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중국
제1절 중국의 약사(略史) = 20
1. 간략하게 본 중국의 역사 = 20
1) 중국 성립 이전 = 20
2) 중국 성립 후 = 21
2. 언어 = 22
3. 종교 = 23
제2절 중국의 환경 = 23
1. 지리 = 23
1) 국경 = 23
2) 기후 및 지리적 특색 = 24
2. 행정 구역 = 24
1) 성(省) = 25
2) 자치구(自治S:) = 26
3) 직할시(直?市) = 26
4) 특별행정구(特別行政S:) = 26
3. 인구 구성 = 27
4. 경제 = 27
5. 대외 관계 = 28
1) 대한(對韓) 관계 = 28
2) 역사 분쟁 = 28
제2장 차문화 개요
제1절 문화란 = 30
1. 문화의 정의 = 30
1) 문화의 속성 = 30
2) 문화변동의 요인 = 31
3) 문화변동 양상 = 31
4) 문화이해의 관점 = 31
2. 문명(civilization)과 문화(culture)의 차이 = 32
제2절 차문화의 정의 = 32
1. 차문화란? = 32
2. 차문화의 기원과 시기 = 32
1) 차문화의 기원 = 32
2) 중국역사의 흐름 = 34
3) 차문화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역사 = 34
3. 음다의 기원과 변천과정 = 35
1) 약용 = 35
2) 식용 = 37
3) 제례의 제물로 사용 = 39
4) 음용 = 39
제3장 중국의 시대별 차문화사
제1절 차문화 기원기: 삼황오제∼하ㆍ상ㆍ주(서주ㆍ동주) = 44
1.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 = 44
1) 삼황오제의 시대적 배경 = 44
2) 삼황오제에 관한 사료고찰 = 44
3) 삼황오제 시대의 차문화 = 47
4) 삼황오제 시대의 도자문화 = 48
2. 하ㆍ상ㆍ주(夏ㆍ商ㆍ周, 기원전 2100년∼기원전 221년) 시대 = 49
1) 하ㆍ상ㆍ주의 시대적 배경 = 49
2) 하ㆍ상ㆍ주대의 차문화 = 55
3) 하ㆍ상ㆍ주대의 도자문화 = 57
제2절 차문화 태동기: 진∼한(전한ㆍ후한) = 59
1. 진(秦, 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의 시대 = 59
1) 진의 시대적 배경 = 59
2) 진대의 차문화 = 60
3) 진대의 도자문화 = 61
2. 한(漢, 기원전 206년∼서기 220년)의 시대 = 61
1) 한의 시대적 배경 = 61
2) 한대의 차문화 = 64
3) 한대(漢代)의 도자문화 = 67
제3절 차문화 형성기: 삼국(위ㆍ촉ㆍ오)∼양진남북조 = 68
1. 삼국시대〔三國時代, 서기 220년∼280년, 위ㆍ촉ㆍ오(魏ㆍ蜀ㆍ吳)〕 = 68
1) 삼국의 시대적 배경 = 68
2) 삼국시대의 차문화 = 68
3) 삼국시대 도자문화 = 70
2. 양진남북조시대(兩晉南北朝時代, 서기 265년∼589년) = 71
1) 양진남북조시대의 시대적 배경 = 71
2) 양진남북조시대의 사회와 문화 = 75
3) 양진남북조시대의 차문화 = 76
4) 양진남북조시대의 도자문화 = 82
제4절 차문화 발전기: 수ㆍ당ㆍ오대십국 = 84
1. 수〔隋, 서기 581년∼618년ㆍ대흥(大興-서안)〕 = 84
1) 수의 시대적 배경 = 84
2) 수대의 차문화 = 86
3) 수대의 도자문화 = 87
2. 당〔唐, 서기 618년∼907년ㆍ장안(長安)〕 = 87
1) 당의 시대적 배경 = 87
2) 당대의 차문화 = 89
3) 당대의 도자문화 = 104
4) 육우와『다경』 = 105
3. 오대십국(五代十國, 서기 907년∼960년) = 129
1) 오대십국의 시대적 배경 = 129
2) 오대십국의 차문화 = 130
