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선(禪)과의 만남 = 11
서강과의 만남: 나의 입시 지옥 탈출기 = 13
잘못된 교육으로 인한 헤매임 = 14
불교와의 만남 = 16
숫타니파타 = 17
종달(宗達) 노사(老師)와의 만남 = 18
노사를 만나며 부른 노래 = 19
처음 일 년 간의 선(禪) 수행 = 21
졸장부가 대장부의 기개를 = 22
다른 종교와의 만남 = 23
다져지는 선(禪) 수행 = 24
오 년 간의 선 수행 후의 나의 하루 = 25
스승을 보내며 부른 노래 = 27
제2장 재가선(在家禪)에서 알아야 할 점 = 29
왜 선(禪) 수행을 하는가 = 31
스님은 스님의 길을, 거사는 거사의 길을 = 33
바른 마음은 튼튼한 몸에서 = 34
처음 먹은 마음 지키기(禪心初心) = 35
좋은 스승 만나기 = 36
네 가지 고마움(四恩) = 37
밥 먹을 때(食事五觀) = 40
쉰다(息)는 것 = 41
태어난 자 반드시 죽는다(生者必滅) Ⅰ = 43
지옥의 바른 이해 Ⅰ = 45
지옥의 바른 이해 Ⅱ = 47
윤회와 환생의 바른 이해 = 48
망년(望年) 모임의 바른 이해 = 50
세간과 출세간 = 51
독화살의 비유 = 53
몸이 아플 때 Ⅰ = 54
몸이 아플 때 Ⅱ = 55
수 세며 숨쉬기(數息觀) = 57
묵조선(默照禪)과 간화선(看話禪) = 59
간화선과 구두선 = 60
잠자리에 들 때 자기를 호되게 꾸짖자 = 60
제3장 선(禪)과 자동차 문화 = 65
차(車)와 몸(身) Ⅰ = 67
차의 뒷거울과 삶의 되돌아봄 = 68
좁아지는 길에서의 선(禪) 수행 = 70
통신시차 완급자재(通身是車 緩急自在) = 72
대중 교통 수단과 자가용차 = 73
앞차와 여유를 두고 달린다 = 74
폐차(廢車)와 장례(葬禮) = 76
초보 운전과 선심초심(禪心初心) = 79
초보 운전과 습관 = 81
교통 경찰과 시방삼세 제불보살 = 82
차와 몸 Ⅱ = 83
제4장 오늘의 나 = 85
부모님과 나 = 87
대학 시절 = 90
도문 스님과의 첫 만남 = 91
대학원 시절 = 92
맹목적인 효심으로 인한 양심의 가책 = 93
결혼 = 94
강원대학교 재직 시절 = 95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화해 = 96
종달 노사의 인가 = 97
뉴욕 주립대 연구원 시절 = 98
모교인 서강대로의 전직 = 99
선도회 제2대 지도법사 = 100
무난헌(無難軒)으로 헌호를 짓다 = 101
숭산 노사와의 만남 = 101
서강대에서 참선 모임을 시작하다 = 102
도문 노사와의 재회 = 103
'오늘의 나'를 접으며 = 105
제5장 선(禪)과 물리학 = 107
국내파와 해외 유학파 = 109
한국선과 국제선 Ⅰ = 110
극한 개념과 병 속의 새 = 112
미국식 교육과 유럽식 교육 = 114
한국선과 국제선 Ⅱ = 115
인가(印可)와 박사 학위 = 116
방학과 개강 = 119
용수철과 탄성력과 종교인의 수행력 = 120
화두의 구실 = 122
두 문을 동시에 투과한다 Ⅰ = 123
두 문을 동시에 투과한다 Ⅱ = 127
고전 물리학과 현대물리학 = 128
양자물리학과 주사위 놀이 = 129
양자물리학과 직입벽중과 = 131
과학적 사실의 인식과 바른 종교적 실천 = 133
새해 첫날과 좌표기준틀 = 134
안은 밖이요 밖은 안이다 = 136
참빛은 빛나지 않는다(眞光不輝) = 138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 = 139
양자도약을 통한 돈오와 점수의 이해 = 140
통일장(統一場) 이론과 만법귀일(萬法歸一) = 142
'선과 물리학'편을 접으며 = 144
제6장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화두들 = 147
'무(無)' 자(字) = 149
수행 일지 Ⅰ = 151
날아가는 비행기를 멈춤 = 155
수행 일지 Ⅱ = 157
외짝손소리(隻手聲) = 158
수행 일지 Ⅲ = 159
동쪽 산이 물 위로 간다(東山水上行) = 160
수행 일지 Ⅳ = 161
손을 쓰지 않고 호미를 쥔다(空手把鋤頭) = 162
이천 소가 밥 먹으니 제주 말이 배 부르다(懷州牛喫禾 益州馬腹脹) = 163
