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생각 / 이규보 = 13
식영암의 벼루 / 이제현 = 15
소나무와 바위 / 이곡 = 17
좋아함과 미워함 / 이달충 = 19
스스로 경계하다 / 이색 = 22
뜻을 세우다 / 박익 = 25
원 / 정추 = 28
두려워하고 조심하다 / 정몽주 = 31
대나무 창문 / 정도전 = 33
긴 자 / 이첨 = 36
가까움 / 권근 = 38
스스로 경계하다 / 하연 = 40
어리석음 / 박팽년 = 43
신발 / 어세겸 = 46
책 / 김시습 = 48
부끄러움을 깨닫다 / 성현 = 51
등잔걸이 / 김일손 = 53
경계하고 두려워하다 / 심의 = 55
몸을 지키다 / 김안국 = 57
어리석은 듯함 / 이자 = 60
흰 병풍 / 신광한 = 62
솥 / 김정국 = 64
근심과 두려움 / 김정 = 66
줄 없는 거문고 / 서경덕 = 69
뜻이 확정되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 이언적 = 72
벼루 / 정사룡 = 74
무량배 / 기준 = 76
만족할 때와 물러날 때 / 민제인 = 78
스스로 경계하다 / 상진 = 81
서리를 밟을 때 / 주세붕 = 83
술 / 이황 = 86
좌우명 / 조식 = 88
초미금 / 홍섬 = 90
일을 기억하다 / 유희춘 = 93
대야와 물 / 윤현 = 95
등불 / 노수신 = 97
하늘을 기운 돌 / 문익성 = 99
방 모퉁이 / 권호문 = 101
종이 이불 / 황정욱 = 103
필갑 / 송익필 = 105
술과 말 / 권문해 = 107
머리빗 / 성혼 = 109
늘 배우고 익히다 / 이이 = 112
좌우명 / 김천일 = 115
책 / 이덕홍 = 117
세상과 사절하다 / 정구 = 119
검 / 이순신 = 121
만년의 깨달음 / 성여신 = 123
안경 / 이호민 = 125
치욕 / 이항복 = 128
좌우명 / 김상용 = 130
부끄럼이 없기를 / 이수광 = 132
형제의 사랑 / 최현 = 134
새해를 맞으며 / 장흥효 = 140
동짓날 / 신흠 = 144
잠 / 허균 = 146
스스로 경계하다 / 권필 = 149
빗 / 권득기 = 151
거울상자 / 김상헌 = 153
마음을 바꾸지 않다 / 이안눌 = 155
어리석은 나 / 안방준 = 158
마음 / 조익 = 160
책력 / 이식 = 162
스스로 경계하다 / 조임도 = 164
선으로 돌아오다 / 최명길 = 166
삼베 이불 / 김응조 = 169
침묵의 집 / 장유 = 171
돌산 / 허목 = 174
스스로 경계하다 / 이경석 = 176
스스로 경계하다 / 김휴 = 178
베개 / 송시열 = 180
근심과 즐거움 / 이유태 = 182
만취 / 윤선거 = 184
며느리의 벼루 / 이건 = 186
경계의 말 / 윤휴 = 188
시선 / 홍여하 = 190
마음을 잡다 / 이현일 = 192
스스로 경계하다 / 민정중 = 194
치미추 / 윤증 = 198
거문고 / 송규렴 = 200
입춘 / 이숭일 = 202
검 / 박세채 = 204
증손자의 게으름 / 윤추 = 206
발걸음을 멈추다 / 김석주 = 208
곧음의 방 / 이기홍 = 211
네 가지 덕목 / 최석정 = 213
좌우명 / 김간 = 215
노년의 배움 / 정호 = 217
책상 / 신몽삼 = 220
둥근 부채 / 최규서 = 222
밥그릇 / 김창협 = 224
나무와 불 / 김창흡 = 226
