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 ⅵ
머리말 = ⅷ
제1장 창의성의 두 가지 사례 연구
창의성에 관한 믿음 = 4
창의성의 두 가지 사례 연구 = 6
과학에서의 창의성 : 이중나선의 발견 = 7
결론 : 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발견 = 33
예술적 창의성 : 피카소의 걸작〈게르니카〉의 발달 = 37
창의적 사고 안의 구조 : 사례 연구에서 얻은 결론 = 54
예술적 창의성 대 과학적 발견의 문제로 돌아가서 = 57
사례 연구를 넘어 : 책의 개요 = 61
제2장 창의성의 연구
장의 개요 = 63
창의적 산물, 창의적 과정, 창의적 인물 : 정의의 문제 = 64
창의성 연구의 방법론 대 이론 = 78
창의성을 연구하는 방법들 = 79
창의성 이론 입문 = 97
제3장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Ⅰ
장의 개요 = 114
평범한 사고의 기본적인 인지적 요소 = 115
평범한 사고의 일반적인 특징 = 117
창의적 사고와 평범한 사고 : 결론 = 128
문제 해결의 인지적 분석 = 129
문제 해결의 예 = 130
문제 해결 하기 : 정의의 문제 = 133
문제 해결에 대한 인지적 관점의 간단한 역사 = 138
문제 해결 : 이해와 탐색의 과정 = 146
문제 공간 탐색을 위한 전략 = 152
문제 해결의 약한 발견적 방법과 창의적 사고 : 결론 = 164
제4장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Ⅱ
장의 개요 = 166
문제 해결에서 지식의 용도 : 유추 전이의 연구 = 167
문제 해결에서의 강한 방법 : 전문성의 연구 = 180
문제 해결의 인지분석 모형의 개요 : 문제 해결에서의 강한 방법과 약한 방법 = 190
문제 해결과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 결론과 의미 = 193
창의적 인지 접근 : 창의적 사고의 상향 분석 = 196
전문성과 창의성에 관한 회의론 = 202
연습이냐 재능이냐 = 203
전문성과 성취 : 재생산이냐 생산이냐 = 211
전문성, 지식, 경험 대 창의성 : 긴장 관점 = 215
문제 해결과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 결론 = 220
제5장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21
장의 개요 = 222
평범한 사고의 기본 요소 = 222
창의적 발달에서의 10년 법칙 = 224
시각 예술에서 뽑은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36
과학에서 뽑은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51
과학적 창의성 : 문제 해결로서의 과학적 발견 = 269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 발명 = 270
창의적 사고자로서의 토머스 에디슨 : 유추를 바탕으로 한 주제와 변주곡 = 277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 발명 = 292
엘리 휘트니의 조면기 = 294
발명에서의 평범한 사고 : 요약 = 297
창의성의 사례 연구 : 결론 = 297
제6장 문제 해결에서 통찰의 문제
장의 개요 = 303
통찰의 형태주의 분석 : 문제 해결과 지각 = 304
형태주의 관점을 뒷받침하는 증거 = 309
신형태주의 관점 : 막다른 골목에 반응한 발견적 기반의 재구조화 = 321
형태주의 관점에 대한 도전 = 327
재구조화와 통찰을 다루기 위한 인지분석 모형의 정교화 = 344
형태주의 관점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비판적 재조사 = 348
문제 해결에서의 통찰 : 결론과 의미 = 358
제7장 제정신이 아닌Ⅰ = 361
장의 개요 = 362
신의 전령 = 362
1차 과정과 창의성 = 363
천재성과 광기 : 양극성과 창의성 = 377
기분장애와 창의성 : 인과의 문제 = 384
창의성에서 정서의 역할 = 390
천재성과 광기 : 정신분열증과 창의성 = 393
사회적 요인들과 천재성과 광기 = 397
일부 기본 데이터 다시 살펴보기 = 404
천재성과 광기 : 결론 = 406
제8장 제정신이 아닌 Ⅱ
장의 개요 = 409
무의식적 연상과 무의식적 처리 = 410
푸앵카레의 무의식적 창의 과정 이론 = 414
월리스가 제안한 창의적 과정의 단계들 = 421
아다마르가 연구한 부화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 422
케스틀러가 제안한 이연연상론 = 423