찬찬히 살펴 날아가는 새 발자국을 그려라(縱觀寫出飛禽跡) = 164
천천히 걸으면서 흐르는 물 소리를 밟아 끊어라(徐行踏斷流水聲) = 165
사람이 다리 위를 지날 때 다리는 흐르는데 물은 흐르지 않는구나(人從橋上過 橋流水不流) = 167
남산 꼭대기(南山絶頂)의 외짝손(隻手) = 168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은 모두 이 경에서 나옴 = 169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인데 어느 심(心)에 떡을 먹겠는가! = 170
머무르는 바 없이 마음이 일어나는구나(應無所在而生起心) = 172
천길 속의 돌자갈을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끄집어 내는 솜씨 = 174
만산(萬山)에 눈이 가득 쌓였는데 한 봉오리(孤峰)만 왜 검은고! = 175
지렁이를 두 토막으로 잘랐는데 어느 것이 진짜인고!(구蚓兩斷 那箇是眞底) = 176
제7장 선 수행의 필독서 = 177
무문관과 벽암록 = 179
무문관에 대하여 = 181
조주무자(趙州無字) = 183
대통지승(大通智勝) = 186
남전참묘(南泉斬猫) = 189
가섭찰간(迦葉刹竿) = 191
천녀이혼(천女離魂) = 194
우과창령(牛過窓령) = 197
여자출정(女子出定) = 198
도솔삼관(兜率三關) = 200
벽암록에 대하여 = 202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 203
마대사불안(馬大師不安) = 206
운문일일호일(雲門日日好日) = 208
운문도일설(雲門倒一說) = 210
방거사호설편편(龐居士好雪片片) = 212
동산무한서(洞山無寒署) = 214
부대사강경경(傅大士講經竟) = 216
'선 수행의 필독서'편을 접으며 = 217
제8장 마무리하는 사람들을 위한 화두들 = 219
긴 수염을 어디에 놓고 자는가? = 221
불(佛)이라는 자(字)에 때가 끼었다 = 222
하늘과 땅을 통틀어 나는 가장 귀한 존재다(天上天下唯我獨尊) = 223
걸으면서 물소를 탄다(步行騎水牛) = 225
이뭣고(是甚마) = 227
문이 잠겨 있으니 열쇠 구멍으로 들어오라 = 228
밤 하늘에 빛나는 별은 모두 몇 개인가? = 230
훈풍이 스스로 불어 오니 궁궐 안이 서늘하구나(薰風自南來 殿閣微凉生) = 231
내 손은 왜 부처님 손과 같은가?(我手何似佛手) = 234
내 발은 왜 노새의 발과 같은가?(我脚何似驢脚) = 235
사람마다 태어나기 전의 생연이 있다(人人有箇生緣) = 237
제9장 붓 가는 대로 = 239
하루하루 살아감이 바로 도(平常心是道) = 241
비판과 비난 = 242
뭐 별일(奇特事) 없습니까? = 245
결제와 해제 = 247
신부는 나귀타고 시어머니는 고삐를 끄네(新婦騎驢阿家牽) Ⅰ = 248
신부는 나귀타고 시어머니는 고삐를 끄네 Ⅱ = 249
조계종 총무원과 선학원 = 250
금란가사에 대하여 = 252
알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 = 253
절까지 이어진 포장 도로 = 254
승용차를 이용하는 바른 뜻 = 255
죽는 날까지 부를 노래 = 256
불립문자의 바른 이해와 책 읽기 = 257
술몽쇄언을 지은 월창(月窓) 거사 = 259
신임 교수와 처음 먹은 마음 지키기 = 260
연꽃마을 공동체에 드리는 글 = 264
보직(補職)과 나의 견해 = 266
신임 교수 모셔 오기 = 267
신임 교수 뒷바라지하기 = 270
베풂(布施)에 관하여 : 장학 회관 건립 기금 100만 원을 채우며 = 271
신의(信義)에 대하여 = 273
죽음을 초월하는 마음의 과학 = 274
태어난 자 반드시 죽는다(生者必滅) Ⅱ = 275
향상일로(向上一路)는 어디에 있는고? = 276
제10장 선도회(禪道會) = 279
선도회의 법사들 = 281
철심(鐵心) 이창훈 거사 = 282
법원(法元) 조보환 거사 = 284
도심(道心) 김기린 거사 = 286
법전(法田) 한기창 거사 = 287
혜정(慧頂) 김인경 거사 = 289
혜연(慧淵) 한갑수 대자(大姉) = 290
좌선도량건립(坐禪道場建立) 권선문(勸善文) = 294
선도회 선원 건립에 관하여 = 298
구체적인 선원 건립 계획안 = 299