3) 오대십국의 도자문화 = 134
제5절 차문화의 번영기: 송(북송ㆍ남송)ㆍ요ㆍ금 = 135
1. 송(宋, 서기 960년∼1279년) = 135
1) 송의 시대적 배경 = 135
2) 송대의 문화 = 137
3) 송대의 차문화 = 138
4) 송대의 도자문화 = 160
2. 요(遼, 서기 916년∼1125년) = 161
1) 요의 시대적 배경 = 161
2) 요의 차문화 = 162
3) 요의 도자문화 = 163
3. 금(金, 서기 1115년∼1234년) = 163
1) 금의 시대적 배경 = 163
2) 금의 차문화 = 164
3) 금의 도자문화 = 166
제6절 차문화 전환기: 원 = 166
1. 원〔元, 서기 1206년∼1368년ㆍ대도(大都-북경(北京)〕 = 166
1) 원의 시대적 배경 = 166
2) 동서 문화교류 = 169
3) 원대의 문화 = 170
4) 원대의 차문화 = 171
5) 원대의 도자문화 = 177
제7절 차문화 중흥기: 명ㆍ청 = 178
1. 명〔明, 서기 1368년∼1644년ㆍ남경(南京)ㆍ북경(北京)〕 = 178
1) 명의 시대적 배경 = 178
2) 명대의 문화 = 183
3) 명대의 차문화 = 184
4) 명대의 도자문화 = 193
2. 청〔淸, 서기 1644년∼1911년ㆍ북경(北京)〕 = 195
1) 청의 시대적 배경 = 195
2) 청말(淸末)의 시대적 배경 = 197
3) 청대의 문화 = 199
4) 청대의 차문화 = 200
5) 청대의 도자문화 = 206
제8절 차문화 쇠퇴기: 청말∼민국 문화혁명기 = 207
1. 청말ㆍ민국〔淸末ㆍ民國, 서기 1912년∼1949년ㆍ남경(南京)〕 = 207
1) 청말, 민국의 시대적 배경 = 207
2) 청말, 민국의 차문화 = 208
2.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서기 1949년 10월∼1978년, 북경(北京)〕초기 = 209
1) 중화인민공화국초기의 시대적 배경 = 209
2) 근대 중국의 차산업 = 209
제9절 차문화 부흥기: 1978년 이후∼현재 = 210
1. 1978년 이후 시대적 배경 = 210
1) 등소평의 개방과 온건 시기(1978년∼1989년) = 210
2) 강택민의 고속 성장시대(1989년∼2003년) = 211
3) 호금도의 테크노크라트 시대(2003년∼) = 211
2. 중국의 개방 및 개혁정책과 차산업 현황 = 212
3. 현대의 중국 차산업 = 213
제4장 중국의 명차
제1절 중국 4대 차 생산 지역별 명차 = 216
1. 강북차구(江北茶區) = 216
2. 강남차구(江南茶區) = 217
1) 녹차류 = 217
2) 홍차류 = 217
3) 황차류 = 218
4) 흑차류 = 218
5) 화차류 = 218
3. 화남차구(華南茶區) = 218
1) 녹차류 = 218
2) 청차류 = 219
3) 홍차류 = 219
4) 백차류 = 219
5) 황차류 = 219
6) 흑차류 = 219
7) 긴압차류 = 220
8) 화차류 = 220
4. 서남차구(西南茶區) = 220
1) 녹차류 = 220
2) 홍차류 = 220
3) 황차류 = 221
4) 흑차류 = 221
5) 화차 = 221
제2절 각 성(省)별 명차의 특징 및 식별 = 221
1. 강소성(江蘇省) 지역의 명차 = 221
1) 동정벽라춘(洞庭碧螺春) = 221
2) 남경우화차(南京雨花茶) = 222
3) 양선설아(陽羨雪芽) = 222
4) 무석호차(無錫毫茶) = 223
2. 안휘성(安徽省) 지역의 명차 = 223
1) 황산모봉(黃山毛峰) = 223
2) 태평후괴(太平s4傀) = 224
3) 육안과편(六安瓜片) = 225
4) 황산녹목단(黃山綠牡丹) = 225
5) 기문홍차(祁門紅茶) = 226
6) 곽산황아(?
