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v
제1부 외교정책의 이론
제1장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 3
1. 서론 = 3
2. 국가이익과 외교정책 = 5
1) 국가이익의 개념 = 6
2) 국가이익 개념의 학문적 유용성과 국제정치학 = 7
3) 국가이익과 국제정치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상호관계 = 10
3. 외교정책 결정과 국제정치 = 13
1) 국제정치이론은 외교정책이론이 아니다? = 13
2)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관계 = 15
4. 국제정치학의 외교정책 설명 = 18
1) 외교정책의 공격성향에 대한 이론적 설명 = 19
2) 무역과 환율정책에 대한 이론적 설명 = 23
5. 국제정치학이론과 외교정책 사안 = 29
1) 한국전쟁 평화조약의 필요성 = 29
2) 포용정책의 이론적 내용 = 31
3) 다자주의 외교의 효율성 = 35
6. 결론: 외교정책 분석에 대한 국제정치이론의 공헌 가능성 = 37
토의주제 = 39
참고문헌 = 39
제2장 외교정책 결정 요인 = 43
1. 서론: 외교정책 결정 요인이란? = 43
2. 외교정책 결정 요인 분류방법: 분석수준의 문제 = 45
3. 분석수준에 따른 외교정책 결정 요인의 분류 = 50
1) 국제체제 수준의 결정 요인 = 50
2) 국가ㆍ사회 수준의 결정 요인 = 56
4. 정책결정 집단 수준의 결정 요인 = 63
1) 제도와 조직 = 64
2) 관료정치 = 66
3) 집단사고 = 67
5. 정책결정자 수준의 결정 요인 = 70
1) 개인특성 = 71
2) 인지 = 74
6. 결론: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외교정책 = 76
1)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정책 결정 과정 = 76
2) 외교정책 결정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 78
3)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외교정책 행위자 = 80
토의주제 = 83
참고문헌 = 84
제3장 외교정책 결정체계와 이론 = 87
1. 서론 = 87
2. 외교정책결정과정이론: 좁은 의미의 외교정책이론 = 92
1) 합리적 단일행위자를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92
2) 제한된 합리성을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94
3) 조직행동이론 = 99
4) 정부정치를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101
5) 이상의 이론들을 위한 표준 질문들 = 104
3. 21세기 세계화, 민주화, 정보화 시대의 외교정책 = 105
1) 외교정책 환경의 변화 = 105
2) 외교정책이론의 변화 = 111
4. 양면 게임이론과 외교정책의 변환 = 113
1) 양면 게임으로서의 외교정책 = 113
2) 변환외교의 출현과 외교정책의 미래 = 118
5. 결론 = 122
토의주제 = 124
참고문헌 = 125
제2부 외교정책의 주요 영역과 이슈
제4장 외교정책과 안보 = 129
1. 서론 = 129
2. 안보개념의 지속성과 변화 = 131
1) 생존을 위한 경쟁 = 131
2) 공존을 위한 협력 = 137
3. 안보이론과 안보정책 = 143
1) 전쟁과 평화 = 143
2) 민주주의와 국제규범 = 151
4. 한국 안보정책의 과제 = 156
5. 결론 = 159
토의주제 = 160
참고문헌 = 161
제5장 외교정책과 경제 = 167
1. 서론: 국제정치경제적 관계에 대하여 = 167
2. 전후 국제정치경제적 관계의 변화 = 168
3. 국제경제관계와 외교적 시각 = 173
4. 국제경제관계와 외교적 이슈 = 182
5. 결론: 바람직한 국제정치경제적 관계를 위하여 = 197
토의주제 = 198
참고문헌 = 199
제6장 외교정책과 국제기구 = 203
1. 서론 = 203
2. 다자외교정책과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고찰 = 206
1) 다자외교정책의 개념과 특성 = 206
2)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토대 = 209
3. 유엔외교의 발전과정 = 217
1) 유엔의 역할과 적실성 = 217
2) 유엔과 미국의 관계 = 221
3) 동북아국가들의 대(對)유엔외교 = 225
4. 지역기구와 지역통합 = 233
1) 유럽과 지역협력기구 = 234
2) 동북아시아와 지역협력기구 = 236
3) 아프리카와 지역협력기구 = 238
4) 지역통합을 위한 지역기구의 역할 = 239
5. 결론 = 242
토의주제 = 246
참고문헌 = 248
제7장 외교정책과 국내정치 = 253
1. 서론 = 253
2. 외교정책론과 국내정치 요인: 역사적 조망 = 255
1) 현실주의 패러다임에서의 국내정치 = 256
2) 외교정책론의 등장과 국내정치 요인 = 259
3. 국내정치 요인에 관한 대표적 이론들 = 262
1) 정부형태와 외교정책 = 263
2) 관료정치 모델 = 272
3) 여론 = 277
4) 국내적 불안정과 대외적 무력사용 = 283
5)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연계 = 288
