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감사의 글 = 9
서문 : 내가 면담을 시작하게 된 배경 = 17
제1장 왜 면담을 하는가 = 27
1. 면담의 목적 = 31
2. 면담: '유일한' 방법 혹은 '하나의' 방법 = 34
3. 왜 면담을 안 하는가 = 37
4. 결론 = 40
제2장 심층적이고 현상학적인 면담의 구조 = 43
1. 세 번의 면담 = 46
2. 구조를 중시하라 = 50
3. 면담의 길이 = 52
4. 면담의 간격 = 54
5. 대안적인 구조와 절차 = 55
6. 타당도와 신뢰도 = 56
7. 스스로 그 과정을 경험하라 = 64
제3장 박사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쓰기 - 연구 아이디어를 글로 표현하고 실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 = 67
1. 통과의례로서의 연구계획서 = 68
2. 헌신 = 70
3. 생각을 글로 옮기기 = 72
4. 어떻게 써야 하는가 = 74
5.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75
6. 이론적 근거 = 84
7. 수집된 자료의 정리와 분석 = 86
8. 예비연구 = 90
9. 결론 = 91
제4장 연구참여자의 선정과정 = 93
1. 연구참여자를 쉽게 찾는 것의 위험성 = 94
2. 공식적인 절차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선정 = 101
3. 비공식적인 통로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선정 = 104
4. 연구참여자의 선정과정과 위계질서 = 105
5. 잠정적인 연구참여자에게 연락하기 = 106
6. 잠정적인 연구참여자를 직접 만나기 = 107
7. 잠정적인 연구참여자 확보하기 = 111
8. 여러 가지 생각해 볼 문제 = 111
9. 연구참여자 선정하기 = 115
10. 연구참여자 선정과정에서 피해야 할 유혹 = 121
11. 연구참여자의 수는 몇 명이 충분한 것인가 = 122
제5장 기관심의위원회(IRB)와 연구참여동의서 = 127
1. 벨몬트 보고서 = 128
2. 지역별 기관심의위원회의 설립 = 130
3. 연구참여동의서 = 133
4. 연구참여동의서의 여덟 가지 주요 내용 = 136
5. 기관심의위원회의 심의 절차와 연구참여동의서의 문서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배경 = 161
제6장 기법이 전부는 아니지만, 중요하다 = 169
1. 더 많이 듣고, 더 적게 말하라 = 169
2. 연구참여자가 하는 말을 따라가라 = 174
3. 더 많이 듣고, 더 적게 말하고, 진짜 질문을 하라 = 180
4. 따라가되 방해하지 마라 = 183
5. 가장 선호하는 두 가지 접근법 = 185
6. 연구참여자가 기억해 내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하도록 질문하라 = 188
7. 연구참여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구체적인 사항을 질문하라 = 189
8. 너무 개인적으로 면담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라 = 189
9. 연구자의 상호작용을 제한하라 = 190
10. 웃음을 탐색하라 = 192
11. 직감을 따르라 = 194
12. 면담 지침은 신중하게 사용하라 = 195
13. 침묵을 수용하라 = 197
14. 결론 = 199
제7장 관계로서의 면담 = 201
1. 'I-Thou' 관계로서의 면담 = 202
2. 라포 = 204
3. 사회적 정체성과 면담 관계 = 210
4. 사적 경험, 개인적 경험, 공적 경험의 구분 = 225
5. 치료적인 관계 피하기 = 227
6. 상호성 = 229
7. 공정성 = 231
제8장 면담 자료의 분석, 해석 및 공유 = 235
1. 자료 관리하기 = 236
2. 면담과 자료의 분석 과정을 분리하기: 각 면담 사이에 할 일 = 237
3. 면담 녹음하기 = 239
4. 면담 테이프 전사하기 = 240
5. 원문의 검토, 축소와 분석 = 243
6. 면담 자료 공유하기: 프로파일과 주제 = 247
7. 주제를 연결하고 분석하기 = 258
8. 자료 해석하기 = 264
부록 두 개의 프로파일 = 269
난다(NANDA): 폴 포트 시대의 캄보디아인 생존자 = 269
