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인도에 철학은 있는가?
인도의 '철학' = 19
안빅시키(철학) = 20
안빅시키(논리적 탐구) = 22
철학의 세 가지 전통 = 23
그리스의 철학 - 번론술ㆍ문답법ㆍ논증법 = 26
중국의 철학 = 27
인도의 철학 = 29
제2장 인도논리학의 구조
인도철학으로 가는 여정 - 신화에서 철학으로 = 38
새로운 신화 - 업보ㆍ윤회 = 40
철학체계의 형성 = 42
인식론ㆍ존재론ㆍ우주론ㆍ해탈론 = 43
니야야학파 = 44
(1)인식론 = 45
지각 = 45
3종의 추리 = 46
『차라카상히타』 = 47
밧쯔야야나 = 48
추리를 정당화하는 관계 = 50
그 밖의 지식수단 = 53
(2)존재론 = 56
바이세시카학파의 6범주 = 58
보편과 특수 = 59
내속 = 60
실체 = 61
속성과 운동 = 62
제7의 범주 = 64
(3)인과론 그리고 우주론 = 65
(4)해탈론 = 67
(5)논리학 = 70
의심과 동기 = 72
실례와 정설 = 73
음미와 확정 = 76
인도논리학의 영역 = 78
인도에서 논리학의 지위 = 82
제3장 인도에서 토론의 전통
우파니샤드의 신학적 대화 = 89
제1의 문답 = 92
제2의 문답 = 93
문답의 계속 = 95
최후의 문답 = 97
왕과의 토론 -『미린다 왕의 물음』 = 100
토론의 마음가짐 -『차라카상히타』 = 102
토론의 의미 = 102
우호적인 토론 규칙 = 103
적대적인 토론에 들어가기 전에 주의할 점 = 104
적대적인 청중 앞에서는 논쟁하지 말라 = 105
어리석은 청중 앞에서는 열등한 상대를 논파하고, 우등한 상대와는 논쟁하지 말라 = 106
현명한 청중 앞에서 = 107
논쟁에 있어서도 도리는 지켜야 한다 = 110
청중을 자기편으로 만들어라 = 111
문답을 위한 항목들 = 111
학술서의 방법(탄트라유크티) = 112
주장과 반대주장 = 117
패배의 입장 = 118
궤변 = 128
토론 = 131
잘못된 논란 = 136
말바니야 선생 = 138
제4장 귀류법 - 나가르주나의 반논리학
나가르주나 = 144
프라판차 - 언어본능? = 146
불교의 두 개의 전통 - 돈오와 점오 = 148
아비다르마 = 149
범주론적 실재론 비판 = 152
『바이다리야론』 = 155
상호의존의 오류 = 157
귀류법 = 159
논힐과 궤변 = 160
2종의 부정 = 161
사구분별 = 163
파괴적 트리렌마 = 166
저울[秤]의 비유 = 168
등불[po]의 비유 = 170
삼시불성(三時不成)의 논리 = 174
4종의 인식 방법 = 178
『니야야수트라』제2편 제1장 - '삼시불성의 논리' 비판 = 181
'저울의 비유'와 '등불의 비유' = 184
『니야야수트라』제5편 제1장 - 잘못된 논란 = 187
『중론송』제1장 제1게송 = 190
『중론송』제25장 = 194
잔여법 혹은 소거법 = 198
『중론송』제2장 = 202
나가르주나의 반논리학 = 206
다시 미시간으로 = 207
제5장 인도인의 사유방법 - 귀납법
유클리드와 파니니 = 214
파니니문법학 = 216
수반과 배제 - 귀납법의 원리 = 218
바수반두 = 222
인도논리학의 논증형식 - 5지논증 = 223
논증의 과정 - 유추 = 229
논증의 오류 -『니야야수트라』의 의사적 이유 = 230
'논증인의 3상설' - 잘못된 이유의 반성에서 바른 이유의 발견으로 = 238
유비추리에서 귀납추리로 = 242
귀납영역의 분석 = 243
디그나가 - 변충관계 = 248
9구인설 = 252
3종의 의사적 이유 = 256
바른 이유 = 258
디그나가의 논증식 - 3지논증 = 258
웃또타카라의 16구인 = 261
순수부정인 = 266
헴펠의 까마귀 = 269
귀납법의 문제 = 271
디그나가 - 아포하 이론 = 274
수반과 배제 - 언어의 표시기능 = 276
열린 논리학 = 279
다르마끼르띠 - 변충관계의 근거 = 282
다르마끼르띠의 아포하 이론 = 285
본질적 결합관계 - 열린 논리학에서 불교논리학으로 = 288
다르마끼르띠의 논증식 = 290
타심의 존재논증 = 294
다르마끼르띠 이후의 인도논리학 = 296
인도인의 사유방법 - 귀납법 = 297
다시 버클리에서 툴민을 만나다 = 302
끝으로 끽연의 옳고 그름을 추리하다 = 306
글을 마치면서 = 309
참고문헌 = 314
역자후기 = 321
찾아보기 = 324
머리말 = 5
제1장 인도에 철학은 있는가?