붓 / 이형상 = 229
옛 거울 / 홍세태 = 231
책상 / 박태보 = 233
좌우명 / 권두경 = 235
나 / 이재 = 238
지팡이 / 조태채 = 240
벼루 / 이만부 = 242
평상 / 채팽윤 = 244
활시위 / 최창대 = 246
술 마시는 세 도구 / 어유봉 = 248
음식 / 김춘택 = 251
마음을 집중하다 / 신익황 = 253
술병 / 홍태유 = 255
바라지창 / 권구 = 257
좌우명 / 조태억 = 259
응집 / 이재 = 261
사귐의 도 / 정래교 = 263
여섯 가지 후회 / 이익 = 265
사람의 요건 / 한원진 = 267
거울 / 윤봉구 = 270
빗접 / 채지홍 = 272
남의 장점을 취하다 / 권만 = 274
빗자루 / 강재항 = 276
연적 / 오광운 = 278
충간을 받아들임 / 조관빈 = 280
꿀벌 세 마리 / 조현명 = 282
빗상자 / 조귀명 = 284
신혼의 병풍 / 민우수 = 286
직업의 선택 / 남유용 = 288
벽 / 오원 = 290
장수와 행복 / 김낙행 = 292
지팡이 / 이용휴 = 294
띠집 누정 / 이인상 = 296
여덟 폭 병풍 / 이상정 = 298
창문 / 임성주 = 302
하루 / 안정복 = 304
책상 / 이광정 = 307
먹 / 채제공 = 309
색을 경계하다 / 유도원 = 311
호리병박 다관 / 홍양호 = 313
좌우명 / 위백규 = 316
쓰레받기 / 송환기 = 318
속이지 않는 네 가지 / 박윤원 = 320
분노를 참다 / 사도세자 = 322
옳고 그름 / 정종로 = 324
벼루 / 이가환 = 326
감춤 / 이덕무 = 328
거울 / 정조 = 330
네 가지 괘 / 정약용 = 332
게으름 / 김정희 = 334
서문 = 5
생각 / 이규보 = 13
식영암의 벼루 / 이제현 = 15
소나무와 바위 / 이곡 = 17
좋아함과 미워함 / 이달충 = 19
스스로 경계하다 / 이색 = 22
뜻을 세우다 / 박익 = 25
원 / 정추 = 28
두려워하고 조심하다 / 정몽주 = 31
대나무 창문 / 정도전 = 33
긴 자 / 이첨 = 36
가까움 / 권근 = 38
스스로 경계하다 / 하연 = 40
어리석음 / 박팽년 = 43
신발 / 어세겸 = 46
책 / 김시습 = 48
부끄러움을 깨닫다 / 성현 = 51
등잔걸이 / 김일손 = 53
경계하고 두려워하다 / 심의 = 55
몸을 지키다 / 김안국 = 57
어리석은 듯함 / 이자 = 60
흰 병풍 / 신광한 = 62
솥 / 김정국 = 64
근심과 두려움 / 김정 = 66
줄 없는 거문고 / 서경덕 = 69
뜻이 확정되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 이언적 = 72
벼루 / 정사룡 = 74
무량배 / 기준 = 76
만족할 때와 물러날 때 / 민제인 = 78
스스로 경계하다 / 상진 = 81
서리를 밟을 때 / 주세붕 = 83
술 / 이황 = 86
좌우명 / 조식 = 88
초미금 / 홍섬 = 90
일을 기억하다 / 유희춘 = 93
대야와 물 / 윤현 = 95
등불 / 노수신 = 97
하늘을 기운 돌 / 문익성 = 99
방 모퉁이 / 권호문 = 101
종이 이불 / 황정욱 = 103
필갑 / 송익필 = 105
술과 말 / 권문해 = 107
머리빗 / 성혼 = 109
늘 배우고 익히다 / 이이 = 112
좌우명 / 김천일 = 115
책 / 이덕홍 = 117
세상과 사절하다 / 정구 = 119
