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3
1부.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대한 개관
제1장. 질적 자료 분석방법 = 13
1. 서론 = 13
2.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 = 14
3. 단일사례에 대한 디스플레이 = 16
4. 다중사례에 대한(사례 간) 디스플레이 = 37
5. 다중사례에 대한(사례 간) 디스플레이의 유형 = 41
6. 결론 = 50
2부. 단일사례 분석 연구
제2장. 외도를 한 중년부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55
1. 서론 = 55
2. 선행연구 = 56
3. 사례에 대한 개요 = 61
4. 연구 방법 및 분석 = 62
5. 상담내용 분석 = 63
6. 결론 = 99
제3장. 성폭행으로 인하여 우울증과 폭식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여대생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103
1. 서론 = 103
2. 폭식장애와 우울증에 관한 선행연구 = 105
3. 치료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 = 107
4. 사례개요 = 109
5. 연구 목적과 질문 = 110
6. 연구 방법 및 분석 = 111
7. 상담내용 분석 = 112
8. 결론과 제언 = 158
제4장. 성폭력을 당한 여중생의 가족치료사례 분석: 두려움과 분노를 넘어서기 = 165
1. 서론 = 165
2. 선행연구 고찰 = 167
3. 연구방법 = 169
4. 연구결과 = 171
5. 결론 및 논의 = 186
제5장. 도벽과 거짓말을 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재혼가족에 대한 사례 연구 = 191
1. 서론 = 191
2. 연구방법 = 193
3. 사례에 대한 개요 = 193
4. 연구결과 = 195
5. 결론과 제언 = 211
제6장. 근거이론을 활용한 폭식장애 여대생의 경험에 대한 사례 분석 = 215
1. 서론 = 215
2. 사례에 대한 개요 및 연구질문 = 216
3. 조사방법과 분석방법 = 217
4. 상담내용에 대한 분석 = 219
5. 결론 = 229
제7장. 고부갈등으로 인하여 우울증을 겪고 있는 부인의 부부치료사례 연구 = 233
1. 서론 = 233
2. 고부갈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 235
3. 치료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 = 236
4. 사례개요 = 236
5. 연구목적과 연구질문 = 237
6. 연구 방법 및 분석 = 238
7. 상담내용 분석 = 244
8. 결론 = 263
제8장. 알코올중독에서 회복 중인 남편에 대한 부부치료사례 연구 = 269
1. 서론 = 269
2. 이론적 배경 = 271
3. 연구 방법 및 분석 = 276
4. 결론 = 293
제9장. 알코올중독 문제를 가진 재혼한 부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299
1. 서론 = 299
2. 이론적 배경 = 301
3. 연구방법 = 306
4. 연구결과 = 309
5. 결론 및 제언 = 326
제10장.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 333
1. 서론 = 333
2. 이론적 배경 = 335
3. 선행연구 = 338
4. 연구방법 = 340
5. 연구결과 = 341
6. 결론 = 362
제11장. 가출청소년의 가족치료사례 연구: 회기진행에 따른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369
1. 서론 = 369
2. 선행연구 고찰 = 370
3. 연구질문 = 373
4. 연구방법 = 373
5. 연구결과 = 375
6. 논의 = 383
제12장. 가족치료 과정에서 발생한 내담자 부모의 저항에 대처하는 치료자의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 389
1. 서론 = 389
2. 이론적 배경 = 391
3. 연구방법 = 392
4. 결과분석 = 394
5. 결론 = 408
제13장. 쇼핑중독과 신용카드 남용 문제가 있는 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413
1. 서론 = 413
2. 쇼핑중독에 관한 이론적 배경 = 414
3. 연구방법 = 416
4. 상담이 개요와 상담내용 분석 = 418
5. 결론 = 440
3부. 다중사례(사례 간) 분석 연구
제14장. 가족치료 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447
1. 서론 = 447
2. 연구방법 = 450
3. 연구결과 = 452
4. 결론 및 논의 = 468
제15장. 며느리들의 시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 473
1. 서론 = 473
2. 문헌고찰 = 476
3. 연구방법 = 477
4. 연구결과 = 480
5. 결론 및 제언 = 499
제16장. 피학대아동의 위탁가정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505
1. 서론 = 505
2. 문헌고찰 = 507
