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
식민주의와 언어 -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언어 정책과 한국문학인의 대응 / 김재용 = 15
1. 동아시아 비교문학의 필요성 = 15
2. 일본어 창작에 관한 논쟁 = 20
3. 일제의 식민주의적 언어정책 = 29
4. 한국문학가들의 대응양상 = 34
일제말 친일시의 계보 / 박수연 = 41
1. 사실 수리와 협력 = 41
2. 국민, 미학, 전체의 이념 = 45
3. 친일문학의 내재적 논리 = 67
여성성, 모성, 국가주의 / 서영인 = 69
1. 식민지 여성의 다중적 주체성 = 69
2. 신여성은 모두 어디로 갔나 = 73
3. 근대적 핵가족과 국가주의, 반쪽의 여성성 = 79
4. 다시, 여성주체의 다면성 = 86
안수길의『북향보』에 대하여 / 오오무라 마쓰오 = 89
1.『북향보』의 개작 문제 = 89
2. '만주'시기 안수길 문학에 대한 평가들 = 90
3. 해방 후『북향보』와 개작의 양상 = 91
4. '만주국'에서의 안수길의 위치 = 95
5.『북향보』에 나타난 북향의식 = 96
6. '만주국'에서 살아남기 = 97
7. 안수길 문학의 굴절 = 99
제2부 타이완
억압과 차연(差延) - 식민주의 언어통제와 타이완 전통한문의 현대화 궤적 / 류슈친 = 103
1. 일제 강점기 타이완 한문통속문예 = 103
2. 동문주의(同文主義)에서 동화주의(同化主義)로 = 105
3. 식민지 타이완의 전통문화체계와 한문교육의 와해 = 114
4. '전통문인'의 세대 변화 = 120
5. 한문 현대화의 상황과 통속문예 잡지 = 128
6. 제국을 넘어서는 언어 = 138
순혈주의(純血主義)에 대한 패배/도피 - 천훠취엔(陳火泉)의「도(道)」를 중심으로 / 송승석 = 145
1. 타이완의 황민문학 = 145
2. 천훠취엔(陳火泉)과 그의 일본어소설「도(道)」 = 146
3. '피'의 차이 = 148
4. 순혈주의에 대한 패배 그리고 도피 = 158
5. 식민주의의 반복 = 163
제3부 중국
일본에서의 '만주국'의 문학연구의 경향 / 오카다 히데끼 = 167
1. 오자키 호즈키「'만주국'에 관한 문학의 다양상」의 배경 = 167
2. 1990년대의 '만주국'의 문학연구 = 171
『백란의 노래(白Qp之歌)』번역으로부터『교민(Oⓝ?)』까지 - 梅娘의 창작 궤적에 대한 분석 / 키시 요코 = 177
1.『백란의 노래(白Qp之歌)』에 관하여 = 177
2. 梅娘과『백란의 노래』 = 181
3. 梅娘의 원작에 대한 곤혹감 = 186
4.『백란의 노래』로부터『교민』까지 = 191
5.「말함과 말하지 않음」사이에 있는 '만주국' 여성 작가 = 196
'변경(邊境)'을 통해 본 '식민지=제국'의 언어와 문학 언어 - 만주국(滿州國)의〈국경지대법(國境地帶法)〉과 중국 작가 스쥔(石軍)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하시모토 유이치 = 201
1. '식민지=제국'의 주변 = 201
2. '식민지=제국'의 언어 = 202
3. 중국 작가 언어 속의 '변경' 1 = 205
4. 중국 작가 언어 속의 '변경' 2 = 207
5. '식민지=제국'의 언어↔본지(本地) 언어문학의 언어 = 210
6. '식민지=제국'하에서 살아남은 당지(當地) 언어문학의 가능성을 위하여 = 212
'펜부대'와 그들의 침화문학 / 왕샹위옌 = 213
1. 중국 전선으로 초기에 특파된 작가들 = 213
2. 군부와 정부가 펜부대를 직접 조직하고 파견하다 = 221
3. 펜부대가 꾸며낸 침화문학 = 228
짱아이링, '의복 개조'와 식민주의, 민족주의 / 천훼이펀 = 237
제4부 인도네시아
일본의 인도네시아 점령시기에 나타난 선전문학(1942∼1945) - 이슬람교 이야기를 중심으로 = 255
1. 일본 점령하의 인도네시아 문학 = 255
2. 팔굉일우 = 258
3. 지역 영웅들에 관한 이야기 = 260
4. 울라마를 말하다 = 264
5. 이슬람교 전통을 말하다 = 267
6. 인도네시아 작가들의 이슬람 이야기의 활용 = 271
