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7
역자의 말 = 8
머리말 = 10
제1장 서론 = 22
1. 블리스심볼을 배워야 하는 이유 = 22
2. 보편 언어의 모색 = 24
3. 블리스심볼의 발달 = 26
4. 블리스심볼 사용의 역사 = 28
5. 블리스심볼 재단의 목적과 활동 = 30
제2장 블리스심볼의 내용 = 34
1. 블리스심볼의 특징 = 34
1. 상형 심볼 = 35
2. 임의적인 심볼 = 36
3. 표의 심볼 = 37
4. 복합 심볼 = 38
2. 사각형의 중요성 = 38
3. 심볼의 의미를 결정하는 요소 = 39
1. 전체의 윤곽 = 39
2. 크기 = 41
3. 위치 = 42
4. 방향 = 42
5. 공간 배치 = 43
6. 지시 표시 = 43
7. 수 = 44
8. 위치적 준거 = 44
9. 복합 및 결합 심볼 = 45
4. 표시들과 사용법 = 48
1. 사물 표시 = 48
2. 동작 표시 = 50
3. 과거 동작 표시 = 50
4. 미래 동작 표시 = 50
5. 형용사 표시 = 50
6. 복수 표시 = 51
5. 심볼 의미의 확대 = 51
6. 실용 어휘를 위해 추가된 심볼 = 54
1. 신체 부분 = 54
2. 감정 = 55
3. 사람 = 56
4. 음식 = 59
5. 옷 = 60
7. 불변화사 = 61
1. 접속사 = 62
2. 전치사 = 62
3. 감탄사 = 62
제3장 심볼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방법 = 69
1. 반대 의미 = 70
2. 부분 = 71
3. 은유 = 72
4. 강도 = 73
5. 심볼의 부분 = 74
6. 유사성 = 74
7. 유사한 소리 = 75
8. 소속 = 75
9. 알파벳 철자 = 76
10. 심볼의 결합 = 77
11. 부정어 = 78
12. 소유어 = 78
13. 분류사 = 79
14. 관계사 = 80
15. 동작 전·후의 평가 = 82
16. 큰 의미 - 작은 의미 = 83
제4장 블리스 구문론 = 85
1. 서술문 = 87
2. 확대된 문장 = 88
3. 부정문 = 89
4. 명령문 = 90
5. 정중한 명령문 = 90
6. 가능성을 나타내는 서술문 = 91
7. 의문문 = 93
8. 부정 의문문 = 94
9. 수동태 = 95
10. 생략할 수 있는 낱말 = 96
제5장 블리스심볼 그리기 = 99
1. 사각형 = 100
2. 형판 = 103
3. 표시 그리기 = 116
4. 결합 표시 = 120
5. 심볼들 사이의 공간 배치 = 121
1. 연속 복합 심볼에서의 심볼 = 121
2. 한 문장 안에서의 심볼 = 122
제6장 블리스심볼 훈련 계획의 개발 = 124
1. 심볼 교육을 위한 준비 = 124
1. 행정가 = 124
2. 부모 = 125
3. 전문가 = 127
4. 보조자 = 128
5. 형제와 동료 = 130
제7장 평가 = 132
1. 평가 내용 = 133
1. 아동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 133
2. 아동이 무엇에 관해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는가? = 137
3. 아동이 누구와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는가? = 137
4. 아동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 138
5. 아동의 인지·지각적 기능의 특징은 무엇인가? = 138
2. 평가항목 = 140
3. 항목별 정보의 분석 = 150
1. 언어 자극의 과정 = 151
2. 의사소통 문제의 특징 = 153
제8장 아동에게 블리스심볼을 가르치는 방법 = 156
1. 블리스심볼 교수 형태 = 156
1. 기본 단계 의사소통 체계로서의 블리스심볼 = 158
2. 심층 단계를 나타내는 언어 체계로서의 블리스심볼 = 158
2. 교수 방법과 치료 = 159
3. 블리스심볼과 언어 발달 단계 = 160
