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제Ⅰ장 서론
1. 연구 현황 ... 11
2. 연구 방향 ... 22
제Ⅱ장 금석문의 역독과 분석
1. 척경 관련 금석문 ... 29
1) 단양적성신라비 ... 29
2) 창녕진흥왕 척경비 ... 50
2. 순수 관련 금석문 ... 63
1) 북한산진흥왕순수비 ... 63
2) 마운령진흥왕순수비 ... 81
3. 역역 관련 금석문 ... 95
1) 영천청제비 병진명 ... 95
2) 명활산성작성비 ... 109
제Ⅲ장 금석문 자료로 본 육부와 지방 통치
1. 부명의 사용시기 ... 127
1) 출현시기 ... 127
2) 소멸 시기 ... 143
2. 왕실의 소속부 -울주천전리화석을 중심으로- ... 151
1) 명문의 판독 ... 152
2) 인명의 분석 ... 157
3) 명문의 내용 ... 163
4) 왕실의 소속부 ... 168
3. 지방관 ... 171
1) 창영비의 지방관 ... 172
2) 사대등 ... 176
3) 당주와 도사 ... 181
4) 지방관의 상호 관계 ... 187
4. 촌의 구조 ... 193
1) 남산신성비의 촌 ... 194
2) 자연촌과 행정촌 ... 201
3) 촌과 촌주의 관계 ... 207
제Ⅳ장 결론
참고문헌 ... 224
부록 : 주요 금석문 판독 대비표 ... 238
찾아보기 ... 248
책머리에 ... 4
제Ⅰ장 서론
1. 연구 현황 ... 11
2. 연구 방향 ... 22
제Ⅱ장 금석문의 역독과 분석
1. 척경 관련 금석문 ... 29
1) 단양적성신라비 ... 29
2) 창녕진흥왕 척경비 ... 50
2. 순수 관련 금석문 ... 63
1) 북한산진흥왕순수비 ... 63
2) 마운령진흥왕순수비 ... 81
3. 역역 관련 금석문 ... 95
1) 영천청제비 병진명 ... 95
2) 명활산성작성비 ... 109
제Ⅲ장 금석문 자료로 본 육부와 지방 통치
1. 부명의 사용시기 ... 127
1) 출현시기 ... 127
2) 소멸 시기 ... 143
2. 왕실의 소속부 -울주천전리화석을 중심으로- ... 151
1) 명문의 판독 ... 152
2) 인명의 분석 ... 157
3) 명문의 내용 ... 163
4) 왕실의 소속부 ... 168
3. 지방관 ... 171
1) 창영비의 지방관 ... 172
2) 사대등 ... 176
3) 당주와 도사 ... 181
4) 지방관의 상호 관계 ... 187
4. 촌의 구조 ... 193
1) 남산신성비의 촌 ... 194
2) 자연촌과 행정촌 ... 201
3) 촌과 촌주의 관계 ... 207
제Ⅳ장 결론
참고문헌 ... 224
부록 : 주요 금석문 판독 대비표 ... 238
찾아보기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