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유통경로구성원에 대한 이해
제1장 유통관리의 기초개념
1. 유통경로의 개념 = 9
(1) 유통경로의 정의 = 9
(2) 유통경로가 필요한 이유 = 10
(3) 유통경로구성원의 기능 = 14
(4) 시스템으로서의 유통경로 = 17
(5) 경쟁우위 원천으로서의 유통경로 = 17
2. 유통관리의 영역 = 19
3. 유통관리와 여타 마케팅믹스와의 관계 = 21
(1) 제품전략과 유통관리와의 관계 = 21
(2) 촉진전략과의 관계 = 24
(3) 가격전략과의 관계 = 25
4. 이 책의 구성체계 = 27
제2장 소매상(Ⅰ) : 점포형 소매상
1. 소매상의 본질과 중요성 = 34
(1) 소매업의 정의 = 34
(2) 소매상의 기능 = 35
(3) 소매상의 변천과정 = 36
2. 한국의 소매업 = 40
3. 소매업의 유형 = 42
(1) 편의점 = 42
(2) 슈퍼마켓 = 45
(3) 백화점 = 47
(4) 전문점 = 51
(5) 대형마트(할인점) = 53
(6) 전문할인점 = 61
(7) 회원제 도매클럽 = 63
(8) 하이퍼마켓과 슈퍼센터 = 65
(9) 양판점 = 67
제3장 소매상(Ⅱ) : 무점포형 소매상과 인터넷 유통
1. 전통형 무점포 소매상 = 72
(1) 우편판매 = 73
(2) 텔레마케팅 = 74
(3) 자동판매기 = 75
(4) 직접판매 = 76
2. 인터넷시대의 무점포 소매상 = 84
(1) TV마케팅 = 84
(2) 인터넷과 모바일마케팅 = 87
(3) 인터넷 소매업(e-retailing) = 97
제4장 소매업 발전 추세와 소매관리
1. 소매업 발전의 주요추세 = 106
(1) 파워소매업자에 의한 소매시장 지배력의 심화 = 106
(2) 소매업(태)의 양극화 현상의 확대 = 108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 114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 117
(5)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 = 119
(6) 컴퓨터기술 영향력의 증가 및 온라인 쇼핑 = 120
(7) 소매점 포지션의 중요성 증가 = 121
2. 소매관리 = 125
(1) 소매상 마케팅전략 = 126
(2) 상권분석 = 135
제5장 도매상
1. 도매상의 본질과 기능 = 157
(1) 도매상의 정의 = 157
(2) 도매상의 기능 = 158
2. 도매상의 유형 = 162
(1) 상인 도매상 = 162
(2) 대리점 = 165
(3) 브로커 = 166
(4) 제조업자 도매상 = 167
3. 제조업자의 도매상관리 = 167
4. 도매상의 문제점 및 평가 = 169
(1) 소비재 도매상 = 169
(2) 산업재 유통업자 = 172
5. 도매상 마케팅전략 = 175
(1) 표적시장의 선정 = 175
(2) 도매상 마케팅믹스전략 = 175
(3) 제품구색과 서비스결정 = 175
(4) 가격결정 = 176
(5) 촉진결정 = 176
(6) 입지결정 = 178
제6장 물적유통관리와 SCM
1. 물적유통의 개념과 영역 = 182
2. 경쟁우위원천으로서의 물적유통관리 = 187
(1) 고객서비스의 증가 = 190
(2) 시간단축 = 190
(3) 시장의 글로벌화 = 191
(4) 물류조직의 통합화 = 191
(5) 아웃소싱 = 191
3. 통합적 물적유통 구축 및 관리과정 = 193
(1) 고객서비스 욕구의 파악과 주요 고객서비스 요소의 결정 = 194
(2) 고객서비스 목표(표준)의 설정 = 197
(3) 최소비용 물류시스템의 설계 = 201
4. 통합물류시스템 = 204
(1) QR(Quick Response)시스템 = 204
(2) ECR(효율적 소비자반응시스템) = 205
5. 개별 물류활동의 관리 = 207
(1) 재고결정 = 207
(2) 수송결정 = 211
(3) 주문처리 결정 = 215
(4) 포장 및 하역에 대한 결정 = 216
6. 공급망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 219
(1) SCM도입의 목적 = 219