머리말 = 5
제1부 한국
식민주의와 언어 -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언어 정책과 한국문학인의 대응 / 김재용 = 15
1. 동아시아 비교문학의 필요성 = 15
2. 일본어 창작에 관한 논쟁 = 20
3. 일제의 식민주의적 언어정책 = 29
4. 한국문학가들의 대응양상 = 34
일제말 친일시의 계보 / 박수연 = 41
1. 사실 수리와 협력 = 41
2. 국민, 미학, 전체의 이념 = 45
3. 친일문학의 내재적 논리 = 67
여성성, 모성, 국가주의 / 서영인 = 69
1. 식민지 여성의 다중적 주체성 = 69
2. 신여성은 모두 어디로 갔나 = 73
3. 근대적 핵가족과 국가주의, 반쪽의 여성성 = 79
4. 다시, 여성주체의 다면성 = 86
안수길의『북향보』에 대하여 / 오오무라 마쓰오 = 89
1.『북향보』의 개작 문제 = 89
2. '만주'시기 안수길 문학에 대한 평가들 = 90
3. 해방 후『북향보』와 개작의 양상 = 91
4. '만주국'에서의 안수길의 위치 = 95
5.『북향보』에 나타난 북향의식 = 96
6. '만주국'에서 살아남기 = 97
7. 안수길 문학의 굴절 = 99
제2부 타이완
억압과 차연(差延) - 식민주의 언어통제와 타이완 전통한문의 현대화 궤적 / 류슈친 = 103
1. 일제 강점기 타이완 한문통속문예 = 103
2. 동문주의(同文主義)에서 동화주의(同化主義)로 = 105
3. 식민지 타이완의 전통문화체계와 한문교육의 와해 = 114
4. '전통문인'의 세대 변화 = 120
5. 한문 현대화의 상황과 통속문예 잡지 = 128
6. 제국을 넘어서는 언어 = 138
순혈주의(純血主義)에 대한 패배/도피 - 천훠취엔(陳火泉)의「도(道)」를 중심으로 / 송승석 = 145
1. 타이완의 황민문학 = 145
2. 천훠취엔(陳火泉)과 그의 일본어소설「도(道)」 = 146
3. '피'의 차이 = 148
4. 순혈주의에 대한 패배 그리고 도피 = 158
5. 식민주의의 반복 = 163
제3부 중국
일본에서의 '만주국'의 문학연구의 경향 / 오카다 히데끼 = 167
1. 오자키 호즈키「'만주국'에 관한 문학의 다양상」의 배경 = 167
2. 1990년대의 '만주국'의 문학연구 = 171
『백란의 노래(白Qp之歌)』번역으로부터『교민(Oⓝ?)』까지 - 梅娘의 창작 궤적에 대한 분석 / 키시 요코 = 177
1.『백란의 노래(白Qp之歌)』에 관하여 = 177
2. 梅娘과『백란의 노래』 = 181
3. 梅娘의 원작에 대한 곤혹감 = 186
4.『백란의 노래』로부터『교민』까지 = 191
5.「말함과 말하지 않음」사이에 있는 '만주국' 여성 작가 = 196
'변경(邊境)'을 통해 본 '식민지=제국'의 언어와 문학 언어 - 만주국(滿州國)의〈국경지대법(國境地帶法)〉과 중국 작가 스쥔(石軍)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하시모토 유이치 = 201
1. '식민지=제국'의 주변 = 201
2. '식민지=제국'의 언어 = 202
3. 중국 작가 언어 속의 '변경' 1 = 205
4. 중국 작가 언어 속의 '변경' 2 = 207
5. '식민지=제국'의 언어↔본지(本地) 언어문학의 언어 = 210
6. '식민지=제국'하에서 살아남은 당지(當地) 언어문학의 가능성을 위하여 = 212
'펜부대'와 그들의 침화문학 / 왕샹위옌 = 213
1. 중국 전선으로 초기에 특파된 작가들 = 213
2. 군부와 정부가 펜부대를 직접 조직하고 파견하다 = 221
3. 펜부대가 꾸며낸 침화문학 = 228
짱아이링, '의복 개조'와 식민주의, 민족주의 / 천훼이펀 = 237
제4부 인도네시아
일본의 인도네시아 점령시기에 나타난 선전문학(1942∼1945) - 이슬람교 이야기를 중심으로 = 255
1. 일본 점령하의 인도네시아 문학 = 255
2. 팔굉일우 = 258
3. 지역 영웅들에 관한 이야기 = 260
4. 울라마를 말하다 = 264
5. 이슬람교 전통을 말하다 = 267
6. 인도네시아 작가들의 이슬람 이야기의 활용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