 제3섹터 재정지원과 육성정책 = 159
4) 지방 공동체와 공공서비스 전환 = 162
3. 캐나다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67
1) 사회적 경제 정책의 발전 = 167
2) 정부-제3섹터 공조의 협약 = 172
3) 퀘벡 사회적 경제의 제도화 = 175
제6장 사회적 경제와 복지정책
1. 사회적 경제와 복지 파트너십 = 181
1) 복지국가와 사회적 경제 = 181
2) 복지혼합과 복지 파트너십 = 188
3) 사례: 스웨덴의 제3섹터 파트너십 = 195
2.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 199
1) 사회서비스 유형 = 199
2) 사례: 캐나다의 사회서비스와 사회적 경제 = 203
3. 사회적 경제와 노동시장정책 = 209
1) 사회적 경제와 고용보험의 발전 = 209
2) 사례: 독일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212
3) 비공식 경제와 노동 유연성 = 222
제7장 사회적 경제는 대안인가?
1. 사회적 경제는 지속가능한가? = 227
2. 복지국가와 시장경제의 대안인가? = 234
3. 시민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 240
참고문헌 = 245
찾아보기 = 252
제1장 사회적 경제란 무엇인가
1. 사회적 경제의 역사적 발전 = 9
1) '사회적 경제' 시대의 배경 = 9
2) 사회적 경제의 역사적 발전 = 13
2. 제3섹터로서의 '사회적 경제' = 21
1) 국가, 시장, 사회적 경제 = 21
2) 사회적 경제와 비영리섹터 = 24
3) 사회적 경제, 제3섹터, 시민사회 = 26
3. '사회적 경제'의 개념정의 = 28
제2장 '사회적 경제' 조직의 유형
1. 정부-기업-제3섹터 분류 = 35
1) 3대 섹터 '수요와 공급' 모델 = 36
2) 3대 섹터 혼합의 '서비스 섹터' = 39
3) 3대 섹터 기반의 '사회적 경제' 조직 = 40
4)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의 분류 = 41
2. 결사체, 협동조합, 공제회, 재단 = 43
1) 사회적 경제=협동조합+공제화+결사체 = 44
2) 협동조합, 공제회, 결사체, 재단 = 46
3) 다양한 '결사체' 유형 = 47
3.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한 분류 = 51
1) 새로운 조직 유형의 등장 = 51
2) 사회적/경제적 목적에 의한 분류 = 52
제3장 사회적 경제와 사회기업가
1. 사회적 경제의 사회적 목적 = 55
1) '사회적' 목적의 다원성 = 55
2) 사회적 경제와 시민권 = 62
2. 사회적 경제와 사회기업가 = 65
1) '사회기업가정신'의 시대 = 65
2) 사회기업가정신의 의미 = 69
3) 사회기업가의 특성과 역할 = 73
3. '사회기업가'와 파트너십 = 80
1) '사회기업가' 지원정책: 미국 사례 = 80
2) 영국의 서포터즈 트러스트 = 83
3) 캐나다의 '사회적 구매' = 87
4) 한국의 '노리단' 사회적 기업 = 90
제4장 사회적 기업과 기업가정신
1. 사회적 기업의 의미와 유형 = 97
1)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 97
2) 사회적 기업의 유형: 국가, 시장, 시민사회 = 102
3) 사회적 기업의 유형: 이해관계자 분류 = 104
4) 사회적 기업의 유형: 비즈니스 모델 분류 = 106
2.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제도 = 108
1) 사회적 기업의 다원적 특성 = 108
2)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 = 114
3) 사회적 기업의 당면과제 = 116
3. 정부의 '사회적 기업' 정책 = 119
1) 영국의 '사회적 기업' 정책 = 119
2) 스웨덴의 '사회적 기업' 복지정책 = 124
3) 한국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 = 131
제5장 사회적 경제와 정부정책
1. 정부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41
1) 파트너십 유형과 유럽 사례 = 141
2) 미국의 '제3자 정부' 정책 = 147
2. 영국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50
1) 정부-제3섹터 파트너십의 발전 = 150
2) 정부의 제3섹터 지원정책 = 155
3) 제3섹터 재정지원과 육성정책 = 159
4) 지방 공동체와 공공서비스 전환 = 162
3. 캐나다의 '사회적 경제' 정책 = 167
1) 사회적 경제 정책의 발전 = 167
2) 정부-제3섹터 공조의 협약 = 172
3) 퀘벡 사회적 경제의 제도화 = 175
제6장 사회적 경제와 복지정책
1. 사회적 경제와 복지 파트너십 = 181
1) 복지국가와 사회적 경제 = 181
2) 복지혼합과 복지 파트너십 = 188
3) 사례: 스웨덴의 제3섹터 파트너십 = 195
2.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 199
1) 사회서비스 유형 = 199
2) 사례: 캐나다의 사회서비스와 사회적 경제 = 203
3. 사회적 경제와 노동시장정책 = 209
1) 사회적 경제와 고용보험의 발전 = 209
2) 사례: 독일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212
3) 비공식 경제와 노동 유연성 = 222
제7장 사회적 경제는 대안인가?
1. 사회적 경제는 지속가능한가? = 227
2. 복지국가와 시장경제의 대안인가? = 234
3. 시민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 240
참고문헌 = 245
찾아보기 =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