山黃芽) = 228
3. 호북성(湖北省) 지역의 명차 = 229
1) 협주벽봉(峽州碧峰) = 229
2) 은시옥로(恩施玉露) = 229
3) 미전차(米x礬?) = 230
4) 녹원모첨(鹿苑毛尖) = 230
4. 하남성(河南省)ㆍ섬서성(陝西省) 지역의 명차 = 230
1) 신양모첨(信陽毛尖) = 231
2) 자양모첨(紫陽毛尖) = 231
5. 절강성(折江省) 지역의 명차 = 231
1) 서호 용정차(西湖龍井茶) = 231
2) 안길백차(安吉白茶) = 233
3) 개화용정(開化龍頂) = 233
4) 고저자순차(顧渚紫筍茶) = 234
5) 경산차(經山茶) = 234
6) 천목 청천차(天目 淸泉茶) = 235
7) 국화차(菊花茶) = 236
6. 호남성(湖南省) 지역의 명차 = 237
1) 군산은침(君山銀針) = 237
2) 천량차(千兩茶) = 237
7. 강서성(江西省) 지역의 명차 = 238
1) 여산운무(廬山雲霧) = 238
2) 영홍공부홍차(寧紅工夫紅茶) = 239
8. 복건성(福建省) 지역의 명차 = 239
1) 민남오룡 = 240
2) 민북오룡 = 244
9. 광동성(廣東省) 지역의 명차 = 250
1) 봉황수선(鳳凰水仙) = 250
2) 봉황단종(鳳凰單種) = 251
10.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지역의 명차 = 252
1) 육보차(六堡茶) = 252
2) 충시차(蟲屎茶) = 253
3) 계평서산차(桂平西山茶) = 253
4) 말리화차(茉莉花茶) = 254
11. 해남성(海南省) 지역의 명차 = 254
1) 백사녹차(白沙綠茶) = 254
2) 해남홍쇄차(海南紅碎茶) = 255
12. 대만(臺灣) 지역의 명차 = 255
1) 동정오룡(凍頂烏龍) = 255
2) 백호오룡(白毫烏龍) = 256
3) 문산포종(文山包種) = 258
4) 목책철관음(木柵鐵觀音) = 258
13. 운남성(雲南省) 지역의 명차 = 259
1) 운남보이차(雲南普耳茶) = 259
2) 운남공부홍차(雲南工夫紅茶) = 260
3) 홍쇄차(紅碎茶) = 261
4) 운남타차(雲南l깖?) = 262
14. 사천성(四川省) 지역의 명차 = 262
1) 몽정감로(蒙頂甘露) = 262
2) 아미죽엽청(峨眉竹葉靑) = 263
3) 몽정황아(蒙頂黃芽) = 263
15. 귀주성(貴州省) 지역의 명차 = 264
1) 도균모첨(都勻毛尖) = 264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69
제1장 중국
제1절 중국의 약사(略史) = 20
1. 간략하게 본 중국의 역사 = 20
1) 중국 성립 이전 = 20
2) 중국 성립 후 = 21
2. 언어 = 22
3. 종교 = 23
제2절 중국의 환경 = 23
1. 지리 = 23
1) 국경 = 23
2) 기후 및 지리적 특색 = 24
2. 행정 구역 = 24
1) 성(省) = 25
2) 자치구(自治S:) = 26
3) 직할시(直?市) = 26
4) 특별행정구(特別行政S:) = 26
3. 인구 구성 = 27
4. 경제 = 27
5. 대외 관계 = 28
1) 대한(對韓) 관계 = 28
2) 역사 분쟁 = 28
제2장 차문화 개요
제1절 문화란 = 30
1. 문화의 정의 = 30
1) 문화의 속성 = 30
2) 문화변동의 요인 = 31
3) 문화변동 양상 = 31
4) 문화이해의 관점 = 31
2. 문명(civilization)과 문화(culture)의 차이 = 32
제2절 차문화의 정의 = 32
1. 차문화란? = 32
2. 차문화의 기원과 시기 = 32
1) 차문화의 기원 = 32
2) 중국역사의 흐름 = 34
3) 차문화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역사 = 34
3. 음다의 기원과 변천과정 = 35
1) 약용 = 35
2) 식용 = 37
3) 제례의 제물로 사용 = 39
4) 음용 = 39
제3장 중국의 시대별 차문화사
제1절 차문화 기원기: 삼황오제∼하ㆍ상ㆍ주(서주ㆍ동주) = 44
1.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 = 44
