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번역과 일본문학』을 펴내며 = 3
번역과 문학 / 김춘미 = 7
근대 초기 일본의 예술적 번역사상의 탄생 / 정병호 = 35
일본 전후문학 번역의 현재와 그 의의 / 김효순 = 58
미야자와 겐지(宮l?悟?)와 에스페란토(Esperanto) / 박선양 = 89
번역을 통한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문학방법의 확립 / 박현주 = 104
해석으로서의 번역 / 성혜숙 = 129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와 번역 / 송혜경 = 157
일본 추리소설과 번역 / 아식가자 = 180
일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 / 오경순 = 203
앙리 푸앵카레 번역과 일본의 모더니즘 / 유재진 = 232
문화를 번역한다는 것 / 이민희 = 254
번안과 창작 사이 / 이승신 = 281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번안(或?) / 이현진 = 309
찾아보기 = 341
『번역과 일본문학』을 펴내며 = 3
번역과 문학 / 김춘미 = 7
근대 초기 일본의 예술적 번역사상의 탄생 / 정병호 = 35
일본 전후문학 번역의 현재와 그 의의 / 김효순 = 58
미야자와 겐지(宮l?悟?)와 에스페란토(Esperanto) / 박선양 = 89
번역을 통한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문학방법의 확립 / 박현주 = 104
해석으로서의 번역 / 성혜숙 = 129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와 번역 / 송혜경 = 157
일본 추리소설과 번역 / 아식가자 = 180
일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 / 오경순 = 203
앙리 푸앵카레 번역과 일본의 모더니즘 / 유재진 = 232
문화를 번역한다는 것 / 이민희 = 254
번안과 창작 사이 / 이승신 = 281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번안(或?) / 이현진 = 309
찾아보기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