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문학의 기원과 전통의 심층
이태준 문학의 기원 탐색 : 아동 서사물 = 13
1. 서론 = 13
2. 장르 구분에 따른 작품의 특성 = 16
3. 형식의 진화와 작가 의식의 성장 = 23
4. '모성(母性)'에서 확장된 '자연(自然)' = 31
5. 결론 = 36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유곽'의 의미 = 38
1. 서론 = 38
2. 유곽의 도래와 전통의 사멸 = 42
3. 유곽에 대한 이중 시선 = 56
4. 결론 = 62
이태준의『황진이』에 나타난 '고려'의 성격 = 65
1. 서론 = 65
2.『황진이』에서 '고려'가 구현되는 두 가지 방식 = 68
3.『황진이』에서 고려 유적과 고려 시가 간의 상응 - 옛 왕조에 대한 회한과 낭만적 사랑의 교차 = 77
4. 인간을 압제하는 일체의 규율과 위선에 대한 부정 = 86
5. 결론 = 92
언어 민족주의
이태준의「고향」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99
1. 서론 = 99
2. '양(洋)'의 이입과 '향(鄕)'에 대한 자각 = 102
3. 근대문학에 나타난 '고향(故鄕)'의 의미 - 물리적 실체로서 '가족'과 '고향산천' = 107
4. 고향(故鄕), '민족의 과거'를 소환해 내는 언어 내셔널리즘의 구현 = 115
5. 결론 = 121
이태준의 근대소설에 반영된 식민지 어문정책과 민족어의 성격 = 124
1. 서론 = 124
2.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언어정책과 조선어의 운명 = 128
3.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민족어'의 성격 - '박제된 전통'으로서 '조선적인 것' = 142
4. 결론 = 152
이태준의 해방후 소설에 나타난 국어의식 = 155
1. 서론 = 155
2. 해방공간 남북한 '국어 정립'의 대두 = 159
3. 해방이후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조선어'의 양가성과 '국어'의 정립 = 162
4. 해방직후 이태준의 언어 민족주의와 국어의식 = 169
5. 결론 = 183
소설 수사학
이태준의『문장강화』에 나타난 소설의 수사학 = 189
1. 서론 = 189
2.『문장강화』의 구성과 '문장(文章)'에 대한 인식 = 193
3. 개인의 문체 정립과 소설의 언어 = 201
4. 소설 창작방법으로서 이태준의 문체 = 206
5. 결론 = 219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 문장론의 배경과 문학적 형상화 = 223
1. 서론 = 223
2. 문장론의 배경 = 225
3. 표현 방법과 문학적 형상화 = 232
4. 결론을 대신하며 - 주관적 정서와 개인에 대한 인식 = 238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기능과 한계 = 241
1. 서론 = 241
2. 소설의 문체로서 소설 속 편지의 특수성 = 245
3.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성격 = 249
4. 사건의 전환점으로서 '편지'의 근대성과 한계 = 259
5. 결론 = 262
참고문헌 = 265
논문이 수록된 학회지 = 273
찾아보기 = 274
책머리에 = 3
문학의 기원과 전통의 심층
이태준 문학의 기원 탐색 : 아동 서사물 = 13
1. 서론 = 13
2. 장르 구분에 따른 작품의 특성 = 16
3. 형식의 진화와 작가 의식의 성장 = 23
4. '모성(母性)'에서 확장된 '자연(自然)' = 31
5. 결론 = 36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유곽'의 의미 = 38
1. 서론 = 38
2. 유곽의 도래와 전통의 사멸 = 42
3. 유곽에 대한 이중 시선 = 56
4. 결론 = 62
이태준의『황진이』에 나타난 '고려'의 성격 = 65
1. 서론 = 65
2.『황진이』에서 '고려'가 구현되는 두 가지 방식 = 68
3.『황진이』에서 고려 유적과 고려 시가 간의 상응 - 옛 왕조에 대한 회한과 낭만적 사랑의 교차 = 77
4. 인간을 압제하는 일체의 규율과 위선에 대한 부정 = 86
5. 결론 = 92
언어 민족주의
이태준의「고향」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99
1. 서론 = 99
2. '양(洋)'의 이입과 '향(鄕)'에 대한 자각 = 102
3. 근대문학에 나타난 '고향(故鄕)'의 의미 - 물리적 실체로서 '가족'과 '고향산천' = 107
4. 고향(故鄕), '민족의 과거'를 소환해 내는 언어 내셔널리즘의 구현 = 115
5. 결론 = 121
이태준의 근대소설에 반영된 식민지 어문정책과 민족어의 성격 = 124
1. 서론 = 124
2.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언어정책과 조선어의 운명 = 128
3.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민족어'의 성격 - '박제된 전통'으로서 '조선적인 것' = 142
4. 결론 = 152
이태준의 해방후 소설에 나타난 국어의식 = 155
1. 서론 = 155
2. 해방공간 남북한 '국어 정립'의 대두 = 159
3. 해방이후 이태준 소설에 나타난 '조선어'의 양가성과 '국어'의 정립 = 162
4. 해방직후 이태준의 언어 민족주의와 국어의식 = 169
5. 결론 = 183
소설 수사학
이태준의『문장강화』에 나타난 소설의 수사학 = 189
1. 서론 = 189
2.『문장강화』의 구성과 '문장(文章)'에 대한 인식 = 193
3. 개인의 문체 정립과 소설의 언어 = 201
4. 소설 창작방법으로서 이태준의 문체 = 206
5. 결론 = 219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 문장론의 배경과 문학적 형상화 = 223
1. 서론 = 223
2. 문장론의 배경 = 225
3. 표현 방법과 문학적 형상화 = 232
4. 결론을 대신하며 - 주관적 정서와 개인에 대한 인식 = 238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기능과 한계 = 241
1. 서론 = 241
2. 소설의 문체로서 소설 속 편지의 특수성 = 245
3. 이태준 장편소설에 나타난 편지의 성격 = 249
4. 사건의 전환점으로서 '편지'의 근대성과 한계 = 259
5. 결론 = 262
참고문헌 = 265
논문이 수록된 학회지 = 273
찾아보기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