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10
서장 = 11
1. 연구 목적 및 방법 = 13
2. 선행연구의 검토 = 17
3. 북한에서의 춤장르 구분 = 23
4. 연구의 의의 = 28
제1장 북한의 사회적 배경과 춤정책 = 31
1. 북한의 사회적 배경 = 33
2. 북한의 춤정책 = 36
3. 춤정책을 구현한 작품 = 49
4. 마무리 = 60
제2장 북한의 민속춤론 = 65
1. 민족문화유산으로서의 민속춤 = 68
2. 민속춤의 계승과 창조의 원칙 = 69
3. 북한 민속춤에 관한 사적 고찰 = 73
4. 민속춤사의 고찰을 통해 본 예술사상 = 87
5. 마무리 = 92
제3장 최승희의 춤 활동 = 95
1. 해방 이전의 춤 활동(1926∼1945) = 99
2. 해방 이후의 춤 활동(1946∼1967) = 110
제4장 해방 이후의 최승희 춤 특징과 구조 = 137
1. 연구방법 = 139
2. 작품전체의 분류 및 표현 = 141
3. 작품의 구조분석 = 156
제5장 최승희류 조선춤 기본의 구조 = 179
1. 최승희춤기본의 구성 = 182
2. 개정된 조선춤기본과의 비교 = 187
제6장 최승희류 춤의 구조 분석 = 201
1. 연구의 개요 및 대상 = 203
2. 분석에 쓰이는 기본용어 = 209
3. 작품의 구조분석 = 212
4. 최승희춤과 북한춤의 비교 = 248
결장 최승희 춤의 계승과 변용 = 261
1. 사상적 측면의 변화 = 263
2. 작품의 표현법 변화 = 271
3. 결론 = 283
자료 = 289
인용 및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43
일러두기 = 10
서장 = 11
1. 연구 목적 및 방법 = 13
2. 선행연구의 검토 = 17
3. 북한에서의 춤장르 구분 = 23
4. 연구의 의의 = 28
제1장 북한의 사회적 배경과 춤정책 = 31
1. 북한의 사회적 배경 = 33
2. 북한의 춤정책 = 36
3. 춤정책을 구현한 작품 = 49
4. 마무리 = 60
제2장 북한의 민속춤론 = 65
1. 민족문화유산으로서의 민속춤 = 68
2. 민속춤의 계승과 창조의 원칙 = 69
3. 북한 민속춤에 관한 사적 고찰 = 73
4. 민속춤사의 고찰을 통해 본 예술사상 = 87
5. 마무리 = 92
제3장 최승희의 춤 활동 = 95
1. 해방 이전의 춤 활동(1926∼1945) = 99
2. 해방 이후의 춤 활동(1946∼1967) = 110
제4장 해방 이후의 최승희 춤 특징과 구조 = 137
1. 연구방법 = 139
2. 작품전체의 분류 및 표현 = 141
3. 작품의 구조분석 = 156
제5장 최승희류 조선춤 기본의 구조 = 179
1. 최승희춤기본의 구성 = 182
2. 개정된 조선춤기본과의 비교 = 187
제6장 최승희류 춤의 구조 분석 = 201
1. 연구의 개요 및 대상 = 203
2. 분석에 쓰이는 기본용어 = 209
3. 작품의 구조분석 = 212
4. 최승희춤과 북한춤의 비교 = 248
결장 최승희 춤의 계승과 변용 = 261
1. 사상적 측면의 변화 = 263
2. 작품의 표현법 변화 = 271
3. 결론 = 283
자료 = 289
인용 및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