글을 마무리 지으며 = 300
지은이 소개 = 302
들어가는 말
제1장 선(禪)과의 만남 = 11
서강과의 만남: 나의 입시 지옥 탈출기 = 13
잘못된 교육으로 인한 헤매임 = 14
불교와의 만남 = 16
숫타니파타 = 17
종달(宗達) 노사(老師)와의 만남 = 18
노사를 만나며 부른 노래 = 19
처음 일 년 간의 선(禪) 수행 = 21
졸장부가 대장부의 기개를 = 22
다른 종교와의 만남 = 23
다져지는 선(禪) 수행 = 24
오 년 간의 선 수행 후의 나의 하루 = 25
스승을 보내며 부른 노래 = 27
제2장 재가선(在家禪)에서 알아야 할 점 = 29
왜 선(禪) 수행을 하는가 = 31
스님은 스님의 길을, 거사는 거사의 길을 = 33
바른 마음은 튼튼한 몸에서 = 34
처음 먹은 마음 지키기(禪心初心) = 35
좋은 스승 만나기 = 36
네 가지 고마움(四恩) = 37
밥 먹을 때(食事五觀) = 40
쉰다(息)는 것 = 41
태어난 자 반드시 죽는다(生者必滅) Ⅰ = 43
지옥의 바른 이해 Ⅰ = 45
지옥의 바른 이해 Ⅱ = 47
윤회와 환생의 바른 이해 = 48
망년(望年) 모임의 바른 이해 = 50
세간과 출세간 = 51
독화살의 비유 = 53
몸이 아플 때 Ⅰ = 54
몸이 아플 때 Ⅱ = 55
수 세며 숨쉬기(數息觀) = 57
묵조선(默照禪)과 간화선(看話禪) = 59
간화선과 구두선 = 60
잠자리에 들 때 자기를 호되게 꾸짖자 = 60
제3장 선(禪)과 자동차 문화 = 65
차(車)와 몸(身) Ⅰ = 67
차의 뒷거울과 삶의 되돌아봄 = 68
좁아지는 길에서의 선(禪) 수행 = 70
통신시차 완급자재(通身是車 緩急自在) = 72
대중 교통 수단과 자가용차 = 73
앞차와 여유를 두고 달린다 = 74
폐차(廢車)와 장례(葬禮) = 76
초보 운전과 선심초심(禪心初心) = 79
초보 운전과 습관 = 81
교통 경찰과 시방삼세 제불보살 = 82
차와 몸 Ⅱ = 83
제4장 오늘의 나 = 85
부모님과 나 = 87
대학 시절 = 90
도문 스님과의 첫 만남 = 91
대학원 시절 = 92
맹목적인 효심으로 인한 양심의 가책 = 93
결혼 = 94
강원대학교 재직 시절 = 95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화해 = 96
종달 노사의 인가 = 97
뉴욕 주립대 연구원 시절 = 98
모교인 서강대로의 전직 = 99
선도회 제2대 지도법사 = 100
무난헌(無難軒)으로 헌호를 짓다 = 101
숭산 노사와의 만남 = 101
서강대에서 참선 모임을 시작하다 = 102
도문 노사와의 재회 = 103
'오늘의 나'를 접으며 = 105
제5장 선(禪)과 물리학 = 107
국내파와 해외 유학파 = 109
한국선과 국제선 Ⅰ = 110
극한 개념과 병 속의 새 = 112
미국식 교육과 유럽식 교육 = 114
한국선과 국제선 Ⅱ = 115
인가(印可)와 박사 학위 = 116
방학과 개강 = 119
용수철과 탄성력과 종교인의 수행력 = 120
화두의 구실 = 122
두 문을 동시에 투과한다 Ⅰ = 123
두 문을 동시에 투과한다 Ⅱ = 127
고전 물리학과 현대물리학 = 128
양자물리학과 주사위 놀이 = 129
양자물리학과 직입벽중과 = 131
과학적 사실의 인식과 바른 종교적 실천 = 133
새해 첫날과 좌표기준틀 = 134
안은 밖이요 밖은 안이다 = 136
참빛은 빛나지 않는다(眞光不輝) = 138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 = 139
양자도약을 통한 돈오와 점수의 이해 = 140
통일장(統一場) 이론과 만법귀일(萬法歸一) = 142
'선과 물리학'편을 접으며 = 144
제6장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화두들 = 147
'무(無)' 자(字) = 149
수행 일지 Ⅰ = 151
날아가는 비행기를 멈춤 = 155
수행 일지 Ⅱ = 157
외짝손소리(隻手聲) = 158
수행 일지 Ⅲ = 159
동쪽 산이 물 위로 간다(東山水上行) = 160
수행 일지 Ⅳ = 161
손을 쓰지 않고 호미를 쥔다(空手把鋤頭) = 162
이천 소가 밥 먹으니 제주 말이 배 부르다(懷州牛喫禾 益州馬腹脹) = 163
