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5
서론 = 23
제1부 큰 포부를 품은 고창 청년
제1장 출생과 성장
1. 인촌 김성수의 탄생 = 31
2. 줄포로 이사 = 35
제2장 새 학문 연마
1. 훈장의 지도와 혼인 = 38
2. 창평 영학숙의 신식 교육 = 40
3. 새로 어울린 야심찬 3총사 = 44
제3장 청운의 큰 꿈
1. 주권재민의 인식 = 49
2. 도쿄로의 탈출 = 53
제4장 신학문의 수용
1. 도쿄에 도착 = 58
2. 국권피탈과 와세다대학 입학 = 62
3. 실력양성의 본거지 와세다대학 입학 = 65
4. 고향 생각과 장남의 탄생 = 69
5. 하숙 생활과 한국유학생들과의 교류 = 71
6. 자취생활과 두 부친의 도쿄 방문 = 77
제5장 귀국과 중앙학교의 인수 경영
1. 와세다대학 졸업과 귀국 = 82
2. 백산학교의 설립의욕과 좌절 = 84
3. 중앙학교의 인수 제안 = 87
4. 부모의 설득과 중앙학교 인수청원서 제출 = 91
5. 인가획득과 초기 중앙학교 운영 = 93
6. 학교의 교지작성과 서울 계동의 교사 신축 = 95
제2부 민족운동 실천과 경제.언론창달 집념
제1장 3.1 혁명의 추진과 민족운동
1. 인촌의 독립사상 = 103
2. 도쿄유학생과의 교류와 인적 자원 = 107
3. 거국적 민족운동의 계획, 중앙학교의 숙직실 = 111
4. 천도교와의 제휴 = 118
5. 고종의 독살과 국내정세 = 123
6. 인촌의 3.1혁명 추진과정 = 127
7. 민족운동의 요람지 중앙학교 = 133
8. 인촌의 민족운동 성취 = 137
제2장 경성방직의 창설과 민족경제 달성의 의지
1. 경성방직 창설의 배경 = 141
2. 경성방직주식회사의 창립 = 144
3. 창립총회 개최와 경방의 발전 = 149
4. 충격의 삼품사건과 신의일관의 표본 = 151
5. 태극성 상표의 자부심 = 153
제3장 동아일보의 창간과 언론창달
1. 동아일보 이전의 국내신문 = 156
2. 동아일보의 창간과 주식모금 활동 = 159
3. 주지를 선명하다 = 164
4. 인촌의 항일언론 항쟁 35년 = 167
5. 인촌의 영향- 6.10만세운동 등의 봉화 = 171
6. 일장기 말소의거와 인촌의 투쟁의욕 = 177
7. 인촌, 언론인으로서의 평가 = 179
제4장 민립대학의 설립운동
1. 민족 실력 양성운동 = 184
2. 민립대학의 설립추진 = 188
3. 민립대학 설립의 좌절과 경성제국대학의 방해 = 191
제5장 국산품 애호운동의 전개
1. 인촌의 국산품 애용의식 = 196
2. 동아일보의 국산품 격려 논설 = 198
3. 경방제품의 국산품 애호 분위기 = 201
4. 인촌의 간디, 후세 변호사와의 교류 = 205
제6장 신간회의 애국운동 참여
1. 민족단일당 운동의 실현 = 212
2. 신간회의 결성과 인촌 = 215
제3부 민족대학 인수운영과 인재육성책
제1장 구미 교육계의 학습탐사
1. 구주의 교육, 정치계 학습탐사 = 223
2. 영국의 깊은 인상 = 227
3. 미주의 교육, 정치계 학습탐사 = 231
4. 동아일보의 정간(3차) = 234
제2장 보성전문학교의 인수 확장
1. 인수 교섭론의 대두 = 239
2. 민족사학 보전의 인수 경영 - 민립대학의 출발 = 243
제3장 안암골의 웅자와 인재육성의 집념
1. 안암골의 신축교사 착수와 위용 = 247
2. 양부 원파 김기중의 서거 = 252
3. 도서관의 건립계획과 실천 = 255
4. 교수진의 초빙과 민족계 인사의 포진 = 261