(2) 공급망 개념의 확대: 가치전달 네트워크 = 220
(3) e-SCM = 222
제7장 유통정보시스템
1. 유통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영향 = 228
(1) 정보기술이 유통경로에 미친 영향 = 228
(2) 원활한 경로커뮤니케이션의 저해요인 = 230
(3) 유통정보시스템의 설계과정 = 231
(4) 유통정보시스템의 도입에 의한 영업사원의 역할 변화 = 233
(5) 유통정보시스템 도입의 이점 = 234
2.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의 성공사례 = 237
(1)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후방통합화의 성공사례 = 237
(2)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방통합화의 성공사례 = 238
(3)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후방 통합화의 성공사례 = 238
(4) 타업종과의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에 의한 경쟁우위 확보의 예 = 239
3. 유통정보기술의 유형과 활용 = 242
(1) 전자식 정보교환시스템 = 242
(2) 바코드와 POS시스템 = 246
(3) 소비자 ID카드 = 253
4. 고객관계관리(CRM) = 254
(1) CRM의 대두와 의미 = 254
(2) CRM의 개념적 틀 = 255
(3) CRM 프로세스 = 257
제2부 유통경로구조의 설계와 관리
제8장 유통경로구조의 설계
(1) 고객에게 판매(제공)되는 가치의 검토 = 268
(2) 서비스산출에 의한 시장세분화 = 269
(3) 세분시장별 최적경로흐름(경로활동)의 결정 = 274
(4) 최적경로구조의 결정 = 279
(5) 표적시장의 결정 = 291
(6) 최적경로구조의 확정과 실행 = 299
제9장 유통경로의 관리와 수직적 통합
1. 전통형 경로 = 310
2. 관리형 경로 = 312
(1) 관리형 경로의 의의 = 312
(2) 관리형경로의 구축요건 = 315
(3) 관리형 경로의 이점 = 318
3. 계약형 경로 = 319
(1) 자발적 집단과 소매상 협동조합 = 321
(2) 프랜차이즈 시스템 = 324
4. 기업형 경로 = 325
(1) 기업형 경로의 의의 = 325
(2) 수직적 통합의 장ㆍ단점 = 326
(3) 수직적 통합의 의사결정단계 = 329
제10장 프랜차이징
1. 프랜차이징의 정의와 특성 = 338
(1) 정의 = 338
(2) 특성 = 340
(3) 장ㆍ단점 = 340
2.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유형 = 342
3. 프랜차이징의 운영방식 = 344
(1) 지원서비스 = 344
(2) 수입원천 = 345
4.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통제 = 346
(1) 통제방식 = 346
(2) 직영점의 운영 = 350
(3) 프랜차이즈 시스템내 갈등 및 협력관계 = 351
5. 가맹점 보호규제와 윤리강령 = 354
6.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성공요인 = 356
(1) 신생 프랜차이즈 본부의 성공모형 = 358
(2) 가맹점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 366
7. 프랜차이즈 경영에서의 주요 전략 이슈 = 370
(1) 전략적 목표: 성장속도 = 370
(2) 소유전략: 가맹점과 직영점의 비율 = 372
(3) 가격전략: 프랜차이즈 본부의 수입구조 = 374
(4) 시장커버리지전략: 가맹점에 대한 상권보장 = 376
제3부 경로활동의 조정과 통제
제11장 유통경로내 힘의 원천과 행사
1. 힘의 개념 = 385
(1) Dahl의 정의 = 386
(2) Emerson의 정의 = 386
2. 힘의 원천과 효과 = 389
(1) 힘의 원천에 대한 정의와 유형 = 389
