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명공학 작물 = 15
1. 전통 교배 육종과 녹색 혁명 = 17
2. 생명공학 기술의 출현 = 19
3. 생명공학 작물의 명명 = 21
4. 생명공학 작물의 이점과 안전성 = 22
2.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와 현황 = 29
1.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 = 30
2. 생명공학 작물의 재배 현황 = 33
3. 생명공학 작물의 개발 과정 = 39
1. 유용 유전자 발굴 = 40
2. 유전자 재조합 = 41
3. 재조합 유전자의 이식 방법 = 44
4. 재분화와 생명공학 작물의 품종화 = 47
5. 마커 프리 기술 = 49
6. 색소체 형질 전환 = 51
4. 생명공학 작물의 실제 = 55
1. 생명공학 작물 개발의 실례와 육성 원리 = 56
가. 제초제 내성 작물 = 56
나. 해충에 견디는 작물 = 58
다. 바이러스 병 저항성 작물 = 63
라. 지방산의 조성을 개선한 유료작물 = 65
마. 전분 함량 및 구조 개량 작물 = 66
바. 쉽게 무르지 않는 생명공학 토마토와 백신 토마토 육성 = 69
사.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생명공학 작물 = 70
아. 곰팡이 및 세균병 저항성 작물 = 71
자.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초다수확성 벼 = 73
차. 카페인이 없는 커피 = 74
카. 청색 장미와 카네이션 = 75
타. 지뢰를 탐지하는 식물 = 76
파. 복수 유전자 이식 및 후대 교배종 = 77
2. 생명공학 벼 연구의 현황과 전망 = 78
3. 우리나라의 현황 = 80
4. 생명공학 작물의 효과 = 83
5. 생명공학 작물 식품의 평가 및 관리 체계 = 85
1. 생명공학 작물의 식품 안전성 평가 = 93
2. 식품 안전성 평가 원칙 및 방법 = 93
3. 우리나라에서 생명공학 식품의 안전성 검사 실례 = 100
가. 실질적 동등성 판단 = 105
나. 형질 전환체 개발 목적과 이용 방법 = 106
다. 숙주에 관한 사항 = 106
라. 벡터에 관한 사항 = 107
마. 이식 유전자와 그 산물에 관한 사항 = 107
바. 형질 전환체에 관한 사항 = 108
4. 생명공학 작물의 환경 안전성 평가 = 112
5. 환경 위해성 평가 원칙 및 방법 = 117
6. 우리나라에서 유통이 허가된 생명공학 작물 = 120
6.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관리 현황 = 123
1. 우리나라 = 126
2. 미국 = 129
3. 일본 = 138
4. 캐나다 = 143
5. EU = 144
6. OECD = 145
7. 생명공학 작물의 소비자의 선택권 = 149
1. 우리나라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 152
2. 각국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 156
3. 공인 검사 방법 = 159
가. 효소 면역학적(ELISA) 방법 = 159
나.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방법 = 161
8.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논란과 과학적 사실 = 168
1. 인체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 169
가. 푸스타이 박사 사건 = 169
나.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 171
다. 호주의 바구미 사건 = 172
라. 에르마코바 사건 = 173
마. 인도의 양 떼죽음 보도 사건 = 173
2. 환경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 175
가. 슈퍼 잡초 발생설 = 175
나. 야생 제왕나비 애벌레 살해 사건 = 177
3. 맺는 글 = 179
9. 생명공학 작물의 가능성과 미래 = 181
찾아보기 = 187
1. 생명공학 작물 = 15
1. 전통 교배 육종과 녹색 혁명 = 17
2. 생명공학 기술의 출현 = 19
3. 생명공학 작물의 명명 = 21
4. 생명공학 작물의 이점과 안전성 = 22
2.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와 현황 = 29
1.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 = 30
2. 생명공학 작물의 재배 현황 = 33
3. 생명공학 작물의 개발 과정 = 39
1. 유용 유전자 발굴 = 40
2. 유전자 재조합 = 41
3. 재조합 유전자의 이식 방법 = 44
4. 재분화와 생명공학 작물의 품종화 = 47
5. 마커 프리 기술 = 49
6. 색소체 형질 전환 = 51
4. 생명공학 작물의 실제 = 55
1. 생명공학 작물 개발의 실례와 육성 원리 = 56
가. 제초제 내성 작물 = 56
나. 해충에 견디는 작물 = 58
다. 바이러스 병 저항성 작물 = 63
라. 지방산의 조성을 개선한 유료작물 = 65
마. 전분 함량 및 구조 개량 작물 = 66
바. 쉽게 무르지 않는 생명공학 토마토와 백신 토마토 육성 = 69
사.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생명공학 작물 = 70
아. 곰팡이 및 세균병 저항성 작물 = 71
자.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초다수확성 벼 = 73
차. 카페인이 없는 커피 = 74
카. 청색 장미와 카네이션 = 75
타. 지뢰를 탐지하는 식물 = 76
파. 복수 유전자 이식 및 후대 교배종 = 77
2. 생명공학 벼 연구의 현황과 전망 = 78
3. 우리나라의 현황 = 80
4. 생명공학 작물의 효과 = 83
5. 생명공학 작물 식품의 평가 및 관리 체계 = 85
1. 생명공학 작물의 식품 안전성 평가 = 93
2. 식품 안전성 평가 원칙 및 방법 = 93
3. 우리나라에서 생명공학 식품의 안전성 검사 실례 = 100
가. 실질적 동등성 판단 = 105
나. 형질 전환체 개발 목적과 이용 방법 = 106
다. 숙주에 관한 사항 = 106
라. 벡터에 관한 사항 = 107
마. 이식 유전자와 그 산물에 관한 사항 = 107
바. 형질 전환체에 관한 사항 = 108
4. 생명공학 작물의 환경 안전성 평가 = 112
5. 환경 위해성 평가 원칙 및 방법 = 117
6. 우리나라에서 유통이 허가된 생명공학 작물 = 120
6.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관리 현황 = 123
1. 우리나라 = 126
2. 미국 = 129
3. 일본 = 138
4. 캐나다 = 143
5. EU = 144
6. OECD = 145
7. 생명공학 작물의 소비자의 선택권 = 149
1. 우리나라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 152
2. 각국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 156
3. 공인 검사 방법 = 159
가. 효소 면역학적(ELISA) 방법 = 159
나.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방법 = 161
8.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논란과 과학적 사실 = 168
1. 인체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 169
가. 푸스타이 박사 사건 = 169
나.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 171
다. 호주의 바구미 사건 = 172
라. 에르마코바 사건 = 173
마. 인도의 양 떼죽음 보도 사건 = 173
2. 환경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 175
가. 슈퍼 잡초 발생설 = 175
나. 야생 제왕나비 애벌레 살해 사건 = 177
3. 맺는 글 = 179
9. 생명공학 작물의 가능성과 미래 = 181
찾아보기 =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