베티(BETTY): 오랜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 282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311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감사의 글 = 9
서문 : 내가 면담을 시작하게 된 배경 = 17
제1장 왜 면담을 하는가 = 27
1. 면담의 목적 = 31
2. 면담: '유일한' 방법 혹은 '하나의' 방법 = 34
3. 왜 면담을 안 하는가 = 37
4. 결론 = 40
제2장 심층적이고 현상학적인 면담의 구조 = 43
1. 세 번의 면담 = 46
2. 구조를 중시하라 = 50
3. 면담의 길이 = 52
4. 면담의 간격 = 54
5. 대안적인 구조와 절차 = 55
6. 타당도와 신뢰도 = 56
7. 스스로 그 과정을 경험하라 = 64
제3장 박사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쓰기 - 연구 아이디어를 글로 표현하고 실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 = 67
1. 통과의례로서의 연구계획서 = 68
2. 헌신 = 70
3. 생각을 글로 옮기기 = 72
4. 어떻게 써야 하는가 = 74
5.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75
6. 이론적 근거 = 84
7. 수집된 자료의 정리와 분석 = 86
8. 예비연구 = 90
9. 결론 = 91
제4장 연구참여자의 선정과정 = 93
1. 연구참여자를 쉽게 찾는 것의 위험성 = 94
2. 공식적인 절차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선정 = 101
3. 비공식적인 통로를 통한 연구참여자의 선정 = 104
4. 연구참여자의 선정과정과 위계질서 = 105
5. 잠정적인 연구참여자에게 연락하기 = 106
6. 잠정적인 연구참여자를 직접 만나기 = 107
7. 잠정적인 연구참여자 확보하기 = 111
8. 여러 가지 생각해 볼 문제 = 111
9. 연구참여자 선정하기 = 115
10. 연구참여자 선정과정에서 피해야 할 유혹 = 121
11. 연구참여자의 수는 몇 명이 충분한 것인가 = 122
제5장 기관심의위원회(IRB)와 연구참여동의서 = 127
1. 벨몬트 보고서 = 128
2. 지역별 기관심의위원회의 설립 = 130
3. 연구참여동의서 = 133
4. 연구참여동의서의 여덟 가지 주요 내용 = 136
5. 기관심의위원회의 심의 절차와 연구참여동의서의 문서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배경 = 161
제6장 기법이 전부는 아니지만, 중요하다 = 169
1. 더 많이 듣고, 더 적게 말하라 = 169
2. 연구참여자가 하는 말을 따라가라 = 174
3. 더 많이 듣고, 더 적게 말하고, 진짜 질문을 하라 = 180
4. 따라가되 방해하지 마라 = 183
5. 가장 선호하는 두 가지 접근법 = 185
6. 연구참여자가 기억해 내는 것이 아니라 재구성하도록 질문하라 = 188
7. 연구참여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구체적인 사항을 질문하라 = 189
8. 너무 개인적으로 면담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라 = 189
9. 연구자의 상호작용을 제한하라 = 190
10. 웃음을 탐색하라 = 192
11. 직감을 따르라 = 194
12. 면담 지침은 신중하게 사용하라 = 195
13. 침묵을 수용하라 = 197
14. 결론 = 199
제7장 관계로서의 면담 = 201
1. 'I-Thou' 관계로서의 면담 = 202
2. 라포 = 204
3. 사회적 정체성과 면담 관계 = 210
4. 사적 경험, 개인적 경험, 공적 경험의 구분 = 225
5. 치료적인 관계 피하기 = 227
6. 상호성 = 229
7. 공정성 = 231
제8장 면담 자료의 분석, 해석 및 공유 = 235
1. 자료 관리하기 = 236
2. 면담과 자료의 분석 과정을 분리하기: 각 면담 사이에 할 일 = 237
3. 면담 녹음하기 = 239
4. 면담 테이프 전사하기 = 240
5. 원문의 검토, 축소와 분석 = 243
6. 면담 자료 공유하기: 프로파일과 주제 = 247
7. 주제를 연결하고 분석하기 = 258
8. 자료 해석하기 = 264
부록 두 개의 프로파일 = 269
난다(NANDA): 폴 포트 시대의 캄보디아인 생존자 = 269
베티(BETTY): 오랜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 282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