(2) 힘의 원천에 대한 심리적 반응과정 = 393
(3) 힘의 원천의 효과 = 395
3. 힘의 측정 = 397
(1) 마케팅전략에 대한 통제로서의 힘 = 397
(2) 의존의 함수로서의 힘 = 397
(3) 힘의 원천의 함수로서의 힘 = 398
(4) 의존과 힘의 원천의 함수로서의 힘 = 398
4. 영향력 행사전략 = 399
5. 경로리더십 = 403
(1) 경로리더십 모형 = 404
(2) 경로구성원별 리더십 = 408
제12장 유통경로내 갈등관리
1. 경로갈등모형 = 423
(1) 경로갈등의 전개과정: 과정모형 = 424
(2) 갈등발생의 구조: 구조모형 = 429
(3) 인센티브 구조 = 431
2. 경로갈등의 원인 = 433
(1) 목표의 불일치 = 434
(2) 현실인식에서의 차이 = 435
(3) 영역불일치 = 438
3. 경로갈등에 대한 경로구성원들의 반응 = 439
(1) 힘의 행사 = 440
(2) 내부조직의 변화 = 441
4. 경로갈등의 효과 = 443
(1) 갈등의 역기능 = 443
(2) 갈등의 순기능 = 444
(3) 경로갈등과 성과와의 관계 = 445
5. 경로갈등 해결메커니즘 = 448
(1) 갈등 해결메커니즘의 유형 = 448
(2) 갈등해결방법의 선택 = 452
6. 경로갈등의 진단과 측정 = 454
(1) 경로갈등의 진단 = 454
(2) 경로갈등의 측정 = 456
제13장 경로협력을 위한 메커니즘
1.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변화추세 = 463
2. 장기협력관계의 의의와 필요성 = 466
(1) 장기협력관계의 의의 = 466
(2) 장기협력관계의 필요성 = 469
(3) 장기협력관계의 문제점 = 471
3. 장기협력관계의 결정요인 = 473
(1) 관계규범 = 474
(2) 거래윤리 = 475
(3) 신뢰 = 480
(4) 몰입 = 488
(5) 힘의 균형화 = 490
4. 경로이탈 = 492
(1) 경로이탈의 개념 = 493
(2) 경로이탈이론 = 493
(3) 경로이탈의 결정단계 = 495
제14장 유통경로내 전략고객관리
1. 전략고객관리의 의의와 이점 = 507
(1) 전략고객관리의 의의 = 507
(2) 전략고객관리의 이점 = 510
2. 전략고객관리의 근본 차원 = 511
3. 전략고객관리의 내용 = 513
(1) 전략고객의 선정 = 513
(2) 구매과정의 분석 = 515
(3)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발전 = 516
(4) 판매 조정 = 517
4. 전략고객관리의 성공요건 = 520
(1) 사업관점에서의 전략고객관리의 정의 = 520
(2) 조직정렬 = 521
(3) 전략고객의 선정 = 523
(4) 인적자원의 확보 = 525
(5) 기업고객과의 관계형성 = 529
(6) 전략고객가치의 계량화 = 530
(7) 기술해법의 개발 = 532
5. 글로벌 고객관리=534
(1) 전략적 이슈 - 글로벌 고객의 선정과 관계설정 = 536
(2) 실행 이슈 - 적절한 시스템과 인력의 활용 = 540
제15장 경로성과의 평가
1. 경로성과의 거시적 평가 = 547
(1) 효과성 = 547
(2) 형평성 = 549
(3) 효율성 = 549
2. 경로성과의 미시적 평가 = 550
(1) 경로구성원의 재무성과 평가 = 550
(2) 경로구성원의 공헌도 평가 = 555
3. 경로대안의 평가 = 560
(1) 경로기능감사 = 560
(2) 서비스품질 감사 = 562
(3) 경로환경, 구조, 정책감사 = 567
(4) 유통비용분석 = 567
4. 경로성과의 정성적 척도와 정량적 척도 = 573
제16장 유통경로정책의 법적 제약요인
1. 시장커버리지정책 = 583
2. 고객커버리지정책 = 588
3. 가격정책 = 590
(1) 가격유지 = 590
(2) 가격차별 = 594
4. 제품라인정책 = 599
(1) 배타적 거래 = 599
(2) 끼워팔기 = 600
(3) 풀라인 강제 = 601
(4) 지정제품 정책 = 602
5. 선정 및 해지정책 = 602
6. 소유정책 = 603
(1) 합병에 의한 수직적 통합 = 604
(2) 내부확장에 의한 수직적 통합 = 604
(3) 복수경로유통 = 604
