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ⅳ
제1부 총론 = 1
01 인지언어학의 현황과 전망 = 3
1. 들머리 = 3
2. 인지언어학의 기본 개념 = 4
3. 인지언어학의 연구 현황 = 12
4. 인지언어학의 전망 = 25
5. 마무리 = 33
02 의미의 본질 = 35
1. 들머리 = 35
2. 인지언어학의 성격 = 37
3. 인지언어학의 두 가지 분야 = 41
4. 의미의 본질에 대한 대립적 관점 = 46
5. 마무리 = 54
03 국어 의미 연구의 성과와 과제 = 57
1. 들머리 = 57
2. 의미 연구의 성과 = 59
3. 의미 연구의 과제 = 69
4. 마무리 = 74
제2부 의미 구조의 확장 = 75
04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 = 77
1. 들머리 = 77
2. 신체화에 기초한 의미 확장 원리 = 79
3. 사전에서의 신체어 기술 양상 = 82
4.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 = 88
5. 신체어의 의미 확장 해석 = 96
6. 마무리 = 103
05 다의어 '사다-팔다'의 의미 분석 = 105
1. 들머리 = 105
2. 인지의미론과 다의관계 = 106
3. '사다'와 '팔다'의 원형의미 = 110
4. '사다'와 '팔다'의 확장의미 = 113
5. 다의어의 비대칭성 = 118
6. 마무리 = 123
06 의미 구조의 비대칭성 = 125
1. 들머리 = 127
2. 의미 구조의 비대칭 양상 = 127
3. 의미 구조의 비대칭성 해석 = 136
07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 141
1. 들머리 = 141
2. 다이어의 인지모형 = 142
3. 구조적 비대칭성 = 147
4. 빈도적 비대칭성 = 151
5. 인지적 비대칭성 = 157
6. 마무리 = 161
제3부 은유와 환유 = 163
08 개념적 은유 = 165
1. 들머리 = 165
2. 개념적 은유의 기본 개념 = 166
3. 개념적 은유의 유형 = 170
4. 개념적 은유의 작용 원리 = 174
5. 개념적 은유 이론의 의의 = 181
6. 마무리 = 189
09 개념적 환유 = 191
1. 들머리 = 191
2. 환유의 기본 개념 = 193
3. 환유 표현의 양상 = 197
4. 환유 표현의 작용 원리 = 206
5. 마무리 = 215
10 '시간'의 개념화 양상 = 217
1. 들머리 = 217
2. 은유와 환유의 기본 개념 = 219
3. 시간의 은유화 양상 = 222
4. 시간의 환유화 양상 = 231
5. 마무리 = 232
11 '기쁨'과 '슬픔'의 개념화 양상 = 233
1. 들머리 = 233
2. '기쁨'과 '슬픔'의 환유적 양상 = 234
3. '기쁨'과 '슬픔'의 은유적 양상 = 251
4. '기쁨'과 '슬픔'의 대립 양상 = 265
5. 마무리 = 274
제4부 이동과 도상성 = 277
12 이동 사건의 어휘와 양상 = 279
1. 들머리 = 279
2. 이동 사건과 언어 유형론 = 280
3. 한국어 이동 사건의 언어 유형론적 특성 = 289
4. 마무리 = 297
13 주관적 이동표현 = 299
1. 들머리 = 299
2. 이동의 언어화 양상 = 300
3. 상대적 이동표현 = 309
4. 심리적 이동표현 = 314
5. 마무리 = 322
14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 = 323
1. 들머리 = 323
2. 기호의 유형과 성격 = 324
3. 도상성의 양상 = 329
4. 도상성의 의미 특성 = 340
5. 마무리 = 345
제5부 공간과 장면 = 347
15 정신공간과 개념적 혼성 이론 = 349
1. 들머리 = 349
2. 정신공간 이론 = 350
3. 개념적 혼성 이론 = 360
4. 마무리 = 377
16 장면의 인지적 해석 = 379
1. 들머리 = 379
2. 해석의 기본 개념 = 381
3. 해석의 양상 = 386
4. 동의성의 해석 = 407
5. 마무리 = 415
17 시점의 역전 형상 = 417
1. 들머리 = 417
2. 시점 역전 현상의 기본 개념 = 419
3. 시점의 역전 양상 = 422
4. 시점 역전 현상의 의미 특성 = 432
5. 마무리 = 443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81
주제 찾기 = 481
인명 찾기 = 487