캠벨이 제안한 창의성의 진화론 : 맹목적 변이와 선택적 보유 = 425
사이먼튼이 제안한 우연 배치론 = 426
칙센트미하이가 제안한 창의적 사고에서의 무의식 이론 = 432
창의성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 결론 = 438
부화와 조명의 실험실 연구 = 440
부화와 조명의 증거 : 비판 = 454
무의식적 처리 없는 조명 = 460
부화, 조명, 그리고 무의식 : 결론 = 472
제9장 심리측정학적 관점 Ⅰ
장의 개요 = 476
길포드와 창의성에 대한 현대의 심리측정학적 관점 = 476
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 = 479
창의적 과정의 인지적 요소 : 창의적 사고 능력 검사 = 489
검사의 검사 : 창의적 사고 능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498
창의적 사고 기술의 일반성 대 영역특수성 = 513
창의성 검사하기 : 결론 = 516
제10장 심리측정학적 관점 Ⅱ
창의군 대 비교군 혹은 대조군 = 520
창의적 성격의 연구에서 방법에 관한 질문들 = 523
과학에서의 창의적 성취에서 창의적 성격이 하는 역할의 모형 = 527
예술과 과학에서 창의적 성격을 탐색하는 것은 쓸데없는 짓일까 = 536
창의성과 독창적이고자 하는 욕구 : 발산적 사고와 창의성의 재조사 = 538
성격, 인지, 창의성의 재고 : 경험과 창의성에 대한 개방성의 문제 = 540
발산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 결론 = 548
제11장 창의성의 합류 모형
장의 개요 = 549
창의성의 사회심리학 : 아마빌의 요소 모형 = 550
창의성의 경제론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 = 567
창의성의 다윈주의 이론 = 587
창의성의 합류 모형 : 요약 = 606
제12장 창의성의 이해
장의 개요 = 609
창의성 안의 평범한 과정 대 비범한 과정 = 610
창의성 안의 평범한 사고 = 613
창의성 안의 비범한 과정 = 623
창의성 연구에 사례 연구를 사용하는 일에 관하여 = 629
평범한 사고가 창의성의 토대라는 가설을 검증할 수 있을까 = 631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사람들에 관하여 = 634
참고문헌 = 639
역자후기 = 652
추천의 글 = ⅵ
머리말 = ⅷ
제1장 창의성의 두 가지 사례 연구
창의성에 관한 믿음 = 4
창의성의 두 가지 사례 연구 = 6
과학에서의 창의성 : 이중나선의 발견 = 7
결론 : 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발견 = 33
예술적 창의성 : 피카소의 걸작〈게르니카〉의 발달 = 37
창의적 사고 안의 구조 : 사례 연구에서 얻은 결론 = 54
예술적 창의성 대 과학적 발견의 문제로 돌아가서 = 57
사례 연구를 넘어 : 책의 개요 = 61
제2장 창의성의 연구
장의 개요 = 63
창의적 산물, 창의적 과정, 창의적 인물 : 정의의 문제 = 64
창의성 연구의 방법론 대 이론 = 78
창의성을 연구하는 방법들 = 79
창의성 이론 입문 = 97
제3장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Ⅰ
장의 개요 = 114
평범한 사고의 기본적인 인지적 요소 = 115
평범한 사고의 일반적인 특징 = 117
창의적 사고와 평범한 사고 : 결론 = 128
문제 해결의 인지적 분석 = 129
문제 해결의 예 = 130
문제 해결 하기 : 정의의 문제 = 133
문제 해결에 대한 인지적 관점의 간단한 역사 = 138
문제 해결 : 이해와 탐색의 과정 = 146
문제 공간 탐색을 위한 전략 = 152
문제 해결의 약한 발견적 방법과 창의적 사고 : 결론 = 164
제4장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Ⅱ
장의 개요 = 166
문제 해결에서 지식의 용도 : 유추 전이의 연구 = 167
문제 해결에서의 강한 방법 : 전문성의 연구 = 180
문제 해결의 인지분석 모형의 개요 : 문제 해결에서의 강한 방법과 약한 방법 = 190
문제 해결과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 결론과 의미 = 193
창의적 인지 접근 : 창의적 사고의 상향 분석 = 196
전문성과 창의성에 관한 회의론 = 202
연습이냐 재능이냐 = 203
전문성과 성취 : 재생산이냐 생산이냐 = 211
전문성, 지식, 경험 대 창의성 : 긴장 관점 = 215
문제 해결과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관점 : 결론 = 220
