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서론 = 11
제1부 수학기
제1장 가문과 성장과정
1. 연암 박지원의 손자 = 21
2. 외종조 유화의 영향 = 32
3. 척숙 이정리ㆍ이정관의 지도 = 40
제2장 북학파의 후예들
1. 담헌 손자 홍양후와의 만남 = 54
2. 홍양후의 연행과 그 영향 = 62
제3장 효명세자의 지우(知遇)
1. 순조 말의 정국과 효명세자 = 68
2. 효명세자 승하 후의 은둔 결심 = 74
제4장 조숙한 천재 시인
1. 「성동시」와 「석경루 잡절」= 78
2. 「강양죽지사」와 「도봉기유」= 90
3. 「봉소여향」= 104
4. 「숙수념행」= 119
제5장 첫 저작 『상고도 회문의례』
1. 저술의 체제와 전거 = 135
2. 실학적 학풍과 지원지동설 = 151
3. 성리학 사상과 존명 의식 = 169
4. 빼어난 예술적 산문 = 173
제2부 은둔기
제1장 예학 연구와 『거가잡복고』
1. 고례의 연구와 실천 = 183
2. 『거가잡복고』의 집필 = 187
3. 『거가잡복고』의 사상사적 의의 = 191
제2장 교유와 창작
1. 은둔시절의 벗들 = 204
2. 풍석 서유구와의 만남 = 214
3. 1840년 전후의 창작 활동 = 225
제3장 척숙 이정리 형제의 연행
1. 연행의 경위 = 244
2. 해외 정세의 견문 = 255
제4장 경세학으로의 학문적 전환
1. 『경세문편』과 청조 경세학 = 261
2. 윤종의의 『벽위신편』과 천주교 대책 = 271
3. 박규수의 「벽위신편 평어」와 『해국도지』 수용 = 279
4. 은둔기의 여타 저술 = 294
제3부 철종시대의 개혁적 관료
제1장 처음 벼슬길에 오르다
1. 헌종 말의 정국과 과거 급제 = 305
2. 용강 현령과 부안 현감 시절 = 313
제2장 중앙 관직에 복귀하여
1. 철종 초의 정국과 진종 천묘(遷廟) 논쟁 = 325
2. 경상좌도 암행어사 활동과 『수계』 = 336
제3장 박규수의 제1차 연행
1. 1860년 북경사변과 열하 문안사 파견 = 361
2. 김영작ㆍ신석우의 연행과 그 영향 = 368
3. 열하 문안사행의 경위 = 382
4. 연행의 성과와 한계 = 421
5. 귀국 후 중국 문사와의 교신 = 437
제4장 진주농민항쟁과 박규수의 안핵사 활동
1. 진주농민항쟁의 발발 = 453
2. 안핵사 활동의 전말 = 458
3. 박규수의 진상 조사 보고 = 493
4. 항쟁 주도층에 대한 분석 = 511
5. 삼정 개혁안의 제시 = 535
제4부 북학을 계승한 진보적 문인 학자
제1장 천문지리적 관심과 지세의 제작
1. 천문 관측과 천문의기 제작 = 557
2. 지세의의 구조와 기능 = 575
3. 「지세의명」의 사상사적 의의 = 585
제2장 철종시대의 문예 창작
1. 박규수의 문학관 = 603
2. 1860년대 초의 한시 = 619
3. 다양한 양식의 산문들 = 629
제3장 철종시대의 학술 활동
1. 박규수의 학문관 = 650
2. 금석 고증에 대한 관심 = 674
3. 실사구시적 서화론 = 687
결론 = 703
참고문헌 = 721
박규수 연보 = 744
찾아보기 = 767
책머리에 = 3
서론 = 11
제1부 수학기
제1장 가문과 성장과정
1. 연암 박지원의 손자 = 21
2. 외종조 유화의 영향 = 32
3. 척숙 이정리ㆍ이정관의 지도 = 40
제2장 북학파의 후예들
1. 담헌 손자 홍양후와의 만남 = 54
2. 홍양후의 연행과 그 영향 = 62
제3장 효명세자의 지우(知遇)
1. 순조 말의 정국과 효명세자 = 68
2. 효명세자 승하 후의 은둔 결심 = 74
제4장 조숙한 천재 시인
1. 「성동시」와 「석경루 잡절」= 78
2. 「강양죽지사」와 「도봉기유」= 90
3. 「봉소여향」= 104
4. 「숙수념행」= 119
제5장 첫 저작 『상고도 회문의례』
1. 저술의 체제와 전거 = 135
2. 실학적 학풍과 지원지동설 = 151
3. 성리학 사상과 존명 의식 = 169
4. 빼어난 예술적 산문 = 173
제2부 은둔기
제1장 예학 연구와 『거가잡복고』
1. 고례의 연구와 실천 = 183
2. 『거가잡복고』의 집필 = 187
3. 『거가잡복고』의 사상사적 의의 = 191
제2장 교유와 창작
1. 은둔시절의 벗들 = 204
2. 풍석 서유구와의 만남 = 214
3. 1840년 전후의 창작 활동 = 225
제3장 척숙 이정리 형제의 연행
1. 연행의 경위 = 244
2. 해외 정세의 견문 = 255
제4장 경세학으로의 학문적 전환
1. 『경세문편』과 청조 경세학 = 261
2. 윤종의의 『벽위신편』과 천주교 대책 = 271
3. 박규수의 「벽위신편 평어」와 『해국도지』 수용 = 279
4. 은둔기의 여타 저술 = 294
제3부 철종시대의 개혁적 관료
제1장 처음 벼슬길에 오르다
1. 헌종 말의 정국과 과거 급제 = 305
2. 용강 현령과 부안 현감 시절 = 313
제2장 중앙 관직에 복귀하여
1. 철종 초의 정국과 진종 천묘(遷廟) 논쟁 = 325
2. 경상좌도 암행어사 활동과 『수계』 = 336
제3장 박규수의 제1차 연행
1. 1860년 북경사변과 열하 문안사 파견 = 361
2. 김영작ㆍ신석우의 연행과 그 영향 = 368
3. 열하 문안사행의 경위 = 382
4. 연행의 성과와 한계 = 421
5. 귀국 후 중국 문사와의 교신 = 437
제4장 진주농민항쟁과 박규수의 안핵사 활동
1. 진주농민항쟁의 발발 = 453
2. 안핵사 활동의 전말 = 458
3. 박규수의 진상 조사 보고 = 493
4. 항쟁 주도층에 대한 분석 = 511
5. 삼정 개혁안의 제시 = 535
제4부 북학을 계승한 진보적 문인 학자
제1장 천문지리적 관심과 지세의 제작
1. 천문 관측과 천문의기 제작 = 557
2. 지세의의 구조와 기능 = 575
3. 「지세의명」의 사상사적 의의 = 585
제2장 철종시대의 문예 창작
1. 박규수의 문학관 = 603
2. 1860년대 초의 한시 = 619
3. 다양한 양식의 산문들 = 629
제3장 철종시대의 학술 활동
1. 박규수의 학문관 = 650
2. 금석 고증에 대한 관심 = 674
3. 실사구시적 서화론 = 687
결론 = 703
참고문헌 = 721
박규수 연보 = 744
찾아보기 =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