1) 삼황오제의 시대적 배경 = 44
2) 삼황오제에 관한 사료고찰 = 44
3) 삼황오제 시대의 차문화 = 47
4) 삼황오제 시대의 도자문화 = 48
2. 하ㆍ상ㆍ주(夏ㆍ商ㆍ周, 기원전 2100년∼기원전 221년) 시대 = 49
1) 하ㆍ상ㆍ주의 시대적 배경 = 49
2) 하ㆍ상ㆍ주대의 차문화 = 55
3) 하ㆍ상ㆍ주대의 도자문화 = 57
제2절 차문화 태동기: 진∼한(전한ㆍ후한) = 59
1. 진(秦, 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의 시대 = 59
1) 진의 시대적 배경 = 59
2) 진대의 차문화 = 60
3) 진대의 도자문화 = 61
2. 한(漢, 기원전 206년∼서기 220년)의 시대 = 61
1) 한의 시대적 배경 = 61
2) 한대의 차문화 = 64
3) 한대(漢代)의 도자문화 = 67
제3절 차문화 형성기: 삼국(위ㆍ촉ㆍ오)∼양진남북조 = 68
1. 삼국시대〔三國時代, 서기 220년∼280년, 위ㆍ촉ㆍ오(魏ㆍ蜀ㆍ吳)〕 = 68
1) 삼국의 시대적 배경 = 68
2) 삼국시대의 차문화 = 68
3) 삼국시대 도자문화 = 70
2. 양진남북조시대(兩晉南北朝時代, 서기 265년∼589년) = 71
1) 양진남북조시대의 시대적 배경 = 71
2) 양진남북조시대의 사회와 문화 = 75
3) 양진남북조시대의 차문화 = 76
4) 양진남북조시대의 도자문화 = 82
제4절 차문화 발전기: 수ㆍ당ㆍ오대십국 = 84
1. 수〔隋, 서기 581년∼618년ㆍ대흥(大興-서안)〕 = 84
1) 수의 시대적 배경 = 84
2) 수대의 차문화 = 86
3) 수대의 도자문화 = 87
2. 당〔唐, 서기 618년∼907년ㆍ장안(長安)〕 = 87
1) 당의 시대적 배경 = 87
2) 당대의 차문화 = 89
3) 당대의 도자문화 = 104
4) 육우와『다경』 = 105
3. 오대십국(五代十國, 서기 907년∼960년) = 129
1) 오대십국의 시대적 배경 = 129
2) 오대십국의 차문화 = 130
3) 오대십국의 도자문화 = 134
제5절 차문화의 번영기: 송(북송ㆍ남송)ㆍ요ㆍ금 = 135
1. 송(宋, 서기 960년∼1279년) = 135
1) 송의 시대적 배경 = 135
2) 송대의 문화 = 137
3) 송대의 차문화 = 138
4) 송대의 도자문화 = 160
2. 요(遼, 서기 916년∼1125년) = 161
1) 요의 시대적 배경 = 161
2) 요의 차문화 = 162
3) 요의 도자문화 = 163
3. 금(金, 서기 1115년∼1234년) = 163
1) 금의 시대적 배경 = 163
2) 금의 차문화 = 164
3) 금의 도자문화 = 166
제6절 차문화 전환기: 원 = 166
1. 원〔元, 서기 1206년∼1368년ㆍ대도(大都-북경(北京)〕 = 166
1) 원의 시대적 배경 = 166
2) 동서 문화교류 = 169
3) 원대의 문화 = 170
4) 원대의 차문화 = 171
5) 원대의 도자문화 = 177
제7절 차문화 중흥기: 명ㆍ청 = 178
1. 명〔明, 서기 1368년∼1644년ㆍ남경(南京)ㆍ북경(北京)〕 = 178
1) 명의 시대적 배경 = 178
2) 명대의 문화 = 183
3) 명대의 차문화 = 184
4) 명대의 도자문화 = 193
2. 청〔淸, 서기 1644년∼1911년ㆍ북경(北京)〕 = 195
1) 청의 시대적 배경 = 195
2) 청말(淸末)의 시대적 배경 = 197
3) 청대의 문화 = 199
4) 청대의 차문화 = 200
5) 청대의 도자문화 = 206
제8절 차문화 쇠퇴기: 청말∼민국 문화혁명기 = 207
1. 청말ㆍ민국〔淸末ㆍ民國, 서기 1912년∼1949년ㆍ남경(南京)〕 = 207
1) 청말, 민국의 시대적 배경 = 207
2) 청말, 민국의 차문화 = 208
2.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서기 1949년 10월∼1978년, 북경(北京)〕초기 = 209
1) 중화인민공화국초기의 시대적 배경 = 209
2) 근대 중국의 차산업 = 209
제9절 차문화 부흥기: 1978년 이후∼현재 = 210