인도의 '철학' = 19
안빅시키(철학) = 20
안빅시키(논리적 탐구) = 22
철학의 세 가지 전통 = 23
그리스의 철학 - 번론술ㆍ문답법ㆍ논증법 = 26
중국의 철학 = 27
인도의 철학 = 29
제2장 인도논리학의 구조
인도철학으로 가는 여정 - 신화에서 철학으로 = 38
새로운 신화 - 업보ㆍ윤회 = 40
철학체계의 형성 = 42
인식론ㆍ존재론ㆍ우주론ㆍ해탈론 = 43
니야야학파 = 44
(1)인식론 = 45
지각 = 45
3종의 추리 = 46
『차라카상히타』 = 47
밧쯔야야나 = 48
추리를 정당화하는 관계 = 50
그 밖의 지식수단 = 53
(2)존재론 = 56
바이세시카학파의 6범주 = 58
보편과 특수 = 59
내속 = 60
실체 = 61
속성과 운동 = 62
제7의 범주 = 64
(3)인과론 그리고 우주론 = 65
(4)해탈론 = 67
(5)논리학 = 70
의심과 동기 = 72
실례와 정설 = 73
음미와 확정 = 76
인도논리학의 영역 = 78
인도에서 논리학의 지위 = 82
제3장 인도에서 토론의 전통
우파니샤드의 신학적 대화 = 89
제1의 문답 = 92
제2의 문답 = 93
문답의 계속 = 95
최후의 문답 = 97
왕과의 토론 -『미린다 왕의 물음』 = 100
토론의 마음가짐 -『차라카상히타』 = 102
토론의 의미 = 102
우호적인 토론 규칙 = 103
적대적인 토론에 들어가기 전에 주의할 점 = 104
적대적인 청중 앞에서는 논쟁하지 말라 = 105
어리석은 청중 앞에서는 열등한 상대를 논파하고, 우등한 상대와는 논쟁하지 말라 = 106
현명한 청중 앞에서 = 107
논쟁에 있어서도 도리는 지켜야 한다 = 110
청중을 자기편으로 만들어라 = 111
문답을 위한 항목들 = 111
학술서의 방법(탄트라유크티) = 112
주장과 반대주장 = 117
패배의 입장 = 118
궤변 = 128
토론 = 131
잘못된 논란 = 136
말바니야 선생 = 138
제4장 귀류법 - 나가르주나의 반논리학
나가르주나 = 144
프라판차 - 언어본능? = 146
불교의 두 개의 전통 - 돈오와 점오 = 148
아비다르마 = 149
범주론적 실재론 비판 = 152
『바이다리야론』 = 155
상호의존의 오류 = 157
귀류법 = 159
논힐과 궤변 = 160
2종의 부정 = 161
사구분별 = 163
파괴적 트리렌마 = 166
저울[秤]의 비유 = 168
등불[po]의 비유 = 170
삼시불성(三時不成)의 논리 = 174
4종의 인식 방법 = 178
『니야야수트라』제2편 제1장 - '삼시불성의 논리' 비판 = 181
'저울의 비유'와 '등불의 비유' = 184
『니야야수트라』제5편 제1장 - 잘못된 논란 = 187
『중론송』제1장 제1게송 = 190
『중론송』제25장 = 194
잔여법 혹은 소거법 = 198
『중론송』제2장 = 202
나가르주나의 반논리학 = 206
다시 미시간으로 = 207
제5장 인도인의 사유방법 - 귀납법
유클리드와 파니니 = 214
파니니문법학 = 216
수반과 배제 - 귀납법의 원리 = 218
바수반두 = 222
인도논리학의 논증형식 - 5지논증 = 223
논증의 과정 - 유추 = 229
논증의 오류 -『니야야수트라』의 의사적 이유 = 230
'논증인의 3상설' - 잘못된 이유의 반성에서 바른 이유의 발견으로 = 238
유비추리에서 귀납추리로 = 242
귀납영역의 분석 = 243
디그나가 - 변충관계 = 248
9구인설 = 252
3종의 의사적 이유 = 256
바른 이유 = 258
디그나가의 논증식 - 3지논증 = 258
웃또타카라의 16구인 = 261
순수부정인 = 266
헴펠의 까마귀 = 269
귀납법의 문제 = 271
디그나가 - 아포하 이론 = 274
수반과 배제 - 언어의 표시기능 = 276
열린 논리학 = 279
다르마끼르띠 - 변충관계의 근거 = 282
다르마끼르띠의 아포하 이론 = 285
본질적 결합관계 - 열린 논리학에서 불교논리학으로 = 288
다르마끼르띠의 논증식 = 290
타심의 존재논증 = 294
다르마끼르띠 이후의 인도논리학 = 296
인도인의 사유방법 - 귀납법 = 297
다시 버클리에서 툴민을 만나다 = 302
끝으로 끽연의 옳고 그름을 추리하다 = 306
글을 마치면서 = 309
참고문헌 = 314
역자후기 = 321
찾아보기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