3. 저사방법 = 511
4. 조사분석 결과 = 514
5. 결론 및 제언 = 535
1부.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대한 개관
제1장. 질적 자료 분석방법 = 13
1. 서론 = 13
2.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 = 14
3. 단일사례에 대한 디스플레이 = 16
4. 다중사례에 대한(사례 간) 디스플레이 = 37
5. 다중사례에 대한(사례 간) 디스플레이의 유형 = 41
6. 결론 = 50
2부. 단일사례 분석 연구
제2장. 외도를 한 중년부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55
1. 서론 = 55
2. 선행연구 = 56
3. 사례에 대한 개요 = 61
4. 연구 방법 및 분석 = 62
5. 상담내용 분석 = 63
6. 결론 = 99
제3장. 성폭행으로 인하여 우울증과 폭식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여대생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103
1. 서론 = 103
2. 폭식장애와 우울증에 관한 선행연구 = 105
3. 치료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 = 107
4. 사례개요 = 109
5. 연구 목적과 질문 = 110
6. 연구 방법 및 분석 = 111
7. 상담내용 분석 = 112
8. 결론과 제언 = 158
제4장. 성폭력을 당한 여중생의 가족치료사례 분석: 두려움과 분노를 넘어서기 = 165
1. 서론 = 165
2. 선행연구 고찰 = 167
3. 연구방법 = 169
4. 연구결과 = 171
5. 결론 및 논의 = 186
제5장. 도벽과 거짓말을 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재혼가족에 대한 사례 연구 = 191
1. 서론 = 191
2. 연구방법 = 193
3. 사례에 대한 개요 = 193
4. 연구결과 = 195
5. 결론과 제언 = 211
제6장. 근거이론을 활용한 폭식장애 여대생의 경험에 대한 사례 분석 = 215
1. 서론 = 215
2. 사례에 대한 개요 및 연구질문 = 216
3. 조사방법과 분석방법 = 217
4. 상담내용에 대한 분석 = 219
5. 결론 = 229
제7장. 고부갈등으로 인하여 우울증을 겪고 있는 부인의 부부치료사례 연구 = 233
1. 서론 = 233
2. 고부갈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 235
3. 치료에 대한 이론적 준거 틀 = 236
4. 사례개요 = 236
5. 연구목적과 연구질문 = 237
6. 연구 방법 및 분석 = 238
7. 상담내용 분석 = 244
8. 결론 = 263
제8장. 알코올중독에서 회복 중인 남편에 대한 부부치료사례 연구 = 269
1. 서론 = 269
2. 이론적 배경 = 271
3. 연구 방법 및 분석 = 276
4. 결론 = 293
제9장. 알코올중독 문제를 가진 재혼한 부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299
1. 서론 = 299
2. 이론적 배경 = 301
3. 연구방법 = 306
4. 연구결과 = 309
5. 결론 및 제언 = 326
제10장.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 333
1. 서론 = 333
2. 이론적 배경 = 335
3. 선행연구 = 338
4. 연구방법 = 340
5. 연구결과 = 341
6. 결론 = 362
제11장. 가출청소년의 가족치료사례 연구: 회기진행에 따른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369
1. 서론 = 369
2. 선행연구 고찰 = 370
3. 연구질문 = 373
4. 연구방법 = 373
5. 연구결과 = 375
6. 논의 = 383
제12장. 가족치료 과정에서 발생한 내담자 부모의 저항에 대처하는 치료자의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 389
1. 서론 = 389
2. 이론적 배경 = 391
3. 연구방법 = 392
4. 결과분석 = 394
5. 결론 = 408
제13장. 쇼핑중독과 신용카드 남용 문제가 있는 딸에 대한 가족치료사례 연구 = 413
1. 서론 = 413
2. 쇼핑중독에 관한 이론적 배경 = 414
3. 연구방법 = 416
4. 상담이 개요와 상담내용 분석 = 418
5. 결론 = 440
3부. 다중사례(사례 간) 분석 연구
제14장. 가족치료 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447
1. 서론 = 447
2. 연구방법 = 450
3. 연구결과 = 452
4. 결론 및 논의 = 468
제15장. 며느리들의 시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 473
1. 서론 = 473
2. 문헌고찰 = 476
3. 연구방법 = 477
4. 연구결과 = 480
5. 결론 및 제언 = 499
제16장. 피학대아동의 위탁가정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505
1. 서론 = 505
2. 문헌고찰 = 507
3. 저사방법 = 511
4. 조사분석 결과 = 514
5. 결론 및 제언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