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시경 어록 = ⅱ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의 횃불을 든 사람들 = ⅲ
조선어 강습원(한글 배곧)의 각종 증서 = xi
머리말 = xv
1부 민족어문의 발전과 철학적 기반 = 1
1. 공리적 언어관의 형성ㆍ발전과 훔볼트 언어철학의 수용양상 = 3
2. 통일언어철학의 탐색 방향 = 34
2부 개화기의 민족어문의 발견과 국권수호 = 57
1. 유길준의 국문관과 사회사상 = 59
2. 개화기의 민족어 연구단체와 민족어문 보급 활동 = 82
[붙임] 주시경 선생의 자작 동요와 '조선어강습원'의 각종 증서 = 129
3. '국문'과 '한글', 그리고 '한글'의 '작명부' = 142
4.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 155
[붙임] 우리의 언어ㆍ문자의 명칭에 관련된 자료(1880~1998) = 175
3부 일제 강점기의 민족어문의 표준화와 문화창조 = 179
1. 이윤재의 사회사상과 문화민족주의 = 181
[붙임1] 이윤재의 저술목록 = 215
[붙임2] 이윤재의 걸어온 길[年譜] = 227
2. 이극로의 사회사상과 민족어 수호운동 = 239
[붙임] 이극로의 저술목록 = 294
3. 일제 강점기의 민족 어문의 표준화와 민족문화 창조의 기반 구축 = 307
4. 옛 소련 고려인 사회의 민족어 수호 운동 = 428
참고논저 = 467
붙임말[해설] = 479
찾아보기 = 488
주시경 어록 = ⅱ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의 횃불을 든 사람들 = ⅲ
조선어 강습원(한글 배곧)의 각종 증서 = xi
머리말 = xv
1부 민족어문의 발전과 철학적 기반 = 1
1. 공리적 언어관의 형성ㆍ발전과 훔볼트 언어철학의 수용양상 = 3
2. 통일언어철학의 탐색 방향 = 34
2부 개화기의 민족어문의 발견과 국권수호 = 57
1. 유길준의 국문관과 사회사상 = 59
2. 개화기의 민족어 연구단체와 민족어문 보급 활동 = 82
[붙임] 주시경 선생의 자작 동요와 '조선어강습원'의 각종 증서 = 129
3. '국문'과 '한글', 그리고 '한글'의 '작명부' = 142
4.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 155
[붙임] 우리의 언어ㆍ문자의 명칭에 관련된 자료(1880~1998) = 175
3부 일제 강점기의 민족어문의 표준화와 문화창조 = 179
1. 이윤재의 사회사상과 문화민족주의 = 181
[붙임1] 이윤재의 저술목록 = 215
[붙임2] 이윤재의 걸어온 길[年譜] = 227
2. 이극로의 사회사상과 민족어 수호운동 = 239
[붙임] 이극로의 저술목록 = 294
3. 일제 강점기의 민족 어문의 표준화와 민족문화 창조의 기반 구축 = 307
4. 옛 소련 고려인 사회의 민족어 수호 운동 = 428
참고논저 = 467
붙임말[해설] = 479
찾아보기 =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