1. 1978년 이후 시대적 배경 = 210
1) 등소평의 개방과 온건 시기(1978년∼1989년) = 210
2) 강택민의 고속 성장시대(1989년∼2003년) = 211
3) 호금도의 테크노크라트 시대(2003년∼) = 211
2. 중국의 개방 및 개혁정책과 차산업 현황 = 212
3. 현대의 중국 차산업 = 213
제4장 중국의 명차
제1절 중국 4대 차 생산 지역별 명차 = 216
1. 강북차구(江北茶區) = 216
2. 강남차구(江南茶區) = 217
1) 녹차류 = 217
2) 홍차류 = 217
3) 황차류 = 218
4) 흑차류 = 218
5) 화차류 = 218
3. 화남차구(華南茶區) = 218
1) 녹차류 = 218
2) 청차류 = 219
3) 홍차류 = 219
4) 백차류 = 219
5) 황차류 = 219
6) 흑차류 = 219
7) 긴압차류 = 220
8) 화차류 = 220
4. 서남차구(西南茶區) = 220
1) 녹차류 = 220
2) 홍차류 = 220
3) 황차류 = 221
4) 흑차류 = 221
5) 화차 = 221
제2절 각 성(省)별 명차의 특징 및 식별 = 221
1. 강소성(江蘇省) 지역의 명차 = 221
1) 동정벽라춘(洞庭碧螺春) = 221
2) 남경우화차(南京雨花茶) = 222
3) 양선설아(陽羨雪芽) = 222
4) 무석호차(無錫毫茶) = 223
2. 안휘성(安徽省) 지역의 명차 = 223
1) 황산모봉(黃山毛峰) = 223
2) 태평후괴(太平s4傀) = 224
3) 육안과편(六安瓜片) = 225
4) 황산녹목단(黃山綠牡丹) = 225
5) 기문홍차(祁門紅茶) = 226
6) 곽산황아(?
山黃芽) = 228
3. 호북성(湖北省) 지역의 명차 = 229
1) 협주벽봉(峽州碧峰) = 229
2) 은시옥로(恩施玉露) = 229
3) 미전차(米x礬?) = 230
4) 녹원모첨(鹿苑毛尖) = 230
4. 하남성(河南省)ㆍ섬서성(陝西省) 지역의 명차 = 230
1) 신양모첨(信陽毛尖) = 231
2) 자양모첨(紫陽毛尖) = 231
5. 절강성(折江省) 지역의 명차 = 231
1) 서호 용정차(西湖龍井茶) = 231
2) 안길백차(安吉白茶) = 233
3) 개화용정(開化龍頂) = 233
4) 고저자순차(顧渚紫筍茶) = 234
5) 경산차(經山茶) = 234
6) 천목 청천차(天目 淸泉茶) = 235
7) 국화차(菊花茶) = 236
6. 호남성(湖南省) 지역의 명차 = 237
1) 군산은침(君山銀針) = 237
2) 천량차(千兩茶) = 237
7. 강서성(江西省) 지역의 명차 = 238
1) 여산운무(廬山雲霧) = 238
2) 영홍공부홍차(寧紅工夫紅茶) = 239
8. 복건성(福建省) 지역의 명차 = 239
1) 민남오룡 = 240
2) 민북오룡 = 244
9. 광동성(廣東省) 지역의 명차 = 250
1) 봉황수선(鳳凰水仙) = 250
2) 봉황단종(鳳凰單種) = 251
10. 광서장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지역의 명차 = 252
1) 육보차(六堡茶) = 252
2) 충시차(蟲屎茶) = 253
3) 계평서산차(桂平西山茶) = 253
4) 말리화차(茉莉花茶) = 254
11. 해남성(海南省) 지역의 명차 = 254
1) 백사녹차(白沙綠茶) = 254
2) 해남홍쇄차(海南紅碎茶) = 255
12. 대만(臺灣) 지역의 명차 = 255
1) 동정오룡(凍頂烏龍) = 255
2) 백호오룡(白毫烏龍) = 256
3) 문산포종(文山包種) = 258
4) 목책철관음(木柵鐵觀音) = 258
13. 운남성(雲南省) 지역의 명차 = 259
1) 운남보이차(雲南普耳茶) = 259
2) 운남공부홍차(雲南工夫紅茶) = 260
3) 홍쇄차(紅碎茶) = 261
4) 운남타차(雲南l깖?) = 262
14. 사천성(四川省) 지역의 명차 = 262
1) 몽정감로(蒙頂甘露) = 262
2) 아미죽엽청(峨眉竹葉靑) = 263
3) 몽정황아(蒙頂黃芽) = 263
15. 귀주성(貴州省) 지역의 명차 = 264
1) 도균모첨(都勻毛尖) = 264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