머리말 = ⅳ
제1부 총론 = 1
01 인지언어학의 현황과 전망 = 3
1. 들머리 = 3
2. 인지언어학의 기본 개념 = 4
3. 인지언어학의 연구 현황 = 12
4. 인지언어학의 전망 = 25
5. 마무리 = 33
02 의미의 본질 = 35
1. 들머리 = 35
2. 인지언어학의 성격 = 37
3. 인지언어학의 두 가지 분야 = 41
4. 의미의 본질에 대한 대립적 관점 = 46
5. 마무리 = 54
03 국어 의미 연구의 성과와 과제 = 57
1. 들머리 = 57
2. 의미 연구의 성과 = 59
3. 의미 연구의 과제 = 69
4. 마무리 = 74
제2부 의미 구조의 확장 = 75
04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 = 77
1. 들머리 = 77
2. 신체화에 기초한 의미 확장 원리 = 79
3. 사전에서의 신체어 기술 양상 = 82
4.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 = 88
5. 신체어의 의미 확장 해석 = 96
6. 마무리 = 103
05 다의어 '사다-팔다'의 의미 분석 = 105
1. 들머리 = 105
2. 인지의미론과 다의관계 = 106
3. '사다'와 '팔다'의 원형의미 = 110
4. '사다'와 '팔다'의 확장의미 = 113
5. 다의어의 비대칭성 = 118
6. 마무리 = 123
06 의미 구조의 비대칭성 = 125
1. 들머리 = 127
2. 의미 구조의 비대칭 양상 = 127
3. 의미 구조의 비대칭성 해석 = 136
07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 141
1. 들머리 = 141
2. 다이어의 인지모형 = 142
3. 구조적 비대칭성 = 147
4. 빈도적 비대칭성 = 151
5. 인지적 비대칭성 = 157
6. 마무리 = 161
제3부 은유와 환유 = 163
08 개념적 은유 = 165
1. 들머리 = 165
2. 개념적 은유의 기본 개념 = 166
3. 개념적 은유의 유형 = 170
4. 개념적 은유의 작용 원리 = 174
5. 개념적 은유 이론의 의의 = 181
6. 마무리 = 189
09 개념적 환유 = 191
1. 들머리 = 191
2. 환유의 기본 개념 = 193
3. 환유 표현의 양상 = 197
4. 환유 표현의 작용 원리 = 206
5. 마무리 = 215
10 '시간'의 개념화 양상 = 217
1. 들머리 = 217
2. 은유와 환유의 기본 개념 = 219
3. 시간의 은유화 양상 = 222
4. 시간의 환유화 양상 = 231
5. 마무리 = 232
11 '기쁨'과 '슬픔'의 개념화 양상 = 233
1. 들머리 = 233
2. '기쁨'과 '슬픔'의 환유적 양상 = 234
3. '기쁨'과 '슬픔'의 은유적 양상 = 251
4. '기쁨'과 '슬픔'의 대립 양상 = 265
5. 마무리 = 274
제4부 이동과 도상성 = 277
12 이동 사건의 어휘와 양상 = 279
1. 들머리 = 279
2. 이동 사건과 언어 유형론 = 280
3. 한국어 이동 사건의 언어 유형론적 특성 = 289
4. 마무리 = 297
13 주관적 이동표현 = 299
1. 들머리 = 299
2. 이동의 언어화 양상 = 300
3. 상대적 이동표현 = 309
4. 심리적 이동표현 = 314
5. 마무리 = 322
14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 = 323
1. 들머리 = 323
2. 기호의 유형과 성격 = 324
3. 도상성의 양상 = 329
4. 도상성의 의미 특성 = 340
5. 마무리 = 345
제5부 공간과 장면 = 347
15 정신공간과 개념적 혼성 이론 = 349
1. 들머리 = 349
2. 정신공간 이론 = 350
3. 개념적 혼성 이론 = 360
4. 마무리 = 377
16 장면의 인지적 해석 = 379
1. 들머리 = 379
2. 해석의 기본 개념 = 381
3. 해석의 양상 = 386
4. 동의성의 해석 = 407
5. 마무리 = 415
17 시점의 역전 형상 = 417
1. 들머리 = 417
2. 시점 역전 현상의 기본 개념 = 419
3. 시점의 역전 양상 = 422
4. 시점 역전 현상의 의미 특성 = 432
5. 마무리 = 443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81
주제 찾기 = 481
인명 찾기 =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