국문색인 = 607
영문색인 = 614
제1부 유통경로구성원에 대한 이해
제1장 유통관리의 기초개념
1. 유통경로의 개념 = 9
(1) 유통경로의 정의 = 9
(2) 유통경로가 필요한 이유 = 10
(3) 유통경로구성원의 기능 = 14
(4) 시스템으로서의 유통경로 = 17
(5) 경쟁우위 원천으로서의 유통경로 = 17
2. 유통관리의 영역 = 19
3. 유통관리와 여타 마케팅믹스와의 관계 = 21
(1) 제품전략과 유통관리와의 관계 = 21
(2) 촉진전략과의 관계 = 24
(3) 가격전략과의 관계 = 25
4. 이 책의 구성체계 = 27
제2장 소매상(Ⅰ) : 점포형 소매상
1. 소매상의 본질과 중요성 = 34
(1) 소매업의 정의 = 34
(2) 소매상의 기능 = 35
(3) 소매상의 변천과정 = 36
2. 한국의 소매업 = 40
3. 소매업의 유형 = 42
(1) 편의점 = 42
(2) 슈퍼마켓 = 45
(3) 백화점 = 47
(4) 전문점 = 51
(5) 대형마트(할인점) = 53
(6) 전문할인점 = 61
(7) 회원제 도매클럽 = 63
(8) 하이퍼마켓과 슈퍼센터 = 65
(9) 양판점 = 67
제3장 소매상(Ⅱ) : 무점포형 소매상과 인터넷 유통
1. 전통형 무점포 소매상 = 72
(1) 우편판매 = 73
(2) 텔레마케팅 = 74
(3) 자동판매기 = 75
(4) 직접판매 = 76
2. 인터넷시대의 무점포 소매상 = 84
(1) TV마케팅 = 84
(2) 인터넷과 모바일마케팅 = 87
(3) 인터넷 소매업(e-retailing) = 97
제4장 소매업 발전 추세와 소매관리
1. 소매업 발전의 주요추세 = 106
(1) 파워소매업자에 의한 소매시장 지배력의 심화 = 106
(2) 소매업(태)의 양극화 현상의 확대 = 108
(3) 패키지 소비용품의 유통경로상에서 소매업자 파워의 증가 = 114
(4)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는 중간상상표 = 117
(5) 편의성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 = 119
(6) 컴퓨터기술 영향력의 증가 및 온라인 쇼핑 = 120
(7) 소매점 포지션의 중요성 증가 = 121
2. 소매관리 = 125
(1) 소매상 마케팅전략 = 126
(2) 상권분석 = 135
제5장 도매상
1. 도매상의 본질과 기능 = 157
(1) 도매상의 정의 = 157
(2) 도매상의 기능 = 158
2. 도매상의 유형 = 162
(1) 상인 도매상 = 162
(2) 대리점 = 165
(3) 브로커 = 166
(4) 제조업자 도매상 = 167
3. 제조업자의 도매상관리 = 167
4. 도매상의 문제점 및 평가 = 169
(1) 소비재 도매상 = 169
(2) 산업재 유통업자 = 172
5. 도매상 마케팅전략 = 175
(1) 표적시장의 선정 = 175
(2) 도매상 마케팅믹스전략 = 175
(3) 제품구색과 서비스결정 = 175
(4) 가격결정 = 176
(5) 촉진결정 = 176
(6) 입지결정 = 178
제6장 물적유통관리와 SCM
1. 물적유통의 개념과 영역 = 182
2. 경쟁우위원천으로서의 물적유통관리 = 187
(1) 고객서비스의 증가 = 190
(2) 시간단축 = 190
(3) 시장의 글로벌화 = 191
(4) 물류조직의 통합화 = 191
(5) 아웃소싱 = 191
3. 통합적 물적유통 구축 및 관리과정 = 193
(1) 고객서비스 욕구의 파악과 주요 고객서비스 요소의 결정 = 194
(2) 고객서비스 목표(표준)의 설정 = 197
(3) 최소비용 물류시스템의 설계 = 201
4. 통합물류시스템 = 204
(1) QR(Quick Response)시스템 = 204
(2) ECR(효율적 소비자반응시스템) = 205
5. 개별 물류활동의 관리 = 207
(1) 재고결정 = 207
(2) 수송결정 = 211
(3) 주문처리 결정 = 215
(4) 포장 및 하역에 대한 결정 = 216
6. 공급망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 219
(1) SCM도입의 목적 = 219
(2) 공급망 개념의 확대: 가치전달 네트워크 = 220
