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4
제1부 새로운 한문교육의 모색
한자ㆍ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 12
1. 머리말 = 12
2. 한자의 필수 학습요소 = 15
3. 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 27
4. 맺음말 = 3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의 문학교육 비중 = 35
1. 머리말 = 35
2.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교육 목표 = 36
3. 중학교 교과서의 문학교육 = 41
4. 고등학교 교과서의 문학교육 = 46
5. 향후의 과제 = 52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의 특징과 문제점 = 55
1. 머리말 = 55
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 = 57
3. 집필지침의 문제점 = 67
4. 맺음말 = 73
한문과 인성교육을 위한 시론 = 75
1. 머리말 = 75
2. 공자의 교육목표 = 78
3. 공자의 인성발달과정 = 82
4. 인성교육 프로그램 = 91
5. 맺음말 = 1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04
1. 머리말 = 104
2. 제6ㆍ7차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교과서 평가문항의 정합성 = 105
3. 한문과 평가의 개선에 관한 전망 = 119
4. 맺음말 = 126
한자ㆍ한문 인증시험의 현황과 개선방안 = 128
1. 머리말 = 128
2. 민간자격 국가공인 현황 = 131
3. 검정기준에 관하여 = 140
4. 한자ㆍ한문 인증시험의 실제 = 144
5. 맺음말 = 148
한국의 한문교육과 한문교과서 = 153
1. 머리말 = 153
2. 한문교육의 역사와 세 가지 관점 = 154
3. 한문교육의 목표 = 158
4. 한문교과서 제작의 제도적인 요건 = 163
5. 맺음말 = 169
일본 초ㆍ중ㆍ고 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의 특징 = 171
1. 머리말 = 171
2. 일본의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 = 173
3. 초등학교의 한자교육 = 176
4. 중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 = 182
5. 고등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 = 188
6. 맺음말 = 192
제2부 재미있는 수업모형 개발
문화유적을 활용한 한문수업 = 198
1. 궁궐을 찾아서 = 198
2. 사찰을 찾아서 = 207
3. 전시회 패널 읽기 = 215
4. 유적지 안내판의 건축양식 = 222
한자문화권 속의 한문수업 = 230
1. 한자를 알면 의사소통이 돼요 = 230
2. 삼국의 연하장과 간판 읽기 = 237
3. 삼국의 속담과 격언에 나타난 한자어 = 243
4. 같은 한자(漢字) 다른 표기(表記) = 248
IT 활용 한문 교수학습 요령 = 257
1. 삼국지의 고사성어 학습을 위한 학습지도안 = 257
2. 형제투금(兄弟投金)의 학습지도안 = 266
한문교과서에 활용할 한자어 개발을 위한 노트 = 271
서문 = 4
제1부 새로운 한문교육의 모색
한자ㆍ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 12
1. 머리말 = 12
2. 한자의 필수 학습요소 = 15
3. 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 27
4. 맺음말 = 3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의 문학교육 비중 = 35
1. 머리말 = 35
2.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교육 목표 = 36
3. 중학교 교과서의 문학교육 = 41
4. 고등학교 교과서의 문학교육 = 46
5. 향후의 과제 = 52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의 특징과 문제점 = 55
1. 머리말 = 55
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 집필지침 = 57
3. 집필지침의 문제점 = 67
4. 맺음말 = 73
한문과 인성교육을 위한 시론 = 75
1. 머리말 = 75
2. 공자의 교육목표 = 78
3. 공자의 인성발달과정 = 82
4. 인성교육 프로그램 = 91
5. 맺음말 = 1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04
1. 머리말 = 104
2. 제6ㆍ7차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교과서 평가문항의 정합성 = 105
3. 한문과 평가의 개선에 관한 전망 = 119
4. 맺음말 = 126
한자ㆍ한문 인증시험의 현황과 개선방안 = 128
1. 머리말 = 128
2. 민간자격 국가공인 현황 = 131
3. 검정기준에 관하여 = 140
4. 한자ㆍ한문 인증시험의 실제 = 144
5. 맺음말 = 148
한국의 한문교육과 한문교과서 = 153
1. 머리말 = 153
2. 한문교육의 역사와 세 가지 관점 = 154
3. 한문교육의 목표 = 158
4. 한문교과서 제작의 제도적인 요건 = 163
5. 맺음말 = 169
일본 초ㆍ중ㆍ고 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의 특징 = 171
1. 머리말 = 171
2. 일본의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 = 173
3. 초등학교의 한자교육 = 176
4. 중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 = 182
5. 고등학교의 한자ㆍ한문교육 = 188
6. 맺음말 = 192
제2부 재미있는 수업모형 개발
문화유적을 활용한 한문수업 = 198
1. 궁궐을 찾아서 = 198
2. 사찰을 찾아서 = 207
3. 전시회 패널 읽기 = 215
4. 유적지 안내판의 건축양식 = 222
한자문화권 속의 한문수업 = 230
1. 한자를 알면 의사소통이 돼요 = 230
2. 삼국의 연하장과 간판 읽기 = 237
3. 삼국의 속담과 격언에 나타난 한자어 = 243
4. 같은 한자(漢字) 다른 표기(表記) = 248
IT 활용 한문 교수학습 요령 = 257
1. 삼국지의 고사성어 학습을 위한 학습지도안 = 257
2. 형제투금(兄弟投金)의 학습지도안 = 266
한문교과서에 활용할 한자어 개발을 위한 노트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