5. 민족문화의 육성후원 = 265
6. 손기정 선수의 우승과 일장기 말소의거 = 267
제4장 보전 교장 시절의 대일 항전
1. 중일전쟁과 일제의 최후 발악 = 2 73
2. 통곡 속의 동아일보의 강제 폐간 = 276
3. 인촌의 해동 농장 은둔 = 281
4. 일제패전의 분위기와 최후의 발악, 보복 = 2 84
5. 보전의 경성척식 경제학교로의 강제추락 = 289
6. 인촌의 작위 거부와 일제의 패망 = 292
제4부 한민족 광복과 정국 운영
제1장 민족의 광복과 한민당의 창당
1. 광복전야 = 297
2. 일제의 패전과 한민족의 광복 = 300
3. 연천의 인촌숙호와 상경 = 303
4. 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인촌 = 308
5. 남북으로의 분단, 38도선의 획정과 인공의 출발 = 313
6. 임정과 연합군 환영준비회의 조직 - 국민대회 준비회의 발족 = 315
7. 인촌의 해방정국 운영방안 = 318
8. 한국민주당의 창당과 인촌 = 320
9. 민족주의 민주공화정체 지향 = 322
제2장 미군정에의 참여와 동아일보의 중간
1. 미군정의 고문과 동 의장의 임무 = 327
2. 공선사후의 업무처리 솜씨 = 330
3. 민족 지도자의 환국과 해방정국의 활기 = 335
4. 민족진영의 통합노력 = 340
5. 임정봉대론과 김구의 국권인구 고집 = 344
6. 민족 신문 동아일보의 중간 .. 347
7. 신탁과 반탁의 소용돌이 정국 = 350
제3장 민족의 지도자 고하 송진우의 피살과 인촌의 한민당 당수 피임
1. 민족지도자 송진우의 암살 = 355
2. 인촌의 순국선열 추모사업 참여와 그 행사의 주도 = 359
3. 건국에의 열정과 여론 환기 = 363
4. 인촌의 한민당 당수 취임 운명적 타율적 선택 = 370
5. 계속되는 인촌의 암살 미수 위협과 남로당의 공작 = 373
6. 임정의 비상국민회의와 공산계 민전의 대결 = 376
7. 제 1,2차 미소공위의 무성과와 우익정당의 통합 노력 = 380
8. 광복 1주년에 제한 인촌의 감상 = 386
9. 입법의원의 발족과 인촌의 민선의원 당선 = 389
10 단독정부 수립의 가능성 = 394
제4장 독립정부 수립 구상의 구체안
1. 고려대학교의 설립과 종합대학으로의 확장 = 398
2.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 400
3. 국제정치이론가 설산 장덕수의 암살과 한민당의 충격 = 403
4. 유엔한위 단원의 서울도착과 5.10총선의 확정 = 407
5. 우남. 인촌과 백범.우사의 상반된 정치적 견해 = 410
6. 남북협상의 허구성과 대한민국의 탄생 확인 = 413
제5부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정치력 발휘
제1장 대한민국 정부수립의지
1. 불안한 국내 치안상황과 5.10 총선 실시 준비 = 419
2. 총선의 준비와 인촌의 불추마 선언 = 423
제2장 총선의 실시와 한민당의 참여
1. 총선의 실시와 인촌- 정부수립의 실현 = 426
2. 총선 결과와 인촌의 입각문제 = 430
3. 인촌의 한민당의 승리와 정. 부통령 선출 = 434
4. 야당이 된 한민당과 총리후보 이윤영의 인준부결 = 437
5. 이범석의 국무총리 인준과 인촌 = 439
6. 대한민국의 헌법 제정 공포 = 443
7. 대한민국 정부수립의 정식 선포 = 446
제3장 민주국민당으로의 확대 발전
1. 이승만의 태도 표현과 국회의 동향 = 449