(3) e-SCM = 222
제7장 유통정보시스템
1. 유통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영향 = 228
(1) 정보기술이 유통경로에 미친 영향 = 228
(2) 원활한 경로커뮤니케이션의 저해요인 = 230
(3) 유통정보시스템의 설계과정 = 231
(4) 유통정보시스템의 도입에 의한 영업사원의 역할 변화 = 233
(5) 유통정보시스템 도입의 이점 = 234
2.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의 성공사례 = 237
(1)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후방통합화의 성공사례 = 237
(2)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방통합화의 성공사례 = 238
(3)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후방 통합화의 성공사례 = 238
(4) 타업종과의 유통정보시스템 구축에 의한 경쟁우위 확보의 예 = 239
3. 유통정보기술의 유형과 활용 = 242
(1) 전자식 정보교환시스템 = 242
(2) 바코드와 POS시스템 = 246
(3) 소비자 ID카드 = 253
4. 고객관계관리(CRM) = 254
(1) CRM의 대두와 의미 = 254
(2) CRM의 개념적 틀 = 255
(3) CRM 프로세스 = 257
제2부 유통경로구조의 설계와 관리
제8장 유통경로구조의 설계
(1) 고객에게 판매(제공)되는 가치의 검토 = 268
(2) 서비스산출에 의한 시장세분화 = 269
(3) 세분시장별 최적경로흐름(경로활동)의 결정 = 274
(4) 최적경로구조의 결정 = 279
(5) 표적시장의 결정 = 291
(6) 최적경로구조의 확정과 실행 = 299
제9장 유통경로의 관리와 수직적 통합
1. 전통형 경로 = 310
2. 관리형 경로 = 312
(1) 관리형 경로의 의의 = 312
(2) 관리형경로의 구축요건 = 315
(3) 관리형 경로의 이점 = 318
3. 계약형 경로 = 319
(1) 자발적 집단과 소매상 협동조합 = 321
(2) 프랜차이즈 시스템 = 324
4. 기업형 경로 = 325
(1) 기업형 경로의 의의 = 325
(2) 수직적 통합의 장ㆍ단점 = 326
(3) 수직적 통합의 의사결정단계 = 329
제10장 프랜차이징
1. 프랜차이징의 정의와 특성 = 338
(1) 정의 = 338
(2) 특성 = 340
(3) 장ㆍ단점 = 340
2.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유형 = 342
3. 프랜차이징의 운영방식 = 344
(1) 지원서비스 = 344
(2) 수입원천 = 345
4.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통제 = 346
(1) 통제방식 = 346
(2) 직영점의 운영 = 350
(3) 프랜차이즈 시스템내 갈등 및 협력관계 = 351
5. 가맹점 보호규제와 윤리강령 = 354
6.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성공요인 = 356
(1) 신생 프랜차이즈 본부의 성공모형 = 358
(2) 가맹점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 366
7. 프랜차이즈 경영에서의 주요 전략 이슈 = 370
(1) 전략적 목표: 성장속도 = 370
(2) 소유전략: 가맹점과 직영점의 비율 = 372
(3) 가격전략: 프랜차이즈 본부의 수입구조 = 374
(4) 시장커버리지전략: 가맹점에 대한 상권보장 = 376
제3부 경로활동의 조정과 통제
제11장 유통경로내 힘의 원천과 행사
1. 힘의 개념 = 385
(1) Dahl의 정의 = 386
(2) Emerson의 정의 = 386
2. 힘의 원천과 효과 = 389
(1) 힘의 원천에 대한 정의와 유형 = 389
(2) 힘의 원천에 대한 심리적 반응과정 = 393
(3) 힘의 원천의 효과 = 395
3. 힘의 측정 = 397
(1) 마케팅전략에 대한 통제로서의 힘 = 397
