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제2장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 7
제3장 지역수준 일자리 창출의 해외사례 = 13
1. 미국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사례 = 13
(1) 지역고용ㆍHRD를 위한 제도와 노동운동의 노력 = 13
가. 인력투자법(Workforce Investment Act)의 도입 = 13
나. 미국노총(AFL-CIO)의 하이로드 파트너십 전략 = 16
(2) 위스콘신 지역훈련파트너십(WRTP) = 22
가. 출범배경 = 22
나. 운영방식과 활동 = 23
다. 파트너십의 성과 = 26
2. 유럽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사례 = 27
(1) 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EU의 노력과 지역고용ㆍHRD 촉진제도 = 27
가. 유럽차원의 고용전략 발전과정 = 28
나. 지역고용협약(Territorial Employment Pacts) = 29
(2) 아일랜드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 31
가. 시대적 배경 = 32
나. 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33
다. 지역발전위원회(CDB) 설립으로 지역파트너십 강화 = 34
라. 노사 상급단체의 역할 = 35
(3)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 36
가. 상황적 배경 = 36
나. 지역혁신을 위한 변화의 시도 = 38
다. 지역혁신에 있어서 노동조합의 역할 = 40
제4장 지역수준 일자리 창출의 국내사례 = 43
1. 우리나라의 지역고용ㆍHRD사업 개괄 및 평가 = 43
2. 부천지역의 고용ㆍHRD파트너십 = 45
(1) 부천시의 고용ㆍ인적자원 개관 및 특징 = 45
(2) 부천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48
(3) 부천지역의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관련사업 및 평가 = 51
가. 부천지역 지역고용ㆍ인적자원개발사업 현황 및 평가 = 52
나. 부천지역 노사공동 직업훈련사업 현황 및 평가 = 61
다. 부천지역 고용ㆍ인적자원개발 관련사업의 개선과제 = 66
3. 포항지역의 고용ㆍHRD파트너십 = 70
(1) 포항시의 고용ㆍ인적자원 개관 및 특징 = 71
(2)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고용ㆍHRD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73
(3)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공동훈련사업 현황 및 평가 = 76
가. 포항지역 건설플랜트직종 기능훈련사업 현황 = 76
나. 포항지역 건설플랜트직종 기능훈련사업 평가 = 81
다.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관계와 노사공동훈련사업 = 84
라.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공동훈련사업의 개선과제 = 86
제5장 결론 = 91
1. 연구내용의 요약 = 91
2. 시사점 및 제언 = 97
〈부록1〉부천지역 고용ㆍHRD파트너십 관계자 인터뷰 내용 = 102
〈부록2〉포항지역 고용ㆍHRD파트너십 관계자 인터뷰 내용 = 117
참고문헌 = 133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제2장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 7
제3장 지역수준 일자리 창출의 해외사례 = 13
1. 미국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사례 = 13
(1) 지역고용ㆍHRD를 위한 제도와 노동운동의 노력 = 13
가. 인력투자법(Workforce Investment Act)의 도입 = 13
나. 미국노총(AFL-CIO)의 하이로드 파트너십 전략 = 16
(2) 위스콘신 지역훈련파트너십(WRTP) = 22
가. 출범배경 = 22
나. 운영방식과 활동 = 23
다. 파트너십의 성과 = 26
2. 유럽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사례 = 27
(1) 고용문제 해결을 위한 EU의 노력과 지역고용ㆍHRD 촉진제도 = 27
가. 유럽차원의 고용전략 발전과정 = 28
나. 지역고용협약(Territorial Employment Pacts) = 29
(2) 아일랜드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 31
가. 시대적 배경 = 32
나. 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33
다. 지역발전위원회(CDB) 설립으로 지역파트너십 강화 = 34
라. 노사 상급단체의 역할 = 35
(3)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 = 36
가. 상황적 배경 = 36
나. 지역혁신을 위한 변화의 시도 = 38
다. 지역혁신에 있어서 노동조합의 역할 = 40
제4장 지역수준 일자리 창출의 국내사례 = 43
1. 우리나라의 지역고용ㆍHRD사업 개괄 및 평가 = 43
2. 부천지역의 고용ㆍHRD파트너십 = 45
(1) 부천시의 고용ㆍ인적자원 개관 및 특징 = 45
(2) 부천 지역고용ㆍHRD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48
(3) 부천지역의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관련사업 및 평가 = 51
가. 부천지역 지역고용ㆍ인적자원개발사업 현황 및 평가 = 52
나. 부천지역 노사공동 직업훈련사업 현황 및 평가 = 61
다. 부천지역 고용ㆍ인적자원개발 관련사업의 개선과제 = 66
3. 포항지역의 고용ㆍHRD파트너십 = 70
(1) 포항시의 고용ㆍ인적자원 개관 및 특징 = 71
(2)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고용ㆍHRD파트너십의 형성과정 = 73
(3)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공동훈련사업 현황 및 평가 = 76
가. 포항지역 건설플랜트직종 기능훈련사업 현황 = 76
나. 포항지역 건설플랜트직종 기능훈련사업 평가 = 81
다.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관계와 노사공동훈련사업 = 84
라. 포항지역 건설플랜트 노사공동훈련사업의 개선과제 = 86
제5장 결론 = 91
1. 연구내용의 요약 = 91
2. 시사점 및 제언 = 97
〈부록1〉부천지역 고용ㆍHRD파트너십 관계자 인터뷰 내용 = 102
〈부록2〉포항지역 고용ㆍHRD파트너십 관계자 인터뷰 내용 = 117
참고문헌 =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