검 / 이순신 = 121
만년의 깨달음 / 성여신 = 123
안경 / 이호민 = 125
치욕 / 이항복 = 128
좌우명 / 김상용 = 130
부끄럼이 없기를 / 이수광 = 132
형제의 사랑 / 최현 = 134
새해를 맞으며 / 장흥효 = 140
동짓날 / 신흠 = 144
잠 / 허균 = 146
스스로 경계하다 / 권필 = 149
빗 / 권득기 = 151
거울상자 / 김상헌 = 153
마음을 바꾸지 않다 / 이안눌 = 155
어리석은 나 / 안방준 = 158
마음 / 조익 = 160
책력 / 이식 = 162
스스로 경계하다 / 조임도 = 164
선으로 돌아오다 / 최명길 = 166
삼베 이불 / 김응조 = 169
침묵의 집 / 장유 = 171
돌산 / 허목 = 174
스스로 경계하다 / 이경석 = 176
스스로 경계하다 / 김휴 = 178
베개 / 송시열 = 180
근심과 즐거움 / 이유태 = 182
만취 / 윤선거 = 184
며느리의 벼루 / 이건 = 186
경계의 말 / 윤휴 = 188
시선 / 홍여하 = 190
마음을 잡다 / 이현일 = 192
스스로 경계하다 / 민정중 = 194
치미추 / 윤증 = 198
거문고 / 송규렴 = 200
입춘 / 이숭일 = 202
검 / 박세채 = 204
증손자의 게으름 / 윤추 = 206
발걸음을 멈추다 / 김석주 = 208
곧음의 방 / 이기홍 = 211
네 가지 덕목 / 최석정 = 213
좌우명 / 김간 = 215
노년의 배움 / 정호 = 217
책상 / 신몽삼 = 220
둥근 부채 / 최규서 = 222
밥그릇 / 김창협 = 224
나무와 불 / 김창흡 = 226
붓 / 이형상 = 229
옛 거울 / 홍세태 = 231
책상 / 박태보 = 233
좌우명 / 권두경 = 235
나 / 이재 = 238
지팡이 / 조태채 = 240
벼루 / 이만부 = 242
평상 / 채팽윤 = 244
활시위 / 최창대 = 246
술 마시는 세 도구 / 어유봉 = 248
음식 / 김춘택 = 251
마음을 집중하다 / 신익황 = 253
술병 / 홍태유 = 255
바라지창 / 권구 = 257
좌우명 / 조태억 = 259
응집 / 이재 = 261
사귐의 도 / 정래교 = 263
여섯 가지 후회 / 이익 = 265
사람의 요건 / 한원진 = 267
거울 / 윤봉구 = 270
빗접 / 채지홍 = 272
남의 장점을 취하다 / 권만 = 274
빗자루 / 강재항 = 276
연적 / 오광운 = 278
충간을 받아들임 / 조관빈 = 280
꿀벌 세 마리 / 조현명 = 282
빗상자 / 조귀명 = 284
신혼의 병풍 / 민우수 = 286
직업의 선택 / 남유용 = 288
벽 / 오원 = 290
장수와 행복 / 김낙행 = 292
지팡이 / 이용휴 = 294
띠집 누정 / 이인상 = 296
여덟 폭 병풍 / 이상정 = 298
창문 / 임성주 = 302
하루 / 안정복 = 304
책상 / 이광정 = 307
먹 / 채제공 = 309
색을 경계하다 / 유도원 = 311
호리병박 다관 / 홍양호 = 313
좌우명 / 위백규 = 316
쓰레받기 / 송환기 = 318
속이지 않는 네 가지 / 박윤원 = 320
분노를 참다 / 사도세자 = 322
옳고 그름 / 정종로 = 324
벼루 / 이가환 = 326
감춤 / 이덕무 = 328
거울 / 정조 = 330
네 가지 괘 / 정약용 = 332
게으름 / 김정희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