2. 합당운동과 민주국민당(민국당)의 탄생 = 453
3. 제2대 국회 개회와 개헌론 = 456
4. 인촌의 연두담화 발표 = 457
제4장 6.25 한국전쟁과 피난
1. 기습남침 전쟁의 도발과 수도 서우의 함락 = 461
2. 6.25 전시하의 정치 현상과 인촌의 견제 = 463
제5장 부통령 시절의 국리민복 추구
1. 서울 환도와 동아일보의 복간 = 466
2. 진해시에 서민주거 마련 = 467
3. 인촌, 제2대 부통령 당선-고사-수락 = 469
4. 인촌의 진해 임시거택 형태와 기자 탐방 = 471
5. 인촌의 부통령 취임인사와 국리민복의 추구 = 474
6. 인촌의 와병와 개헌론의 대두 = 477
7. 자유당의 탄생과 우남의 개헌론 = 478
8. 부산 정치파동 = 480
9. 인촌의 국리민복 실시 = 481
제6장 반독재 호헌운동의 전개
1. 인촌의 부통력 사임과 호헌운동의 계획 = 483
2. 헌정사의 오점, 발췌개헌안 = 486
제7장 환도와 민주화에의 투신
1. 환도와 독재 투쟁 = 488
2. 민국당의 참패와 자유당의 승승장구 = 490
3. 헌정의 추태와 호헌동지회 = 492
4. 인촌 사후 민주당의 탄생 = 495
제8장 민족지도자의 최후
1. 인촌의 병세 약화 = 499
2. 천주교로의 아름다운 귀의 - 천국으로의 승천 = 501
3. 인촌의 국민장 결정과 고대 동산에 안장 = 504
4. 국내 전 언론에 나타난 인촌 김성수의 애도, 추모문과 평가 = 505
5. 각계 인사의 인촌 평가 = 511
제9장 인촌의 친일파 혐의문제 변정(辯正)
1. 왜 친일문제가 다시 일어났는가? = 516
3. 인촌의 친일혐의 논박과 항일투쟁의 평가 = 519
3. 마녀사냥식의 혹평 문제점 = 521
결론 = 527
서론 = 23
제1부 큰 포부를 품은 고창 청년
제1장 출생과 성장
1. 인촌 김성수의 탄생 = 31
2. 줄포로 이사 = 35
제2장 새 학문 연마
1. 훈장의 지도와 혼인 = 38
2. 창평 영학숙의 신식 교육 = 40
3. 새로 어울린 야심찬 3총사 = 44
제3장 청운의 큰 꿈
1. 주권재민의 인식 = 49
2. 도쿄로의 탈출 = 53
제4장 신학문의 수용
1. 도쿄에 도착 = 58
2. 국권피탈과 와세다대학 입학 = 62
3. 실력양성의 본거지 와세다대학 입학 = 65
4. 고향 생각과 장남의 탄생 = 69
5. 하숙 생활과 한국유학생들과의 교류 = 71
6. 자취생활과 두 부친의 도쿄 방문 = 77
제5장 귀국과 중앙학교의 인수 경영
1. 와세다대학 졸업과 귀국 = 82
2. 백산학교의 설립의욕과 좌절 = 84
3. 중앙학교의 인수 제안 = 87
4. 부모의 설득과 중앙학교 인수청원서 제출 = 91
5. 인가획득과 초기 중앙학교 운영 = 93
6. 학교의 교지작성과 서울 계동의 교사 신축 = 95
제2부 민족운동 실천과 경제.언론창달 집념
제1장 3.1 혁명의 추진과 민족운동
1. 인촌의 독립사상 = 103
2. 도쿄유학생과의 교류와 인적 자원 = 107
3. 거국적 민족운동의 계획, 중앙학교의 숙직실 = 111
4. 천도교와의 제휴 = 118
5. 고종의 독살과 국내정세 = 123
6. 인촌의 3.1혁명 추진과정 = 127
7. 민족운동의 요람지 중앙학교 = 133
8. 인촌의 민족운동 성취 = 137
제2장 경성방직의 창설과 민족경제 달성의 의지
1. 경성방직 창설의 배경 = 141
2. 경성방직주식회사의 창립 = 144
3. 창립총회 개최와 경방의 발전 = 149
4. 충격의 삼품사건과 신의일관의 표본 = 151