1. 한 낱말 단계 = 160
2. 두 낱말 단계 = 163
3. 전신문체 단계 = 163
4. 기능어 단계 = 164
5. 복수 = 173
6. 의문문 = 173
7. 부정문 = 175
8. 수동태 = 177
4.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 습득의 발달 단계 = 178
5. 심볼 학습자에 대한 심볼 소개 = 183
1. 사물과 사람을 나타내는 심볼 = 183
2. 동작을 나타내는 심볼 = 185
3. 감정을 나타내는 심볼 = 189
6. 심볼 사용의 연습 = 191
1. 게임 = 191
2. 책 = 194
3. 게시판 = 196
4. 계획표 = 196
7. 심볼 교육을 위한 지침 = 198
제9장 심볼에 대한 접근 = 199
1. 심볼 선택을 지시하는 방법 = 199
1. 직접 선택 = 199
2. 부호화 = 199
3. 주사(走査) = 202
2. 심볼 전시 양식 = 202
3. 피츠제럴드 키 = 205
4. 심볼판의 구성 = 207
1. 직접 선택을 위한 배치 = 207
2. 직선 부호화를 위한 배치 = 207
3. 2단계 부호화를 위한 배치 = 208
4. 주사(走査)를 위한 배치 = 209
5. 이동용 심볼판 구성 = 215
6. 전자 - 기계적 심볼판 = 215
1. 블리스심볼 주사(走査) 장치 = 216
2. 지고(Zygo) 의사소통 장치 = 217
3. 오토콤(Autocom) = 217
4. 핸디보이스(Handi Voice) = 217
5. 구절 만들기 = 218
7. 전자 - 기계 보조 장치를 선택할 때 고려할 점 = 218
1. 아동의 인지 기능 수준 = 219
2. 장치 조작법 = 219
3. 장애자가 보게 되는 전시판의 형태 = 219
4. 출력의 형태 = 219
5. 보조 장치가 이용되는 방법 = 220
6. 설치 및 유지 비용 = 220
부록A : 블리스심볼 연구소의 목적과 사업 = 221
부록B : 블리스심볼의 확대 = 226
참고 문헌 = 229
찾아 보기 = 231
추천사 = 7
역자의 말 = 8
머리말 = 10
제1장 서론 = 22
1. 블리스심볼을 배워야 하는 이유 = 22
2. 보편 언어의 모색 = 24
3. 블리스심볼의 발달 = 26
4. 블리스심볼 사용의 역사 = 28
5. 블리스심볼 재단의 목적과 활동 = 30
제2장 블리스심볼의 내용 = 34
1. 블리스심볼의 특징 = 34
1. 상형 심볼 = 35
2. 임의적인 심볼 = 36
3. 표의 심볼 = 37
4. 복합 심볼 = 38
2. 사각형의 중요성 = 38
3. 심볼의 의미를 결정하는 요소 = 39
1. 전체의 윤곽 = 39
2. 크기 = 41
3. 위치 = 42
4. 방향 = 42
5. 공간 배치 = 43
6. 지시 표시 = 43
7. 수 = 44
8. 위치적 준거 = 44
9. 복합 및 결합 심볼 = 45
4. 표시들과 사용법 = 48
1. 사물 표시 = 48
2. 동작 표시 = 50
3. 과거 동작 표시 = 50
4. 미래 동작 표시 = 50
5. 형용사 표시 = 50
6. 복수 표시 = 51
5. 심볼 의미의 확대 = 51
6. 실용 어휘를 위해 추가된 심볼 = 54
1. 신체 부분 = 54
2. 감정 = 55
3. 사람 = 56
4. 음식 = 59
5. 옷 = 60
7. 불변화사 = 61
1. 접속사 = 62
2. 전치사 = 62
3. 감탄사 = 62
제3장 심볼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방법 = 69
1. 반대 의미 = 70
2. 부분 = 71
3. 은유 = 72
4. 강도 = 73
5. 심볼의 부분 = 74
6. 유사성 = 74
7. 유사한 소리 = 75
8. 소속 = 75
9. 알파벳 철자 = 76
10. 심볼의 결합 = 77
11. 부정어 = 78
12. 소유어 = 78
13. 분류사 = 79
14. 관계사 = 80
15. 동작 전·후의 평가 = 82
16. 큰 의미 - 작은 의미 = 83
제4장 블리스 구문론 = 85