제5장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21
장의 개요 = 222
평범한 사고의 기본 요소 = 222
창의적 발달에서의 10년 법칙 = 224
시각 예술에서 뽑은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36
과학에서 뽑은 창의성의 사례 연구 = 251
과학적 창의성 : 문제 해결로서의 과학적 발견 = 269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 발명 = 270
창의적 사고자로서의 토머스 에디슨 : 유추를 바탕으로 한 주제와 변주곡 = 277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 발명 = 292
엘리 휘트니의 조면기 = 294
발명에서의 평범한 사고 : 요약 = 297
창의성의 사례 연구 : 결론 = 297
제6장 문제 해결에서 통찰의 문제
장의 개요 = 303
통찰의 형태주의 분석 : 문제 해결과 지각 = 304
형태주의 관점을 뒷받침하는 증거 = 309
신형태주의 관점 : 막다른 골목에 반응한 발견적 기반의 재구조화 = 321
형태주의 관점에 대한 도전 = 327
재구조화와 통찰을 다루기 위한 인지분석 모형의 정교화 = 344
형태주의 관점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비판적 재조사 = 348
문제 해결에서의 통찰 : 결론과 의미 = 358
제7장 제정신이 아닌Ⅰ = 361
장의 개요 = 362
신의 전령 = 362
1차 과정과 창의성 = 363
천재성과 광기 : 양극성과 창의성 = 377
기분장애와 창의성 : 인과의 문제 = 384
창의성에서 정서의 역할 = 390
천재성과 광기 : 정신분열증과 창의성 = 393
사회적 요인들과 천재성과 광기 = 397
일부 기본 데이터 다시 살펴보기 = 404
천재성과 광기 : 결론 = 406
제8장 제정신이 아닌 Ⅱ
장의 개요 = 409
무의식적 연상과 무의식적 처리 = 410
푸앵카레의 무의식적 창의 과정 이론 = 414
월리스가 제안한 창의적 과정의 단계들 = 421
아다마르가 연구한 부화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 422
케스틀러가 제안한 이연연상론 = 423
캠벨이 제안한 창의성의 진화론 : 맹목적 변이와 선택적 보유 = 425
사이먼튼이 제안한 우연 배치론 = 426
칙센트미하이가 제안한 창의적 사고에서의 무의식 이론 = 432
창의성에서의 무의식적 사고 : 결론 = 438
부화와 조명의 실험실 연구 = 440
부화와 조명의 증거 : 비판 = 454
무의식적 처리 없는 조명 = 460
부화, 조명, 그리고 무의식 : 결론 = 472
제9장 심리측정학적 관점 Ⅰ
장의 개요 = 476
길포드와 창의성에 대한 현대의 심리측정학적 관점 = 476
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 = 479
창의적 과정의 인지적 요소 : 창의적 사고 능력 검사 = 489
검사의 검사 : 창의적 사고 능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498
창의적 사고 기술의 일반성 대 영역특수성 = 513
창의성 검사하기 : 결론 = 516
제10장 심리측정학적 관점 Ⅱ
창의군 대 비교군 혹은 대조군 = 520
창의적 성격의 연구에서 방법에 관한 질문들 = 523
과학에서의 창의적 성취에서 창의적 성격이 하는 역할의 모형 = 527
예술과 과학에서 창의적 성격을 탐색하는 것은 쓸데없는 짓일까 = 536
창의성과 독창적이고자 하는 욕구 : 발산적 사고와 창의성의 재조사 = 538
성격, 인지, 창의성의 재고 : 경험과 창의성에 대한 개방성의 문제 = 540
발산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 결론 = 548
제11장 창의성의 합류 모형
장의 개요 = 549
창의성의 사회심리학 : 아마빌의 요소 모형 = 550
창의성의 경제론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 = 567
창의성의 다윈주의 이론 = 587
창의성의 합류 모형 : 요약 = 606
제12장 창의성의 이해
장의 개요 = 609
창의성 안의 평범한 과정 대 비범한 과정 = 610
창의성 안의 평범한 사고 = 613
창의성 안의 비범한 과정 = 623
창의성 연구에 사례 연구를 사용하는 일에 관하여 = 629
평범한 사고가 창의성의 토대라는 가설을 검증할 수 있을까 = 631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사람들에 관하여 = 634
참고문헌 = 639
역자후기 =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