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1장 서문 = 17
Ⅰ. 연구 목적 = 17
Ⅱ. 연구의 필요성 = 19
Ⅲ.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 22
Ⅳ. 책의 구성과 각 장의 개요 = 25
2장 미국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 - 전자투표를 둘러싼 논란과 정치사회적 대응 = 33
Ⅰ. 서론 = 33
Ⅱ. 정보기술의 수용과 민주주의 = 35
Ⅲ. 미국 전자투표의 도입 및 변화 추이 = 38
Ⅳ. 전자투표를 둘러싼 논란과 정치사회적 대응 = 46
Ⅴ. 결론 = 59
3장 영국의 전자투표 쟁점과 제도 철회 = 69
Ⅰ. 서론 = 69
Ⅱ. 전자투표의 효과와 쟁점 = 71
Ⅲ. 영국의 전자투표 제도 정초 = 76
Ⅳ. 영국의 전자투표 시행 현황 = 81
Ⅳ. 영국의 전자투표 쟁점과 정책 실패 = 85
Ⅴ. 결론 = 92
4장 스위스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의 발전 - 전자투표의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99
Ⅰ. 서론 = 99
Ⅱ. 정보통신기술과 정치참여: 이론적 논의 = 101
Ⅲ. 스위스 민주주의의 문제와 전자투표 현황 = 105
Ⅳ. 전자투표의 정치사회적 파급효과 = 109
Ⅴ. 결론 = 120
5장 네덜란드 전자투표제의 현황과 전망 = 131
Ⅰ. 서론 = 131
Ⅱ. 네덜란드 전자투표 도입 배경 = 134
Ⅲ. 전자투표 실시 사례들 = 141
Ⅳ. 전자투표제 중단과 결정요인 = 147
Ⅴ. 결론 = 154
6장 아일랜드의 전자투표 도입 논의와 거버넌스 = 163
Ⅰ. 서론 = 163
Ⅱ. 아일랜드의 정보화와 정치적 활용에 대한 평가 = 165
Ⅲ. 전자투표 도입 논쟁과 거버넌스 = 170
Ⅳ. 결론 = 181
7장 에스토니아의 전자민주주의와 인터넷 투표 = 187
Ⅰ. 서론 = 187
Ⅱ. 전자투표의 연구 경향 = 189
Ⅲ. 에스토니아의 정치사회적 환경과 전자민주주의 프로그램 = 191
Ⅳ. 에스토니아의 인터넷 투표 = 204
Ⅴ. 결론 : 에스토니아 인터넷 투표정책의 함의 = 218
8장 호주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 = 231
Ⅰ. 서론 = 231
Ⅱ. 정보화와 전자투표 = 233
Ⅲ. 호주에서 전자투표 도입의 원인 = 236
Ⅳ. 도입현황 = 242
Ⅴ. 장애자, 소수자의 정치적 권리와 전자투표 = 252
Ⅵ. 결론 : 평가와 전망 = 256
9장 일본의 전자투표 - 과정, 효과, 과제 = 263
Ⅰ. 서론 = 263
Ⅱ. 일본 전자투표의 도입배경과 과정 = 265
Ⅲ. 일본 전자투표의 실시와 문제점 = 273
Ⅳ. 전자투표의 정치적 효과와 쟁점 = 284
Ⅴ. 결론 : 일본의 경험과 한국에의 시사점 = 289
10장 한국의 전자투표 - 도입 논의와 시행사례를 중심으로 = 301
Ⅰ. 서론 = 301
Ⅱ. 전자선거와 전자투표의 한국적 맥락 = 302
Ⅲ. 한국의 전자투표 도입과정과 시행사례 = 307
Ⅳ. 한국 전자투표 도입논의와 추진과정의 특징 : 이해, 관념, 제도 = 320
책을 펴내며 = 5
1장 서문 = 17
Ⅰ. 연구 목적 = 17
Ⅱ. 연구의 필요성 = 19
Ⅲ.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 22
Ⅳ. 책의 구성과 각 장의 개요 = 25
2장 미국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 - 전자투표를 둘러싼 논란과 정치사회적 대응 = 33
Ⅰ. 서론 = 33
Ⅱ. 정보기술의 수용과 민주주의 = 35
Ⅲ. 미국 전자투표의 도입 및 변화 추이 = 38
Ⅳ. 전자투표를 둘러싼 논란과 정치사회적 대응 = 46
Ⅴ. 결론 = 59
3장 영국의 전자투표 쟁점과 제도 철회 = 69
Ⅰ. 서론 = 69
Ⅱ. 전자투표의 효과와 쟁점 = 71
Ⅲ. 영국의 전자투표 제도 정초 = 76
Ⅳ. 영국의 전자투표 시행 현황 = 81
Ⅳ. 영국의 전자투표 쟁점과 정책 실패 = 85
Ⅴ. 결론 = 92
4장 스위스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의 발전 - 전자투표의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99
Ⅰ. 서론 = 99
Ⅱ. 정보통신기술과 정치참여: 이론적 논의 = 101
Ⅲ. 스위스 민주주의의 문제와 전자투표 현황 = 105
Ⅳ. 전자투표의 정치사회적 파급효과 = 109
Ⅴ. 결론 = 120
5장 네덜란드 전자투표제의 현황과 전망 = 131
Ⅰ. 서론 = 131
Ⅱ. 네덜란드 전자투표 도입 배경 = 134
Ⅲ. 전자투표 실시 사례들 = 141
Ⅳ. 전자투표제 중단과 결정요인 = 147
Ⅴ. 결론 = 154
6장 아일랜드의 전자투표 도입 논의와 거버넌스 = 163
Ⅰ. 서론 = 163
Ⅱ. 아일랜드의 정보화와 정치적 활용에 대한 평가 = 165
Ⅲ. 전자투표 도입 논쟁과 거버넌스 = 170
Ⅳ. 결론 = 181
7장 에스토니아의 전자민주주의와 인터넷 투표 = 187
Ⅰ. 서론 = 187
Ⅱ. 전자투표의 연구 경향 = 189
Ⅲ. 에스토니아의 정치사회적 환경과 전자민주주의 프로그램 = 191
Ⅳ. 에스토니아의 인터넷 투표 = 204
Ⅴ. 결론 : 에스토니아 인터넷 투표정책의 함의 = 218
8장 호주의 전자투표와 민주주의 = 231
Ⅰ. 서론 = 231
Ⅱ. 정보화와 전자투표 = 233
Ⅲ. 호주에서 전자투표 도입의 원인 = 236
Ⅳ. 도입현황 = 242
Ⅴ. 장애자, 소수자의 정치적 권리와 전자투표 = 252
Ⅵ. 결론 : 평가와 전망 = 256
9장 일본의 전자투표 - 과정, 효과, 과제 = 263
Ⅰ. 서론 = 263
Ⅱ. 일본 전자투표의 도입배경과 과정 = 265
Ⅲ. 일본 전자투표의 실시와 문제점 = 273
Ⅳ. 전자투표의 정치적 효과와 쟁점 = 284
Ⅴ. 결론 : 일본의 경험과 한국에의 시사점 = 289
10장 한국의 전자투표 - 도입 논의와 시행사례를 중심으로 = 301
Ⅰ. 서론 = 301
Ⅱ. 전자선거와 전자투표의 한국적 맥락 = 302
Ⅲ. 한국의 전자투표 도입과정과 시행사례 = 307
Ⅳ. 한국 전자투표 도입논의와 추진과정의 특징 : 이해, 관념, 제도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