1. 서술문 = 87
2. 확대된 문장 = 88
3. 부정문 = 89
4. 명령문 = 90
5. 정중한 명령문 = 90
6. 가능성을 나타내는 서술문 = 91
7. 의문문 = 93
8. 부정 의문문 = 94
9. 수동태 = 95
10. 생략할 수 있는 낱말 = 96
제5장 블리스심볼 그리기 = 99
1. 사각형 = 100
2. 형판 = 103
3. 표시 그리기 = 116
4. 결합 표시 = 120
5. 심볼들 사이의 공간 배치 = 121
1. 연속 복합 심볼에서의 심볼 = 121
2. 한 문장 안에서의 심볼 = 122
제6장 블리스심볼 훈련 계획의 개발 = 124
1. 심볼 교육을 위한 준비 = 124
1. 행정가 = 124
2. 부모 = 125
3. 전문가 = 127
4. 보조자 = 128
5. 형제와 동료 = 130
제7장 평가 = 132
1. 평가 내용 = 133
1. 아동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 133
2. 아동이 무엇에 관해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는가? = 137
3. 아동이 누구와 의사소통을 하려고 하는가? = 137
4. 아동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 138
5. 아동의 인지·지각적 기능의 특징은 무엇인가? = 138
2. 평가항목 = 140
3. 항목별 정보의 분석 = 150
1. 언어 자극의 과정 = 151
2. 의사소통 문제의 특징 = 153
제8장 아동에게 블리스심볼을 가르치는 방법 = 156
1. 블리스심볼 교수 형태 = 156
1. 기본 단계 의사소통 체계로서의 블리스심볼 = 158
2. 심층 단계를 나타내는 언어 체계로서의 블리스심볼 = 158
2. 교수 방법과 치료 = 159
3. 블리스심볼과 언어 발달 단계 = 160
1. 한 낱말 단계 = 160
2. 두 낱말 단계 = 163
3. 전신문체 단계 = 163
4. 기능어 단계 = 164
5. 복수 = 173
6. 의문문 = 173
7. 부정문 = 175
8. 수동태 = 177
4.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 습득의 발달 단계 = 178
5. 심볼 학습자에 대한 심볼 소개 = 183
1. 사물과 사람을 나타내는 심볼 = 183
2. 동작을 나타내는 심볼 = 185
3. 감정을 나타내는 심볼 = 189
6. 심볼 사용의 연습 = 191
1. 게임 = 191
2. 책 = 194
3. 게시판 = 196
4. 계획표 = 196
7. 심볼 교육을 위한 지침 = 198
제9장 심볼에 대한 접근 = 199
1. 심볼 선택을 지시하는 방법 = 199
1. 직접 선택 = 199
2. 부호화 = 199
3. 주사(走査) = 202
2. 심볼 전시 양식 = 202
3. 피츠제럴드 키 = 205
4. 심볼판의 구성 = 207
1. 직접 선택을 위한 배치 = 207
2. 직선 부호화를 위한 배치 = 207
3. 2단계 부호화를 위한 배치 = 208
4. 주사(走査)를 위한 배치 = 209
5. 이동용 심볼판 구성 = 215
6. 전자 - 기계적 심볼판 = 215
1. 블리스심볼 주사(走査) 장치 = 216
2. 지고(Zygo) 의사소통 장치 = 217
3. 오토콤(Autocom) = 217
4. 핸디보이스(Handi Voice) = 217
5. 구절 만들기 = 218
7. 전자 - 기계 보조 장치를 선택할 때 고려할 점 = 218
1. 아동의 인지 기능 수준 = 219
2. 장치 조작법 = 219
3. 장애자가 보게 되는 전시판의 형태 = 219
4. 출력의 형태 = 219
5. 보조 장치가 이용되는 방법 = 220
6. 설치 및 유지 비용 = 220
부록A : 블리스심볼 연구소의 목적과 사업 = 221
부록B : 블리스심볼의 확대 = 226
참고 문헌 = 229
찾아 보기 =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