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 8
들어가는 말 = 17
제1장 새로운 학문의 방법론, 동학의 불연기연 = 25
1. 어떻게 삶과 세계를 바라볼 것인가 = 27
2. 우리 학문으로서의 가능성 = 34
제2장 동학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 43
1. 동학은 유불선의 혼합인가 = 45
(1) 유교에 대한 애증 = 46
(2) 불교적 사유의 흔적 = 48
(3) 선도와 도참사상 - 개벽의 단초 = 51
(4) 서학에 대한 대결의식 = 53
2. 동학의 독자성 = 57
(1) 드디어 상제를 만나다 = 57
(2) 체험을 넘어서 = 63
제3장 종교를 넘어선 종교 = 67
1. 새로운 형이상학의 필요성 = 69
2. 수운이 생각한 우주 = 73
(1) 성리학의 이와 기 = 74
(2) 지기와 기의 감응 = 76
3. 수운이 생각한 신 = 80
(1) 신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80
(2) 천주체험에 대하여 - 귀신도 한울? = 84
(3) 모심의 의미 = 87
(4) 한울은 선악을 가리지 않는다? = 90
4. 조화와 무위이화 = 92
제4장 삶의 기술, 사회적 성화 - 수행과 실천 = 97
1. 무엇을 위해 수행을 하는가 = 101
(1) 도통이냐 덕성 함양이냐 = 101
(2) 동학은 수행을 통해 무엇을 추구하는가 = 104
2. 수도의 원리, 수심정기 = 109
(1) 마음과 기운의 메커니즘 = 109
(2) 마음을 잘 지키고 기운을 바르게 하라 = 112
3.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 115
(1) 마음을 어떻게 쓸 것인가 = 115
(2) 일상의 효과적인 수도법 = 120
(3) 몸의 치유에서 사회의 치유까지 = 123
(4) 개벽의 칼춤 = 126
제5장 '다시개벽'의 길 = 131
1. 천도교, 근대의 옷을 입은 동학 = 135
(1) 동학에서 천도교로 = 135
(2) 시천주냐 인내천이냐 = 139
2. 교리의 근대화와 천도교의 민족운동 = 142
(1) 교리 근대화의 명암 = 142
(2) 천도교의 민족운동 = 147
3. 새로운 생활양식으로서의 문명 개벽 = 154
맺는말 - 생명과 문명을 치유하는 길 = 159
주 = 166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84
책을 쓰게 된 동기 = 8
들어가는 말 = 17
제1장 새로운 학문의 방법론, 동학의 불연기연 = 25
1. 어떻게 삶과 세계를 바라볼 것인가 = 27
2. 우리 학문으로서의 가능성 = 34
제2장 동학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 43
1. 동학은 유불선의 혼합인가 = 45
(1) 유교에 대한 애증 = 46
(2) 불교적 사유의 흔적 = 48
(3) 선도와 도참사상 - 개벽의 단초 = 51
(4) 서학에 대한 대결의식 = 53
2. 동학의 독자성 = 57
(1) 드디어 상제를 만나다 = 57
(2) 체험을 넘어서 = 63
제3장 종교를 넘어선 종교 = 67
1. 새로운 형이상학의 필요성 = 69
2. 수운이 생각한 우주 = 73
(1) 성리학의 이와 기 = 74
(2) 지기와 기의 감응 = 76
3. 수운이 생각한 신 = 80
(1) 신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 80
(2) 천주체험에 대하여 - 귀신도 한울? = 84
(3) 모심의 의미 = 87
(4) 한울은 선악을 가리지 않는다? = 90
4. 조화와 무위이화 = 92
제4장 삶의 기술, 사회적 성화 - 수행과 실천 = 97
1. 무엇을 위해 수행을 하는가 = 101
(1) 도통이냐 덕성 함양이냐 = 101
(2) 동학은 수행을 통해 무엇을 추구하는가 = 104
2. 수도의 원리, 수심정기 = 109
(1) 마음과 기운의 메커니즘 = 109
(2) 마음을 잘 지키고 기운을 바르게 하라 = 112
3.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 115
(1) 마음을 어떻게 쓸 것인가 = 115
(2) 일상의 효과적인 수도법 = 120
(3) 몸의 치유에서 사회의 치유까지 = 123
(4) 개벽의 칼춤 = 126
제5장 '다시개벽'의 길 = 131
1. 천도교, 근대의 옷을 입은 동학 = 135
(1) 동학에서 천도교로 = 135
(2) 시천주냐 인내천이냐 = 139
2. 교리의 근대화와 천도교의 민족운동 = 142
(1) 교리 근대화의 명암 = 142
(2) 천도교의 민족운동 = 147
3. 새로운 생활양식으로서의 문명 개벽 = 154
맺는말 - 생명과 문명을 치유하는 길 = 159
주 = 166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