5. 태극성 상표의 자부심 = 153
제3장 동아일보의 창간과 언론창달
1. 동아일보 이전의 국내신문 = 156
2. 동아일보의 창간과 주식모금 활동 = 159
3. 주지를 선명하다 = 164
4. 인촌의 항일언론 항쟁 35년 = 167
5. 인촌의 영향- 6.10만세운동 등의 봉화 = 171
6. 일장기 말소의거와 인촌의 투쟁의욕 = 177
7. 인촌, 언론인으로서의 평가 = 179
제4장 민립대학의 설립운동
1. 민족 실력 양성운동 = 184
2. 민립대학의 설립추진 = 188
3. 민립대학 설립의 좌절과 경성제국대학의 방해 = 191
제5장 국산품 애호운동의 전개
1. 인촌의 국산품 애용의식 = 196
2. 동아일보의 국산품 격려 논설 = 198
3. 경방제품의 국산품 애호 분위기 = 201
4. 인촌의 간디, 후세 변호사와의 교류 = 205
제6장 신간회의 애국운동 참여
1. 민족단일당 운동의 실현 = 212
2. 신간회의 결성과 인촌 = 215
제3부 민족대학 인수운영과 인재육성책
제1장 구미 교육계의 학습탐사
1. 구주의 교육, 정치계 학습탐사 = 223
2. 영국의 깊은 인상 = 227
3. 미주의 교육, 정치계 학습탐사 = 231
4. 동아일보의 정간(3차) = 234
제2장 보성전문학교의 인수 확장
1. 인수 교섭론의 대두 = 239
2. 민족사학 보전의 인수 경영 - 민립대학의 출발 = 243
제3장 안암골의 웅자와 인재육성의 집념
1. 안암골의 신축교사 착수와 위용 = 247
2. 양부 원파 김기중의 서거 = 252
3. 도서관의 건립계획과 실천 = 255
4. 교수진의 초빙과 민족계 인사의 포진 = 261
5. 민족문화의 육성후원 = 265
6. 손기정 선수의 우승과 일장기 말소의거 = 267
제4장 보전 교장 시절의 대일 항전
1. 중일전쟁과 일제의 최후 발악 = 2 73
2. 통곡 속의 동아일보의 강제 폐간 = 276
3. 인촌의 해동 농장 은둔 = 281
4. 일제패전의 분위기와 최후의 발악, 보복 = 2 84
5. 보전의 경성척식 경제학교로의 강제추락 = 289
6. 인촌의 작위 거부와 일제의 패망 = 292
제4부 한민족 광복과 정국 운영
제1장 민족의 광복과 한민당의 창당
1. 광복전야 = 297
2. 일제의 패전과 한민족의 광복 = 300
3. 연천의 인촌숙호와 상경 = 303
4. 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인촌 = 308
5. 남북으로의 분단, 38도선의 획정과 인공의 출발 = 313
6. 임정과 연합군 환영준비회의 조직 - 국민대회 준비회의 발족 = 315
7. 인촌의 해방정국 운영방안 = 318
8. 한국민주당의 창당과 인촌 = 320
9. 민족주의 민주공화정체 지향 = 322
제2장 미군정에의 참여와 동아일보의 중간
1. 미군정의 고문과 동 의장의 임무 = 327
2. 공선사후의 업무처리 솜씨 = 330
3. 민족 지도자의 환국과 해방정국의 활기 = 335
4. 민족진영의 통합노력 = 340
5. 임정봉대론과 김구의 국권인구 고집 = 344
6. 민족 신문 동아일보의 중간 .. 347
7. 신탁과 반탁의 소용돌이 정국 = 350
제3장 민족의 지도자 고하 송진우의 피살과 인촌의 한민당 당수 피임
1. 민족지도자 송진우의 암살 = 355
2. 인촌의 순국선열 추모사업 참여와 그 행사의 주도 = 359
3. 건국에의 열정과 여론 환기 = 363
4. 인촌의 한민당 당수 취임 운명적 타율적 선택 = 370
5. 계속되는 인촌의 암살 미수 위협과 남로당의 공작 = 373