(2) 의존의 함수로서의 힘 = 397
(3) 힘의 원천의 함수로서의 힘 = 398
(4) 의존과 힘의 원천의 함수로서의 힘 = 398
4. 영향력 행사전략 = 399
5. 경로리더십 = 403
(1) 경로리더십 모형 = 404
(2) 경로구성원별 리더십 = 408
제12장 유통경로내 갈등관리
1. 경로갈등모형 = 423
(1) 경로갈등의 전개과정: 과정모형 = 424
(2) 갈등발생의 구조: 구조모형 = 429
(3) 인센티브 구조 = 431
2. 경로갈등의 원인 = 433
(1) 목표의 불일치 = 434
(2) 현실인식에서의 차이 = 435
(3) 영역불일치 = 438
3. 경로갈등에 대한 경로구성원들의 반응 = 439
(1) 힘의 행사 = 440
(2) 내부조직의 변화 = 441
4. 경로갈등의 효과 = 443
(1) 갈등의 역기능 = 443
(2) 갈등의 순기능 = 444
(3) 경로갈등과 성과와의 관계 = 445
5. 경로갈등 해결메커니즘 = 448
(1) 갈등 해결메커니즘의 유형 = 448
(2) 갈등해결방법의 선택 = 452
6. 경로갈등의 진단과 측정 = 454
(1) 경로갈등의 진단 = 454
(2) 경로갈등의 측정 = 456
제13장 경로협력을 위한 메커니즘
1.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변화추세 = 463
2. 장기협력관계의 의의와 필요성 = 466
(1) 장기협력관계의 의의 = 466
(2) 장기협력관계의 필요성 = 469
(3) 장기협력관계의 문제점 = 471
3. 장기협력관계의 결정요인 = 473
(1) 관계규범 = 474
(2) 거래윤리 = 475
(3) 신뢰 = 480
(4) 몰입 = 488
(5) 힘의 균형화 = 490
4. 경로이탈 = 492
(1) 경로이탈의 개념 = 493
(2) 경로이탈이론 = 493
(3) 경로이탈의 결정단계 = 495
제14장 유통경로내 전략고객관리
1. 전략고객관리의 의의와 이점 = 507
(1) 전략고객관리의 의의 = 507
(2) 전략고객관리의 이점 = 510
2. 전략고객관리의 근본 차원 = 511
3. 전략고객관리의 내용 = 513
(1) 전략고객의 선정 = 513
(2) 구매과정의 분석 = 515
(3)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발전 = 516
(4) 판매 조정 = 517
4. 전략고객관리의 성공요건 = 520
(1) 사업관점에서의 전략고객관리의 정의 = 520
(2) 조직정렬 = 521
(3) 전략고객의 선정 = 523
(4) 인적자원의 확보 = 525
(5) 기업고객과의 관계형성 = 529
(6) 전략고객가치의 계량화 = 530
(7) 기술해법의 개발 = 532
5. 글로벌 고객관리=534
(1) 전략적 이슈 - 글로벌 고객의 선정과 관계설정 = 536
(2) 실행 이슈 - 적절한 시스템과 인력의 활용 = 540
제15장 경로성과의 평가
1. 경로성과의 거시적 평가 = 547
(1) 효과성 = 547
(2) 형평성 = 549
(3) 효율성 = 549
2. 경로성과의 미시적 평가 = 550
(1) 경로구성원의 재무성과 평가 = 550
(2) 경로구성원의 공헌도 평가 = 555
3. 경로대안의 평가 = 560
(1) 경로기능감사 = 560
(2) 서비스품질 감사 = 562
(3) 경로환경, 구조, 정책감사 = 567
(4) 유통비용분석 = 567
4. 경로성과의 정성적 척도와 정량적 척도 = 573
제16장 유통경로정책의 법적 제약요인
1. 시장커버리지정책 = 583
2. 고객커버리지정책 = 588
3. 가격정책 = 590
(1) 가격유지 = 590
(2) 가격차별 = 594
4. 제품라인정책 = 599
(1) 배타적 거래 = 599
(2) 끼워팔기 = 600
(3) 풀라인 강제 = 601
(4) 지정제품 정책 = 602
5. 선정 및 해지정책 = 602
6. 소유정책 = 603
(1) 합병에 의한 수직적 통합 = 604
(2) 내부확장에 의한 수직적 통합 = 604
(3) 복수경로유통 = 604
국문색인 = 607
영문색인 = 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