찬찬히 살펴 날아가는 새 발자국을 그려라(縱觀寫出飛禽跡) = 164
천천히 걸으면서 흐르는 물 소리를 밟아 끊어라(徐行踏斷流水聲) = 165
사람이 다리 위를 지날 때 다리는 흐르는데 물은 흐르지 않는구나(人從橋上過 橋流水不流) = 167
남산 꼭대기(南山絶頂)의 외짝손(隻手) = 168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은 모두 이 경에서 나옴 = 169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인데 어느 심(心)에 떡을 먹겠는가! = 170
머무르는 바 없이 마음이 일어나는구나(應無所在而生起心) = 172
천길 속의 돌자갈을 손에 물을 묻히지 않고 끄집어 내는 솜씨 = 174
만산(萬山)에 눈이 가득 쌓였는데 한 봉오리(孤峰)만 왜 검은고! = 175
지렁이를 두 토막으로 잘랐는데 어느 것이 진짜인고!(구蚓兩斷 那箇是眞底) = 176
제7장 선 수행의 필독서 = 177
무문관과 벽암록 = 179
무문관에 대하여 = 181
조주무자(趙州無字) = 183
대통지승(大通智勝) = 186
남전참묘(南泉斬猫) = 189
가섭찰간(迦葉刹竿) = 191
천녀이혼(천女離魂) = 194
우과창령(牛過窓령) = 197
여자출정(女子出定) = 198
도솔삼관(兜率三關) = 200
벽암록에 대하여 = 202
조주지도무난(趙州至道無難) = 203
마대사불안(馬大師不安) = 206
운문일일호일(雲門日日好日) = 208
운문도일설(雲門倒一說) = 210
방거사호설편편(龐居士好雪片片) = 212
동산무한서(洞山無寒署) = 214
부대사강경경(傅大士講經竟) = 216
'선 수행의 필독서'편을 접으며 = 217
제8장 마무리하는 사람들을 위한 화두들 = 219
긴 수염을 어디에 놓고 자는가? = 221
불(佛)이라는 자(字)에 때가 끼었다 = 222
하늘과 땅을 통틀어 나는 가장 귀한 존재다(天上天下唯我獨尊) = 223
걸으면서 물소를 탄다(步行騎水牛) = 225
이뭣고(是甚마) = 227
문이 잠겨 있으니 열쇠 구멍으로 들어오라 = 228
밤 하늘에 빛나는 별은 모두 몇 개인가? = 230
훈풍이 스스로 불어 오니 궁궐 안이 서늘하구나(薰風自南來 殿閣微凉生) = 231
내 손은 왜 부처님 손과 같은가?(我手何似佛手) = 234
내 발은 왜 노새의 발과 같은가?(我脚何似驢脚) = 235
사람마다 태어나기 전의 생연이 있다(人人有箇生緣) = 237
제9장 붓 가는 대로 = 239
하루하루 살아감이 바로 도(平常心是道) = 241
비판과 비난 = 242
뭐 별일(奇特事) 없습니까? = 245
결제와 해제 = 247
신부는 나귀타고 시어머니는 고삐를 끄네(新婦騎驢阿家牽) Ⅰ = 248
신부는 나귀타고 시어머니는 고삐를 끄네 Ⅱ = 249
조계종 총무원과 선학원 = 250
금란가사에 대하여 = 252
알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 = 253
절까지 이어진 포장 도로 = 254
승용차를 이용하는 바른 뜻 = 255
죽는 날까지 부를 노래 = 256
불립문자의 바른 이해와 책 읽기 = 257
술몽쇄언을 지은 월창(月窓) 거사 = 259
신임 교수와 처음 먹은 마음 지키기 = 260
연꽃마을 공동체에 드리는 글 = 264
보직(補職)과 나의 견해 = 266
신임 교수 모셔 오기 = 267
신임 교수 뒷바라지하기 = 270
베풂(布施)에 관하여 : 장학 회관 건립 기금 100만 원을 채우며 = 271
신의(信義)에 대하여 = 273
죽음을 초월하는 마음의 과학 = 274
태어난 자 반드시 죽는다(生者必滅) Ⅱ = 275
향상일로(向上一路)는 어디에 있는고? = 276
제10장 선도회(禪道會) = 279
선도회의 법사들 = 281
철심(鐵心) 이창훈 거사 = 282
법원(法元) 조보환 거사 = 284
도심(道心) 김기린 거사 = 286
법전(法田) 한기창 거사 = 287
혜정(慧頂) 김인경 거사 = 289
혜연(慧淵) 한갑수 대자(大姉) = 290
좌선도량건립(坐禪道場建立) 권선문(勸善文) = 294
선도회 선원 건립에 관하여 = 298
구체적인 선원 건립 계획안 = 299
글을 마무리 지으며 = 300
지은이 소개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