6. 임정의 비상국민회의와 공산계 민전의 대결 = 376
7. 제 1,2차 미소공위의 무성과와 우익정당의 통합 노력 = 380
8. 광복 1주년에 제한 인촌의 감상 = 386
9. 입법의원의 발족과 인촌의 민선의원 당선 = 389
10 단독정부 수립의 가능성 = 394
제4장 독립정부 수립 구상의 구체안
1. 고려대학교의 설립과 종합대학으로의 확장 = 398
2.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 400
3. 국제정치이론가 설산 장덕수의 암살과 한민당의 충격 = 403
4. 유엔한위 단원의 서울도착과 5.10총선의 확정 = 407
5. 우남. 인촌과 백범.우사의 상반된 정치적 견해 = 410
6. 남북협상의 허구성과 대한민국의 탄생 확인 = 413
제5부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정치력 발휘
제1장 대한민국 정부수립의지
1. 불안한 국내 치안상황과 5.10 총선 실시 준비 = 419
2. 총선의 준비와 인촌의 불추마 선언 = 423
제2장 총선의 실시와 한민당의 참여
1. 총선의 실시와 인촌- 정부수립의 실현 = 426
2. 총선 결과와 인촌의 입각문제 = 430
3. 인촌의 한민당의 승리와 정. 부통령 선출 = 434
4. 야당이 된 한민당과 총리후보 이윤영의 인준부결 = 437
5. 이범석의 국무총리 인준과 인촌 = 439
6. 대한민국의 헌법 제정 공포 = 443
7. 대한민국 정부수립의 정식 선포 = 446
제3장 민주국민당으로의 확대 발전
1. 이승만의 태도 표현과 국회의 동향 = 449
2. 합당운동과 민주국민당(민국당)의 탄생 = 453
3. 제2대 국회 개회와 개헌론 = 456
4. 인촌의 연두담화 발표 = 457
제4장 6.25 한국전쟁과 피난
1. 기습남침 전쟁의 도발과 수도 서우의 함락 = 461
2. 6.25 전시하의 정치 현상과 인촌의 견제 = 463
제5장 부통령 시절의 국리민복 추구
1. 서울 환도와 동아일보의 복간 = 466
2. 진해시에 서민주거 마련 = 467
3. 인촌, 제2대 부통령 당선-고사-수락 = 469
4. 인촌의 진해 임시거택 형태와 기자 탐방 = 471
5. 인촌의 부통령 취임인사와 국리민복의 추구 = 474
6. 인촌의 와병와 개헌론의 대두 = 477
7. 자유당의 탄생과 우남의 개헌론 = 478
8. 부산 정치파동 = 480
9. 인촌의 국리민복 실시 = 481
제6장 반독재 호헌운동의 전개
1. 인촌의 부통력 사임과 호헌운동의 계획 = 483
2. 헌정사의 오점, 발췌개헌안 = 486
제7장 환도와 민주화에의 투신
1. 환도와 독재 투쟁 = 488
2. 민국당의 참패와 자유당의 승승장구 = 490
3. 헌정의 추태와 호헌동지회 = 492
4. 인촌 사후 민주당의 탄생 = 495
제8장 민족지도자의 최후
1. 인촌의 병세 약화 = 499
2. 천주교로의 아름다운 귀의 - 천국으로의 승천 = 501
3. 인촌의 국민장 결정과 고대 동산에 안장 = 504
4. 국내 전 언론에 나타난 인촌 김성수의 애도, 추모문과 평가 = 505
5. 각계 인사의 인촌 평가 = 511
제9장 인촌의 친일파 혐의문제 변정(辯正)
1. 왜 친일문제가 다시 일어났는가? = 516
3. 인촌의 친일혐의 논박과 항일투쟁의 평가 = 519
3. 마녀사냥식의 혹평 문제점 = 521
결론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