4. 외교정책결정의 국내정치 요인과 한국외교정책 = 297
5. 결론 = 300
토의주제 = 302
참고문헌 = 303
제3부 국가 및 지역별 외교정책
제8장 한국의 외교정책 = 309
1. 서론 = 309
2. 한국의 외교정책 환경 = 310
1) 강대국들로 둘러싸인 한반도 = 311
2) 무한경쟁의 국제질서 = 313
3) 미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 314
4) 긴장과 대립이 잠재된 동북아 안보 정세 = 317
5) 남북관계 = 325
3. 한국 외교정책의 목표와 과제 = 326
1) 한국 외교정책의 목표 = 326
2) 한국 외교정책의 과제 = 329
4. 21세기 한국의 외교정책과 동북아 관계 = 336
5. 결론 = 339
토의주제 = 343
참고문헌 = 344
제9장 북한의 외교정책 = 345
1. 서론 = 345
2. 북한 외교정책 변화의 환경적 요인 = 347
1) 국제적 환경 = 347
2) 국내적 환경 = 349
3. 북한 외교정책의 목표와 성격 = 353
1) 북한외교정책의 이념과 기조 = 354
2) 북한 외교정책의 이중성 = 356
4. 북한 외교정책의 변천 = 359
1) 정권수립, 한국전쟁과 휴전: 체제공고화와 진영외교의 강화 = 359
2) 중소분쟁에 대응한 자주외교와 중립국외교 강화 = 362
3) 세계적 데탕트와 대서방 관계개선 외교 모색 = 365
4) 탈냉전에 따른 외교활로 모색 : 개방과 핵외교 = 368
5. 21세기 북한 외교정책의 쟁점과 과제: 이중성의 지속과 변화 = 373
1) 실용적 외교: 개방ㆍ개혁을 기반으로 한 전방위 외교 = 374
2) 벼랑끝 외교: 체제보장을 위한 강경정책의 모색 = 378
3) 평가 = 386
6. 결론 = 388
토의주제 = 391
참고문헌 = 392
제10장 미국의 외교정책 = 395
1. 서론 = 395
2. 외교정책환경 = 398
1) 대통령 = 400
2) 관료기구 = 403
3) 의회의 견제와 도전 = 407
4) 이익집단과 여론 = 412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419
1) 미국예외주의 = 421
2)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 424
3) 고립주의와 국제주의 = 428
4. 21세기 미국외교정책과 한국 = 433
1) 9ㆍ11의 충격과 대테러전쟁 = 434
2) 21세기 미국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정책 = 442
5. 결론 = 448
토의주제 = 451
참고문헌 = 452
제11장 일본의 외교정책 = 457
1. 서론 = 457
2. 외교정책 환경 = 459
1) 국내외적 환경 = 459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 463
3) 외교정책 결정과정 = 469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472
1) 이론적 고찰 = 472
2) 냉전기 경제중심주의 노선의 추구 = 478
3) 냉전 이후 국제적 역할 확대의 모색 = 485
4. 21세기 일본 외교정책과 한국 = 493
1)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전환과 한일 관계 = 493
2) 21세기 일본 외교정책과 한반도ㆍ동아시아 질서에의 함의 = 497
5. 결론 = 499
토의주제 = 500
참고문헌 = 501
추천문헌 = 508
제12장 중국의 외교정책 = 511
1. 서론 = 511
2. 외교정책 환경 = 514
1) 국내적 환경 = 514
2) 국제적 환경 = 529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540
4.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국 = 553
토의주제 = 558
참고문헌 = 558
추천문헌 = 563
제13장 러시아의 외교정책 = 565
1. 서론 = 565
2. 러시아의 외교의 역사적 유산과 환경 = 567
1) 역사적 유산 = 567
2) 러시아 위기와 정체성 논쟁 = 573
3) 러시아 국내정치와 외교정책의 지향성 변화 = 576
3. 러시아 외교의 지전략적 목표와 전개 = 581
1) 러시아 지전략의 대안들 = 581
2) 러시아의 지전략적 이해와 러시아 외교의 전개 = 587
4. 21세기 러시아의 외교와 한반도 = 598
1) 러시아의 동북아시아 정책 = 598
2)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 601
5. 결론 = 604
토의주제 = 608
참고문헌 = 609
제14장 EU의 외교정책 = 613
1. 서론 = 613
2. 외교정책 주체로서의 EU = 616
1) EU의 발전과정 = 617
2) EU와 국제기구와의 차별성과 국가성 = 618
3. 국제환경의 변화와 EU 외교정책의 발전 = 622
1) EU외교정책의 태동기: 초창기 외교안보협력의 실패와 유럽정치협력의 등장 = 622
2) EU 외교정책의 성장기: 냉전의 종식과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도입 = 626
3) EU의 독자적 안보역량 구축: 쌩 말로 선언과 쾰른 정상회담 = 633
4. 21세기 EU의 외교정책과 한반도 = 639
1) 한-EU 협력관계의 발전 = 639
2) EU의 대 북한정책 = 642
5. 결론: EU 외교정책의 정체성 = 645
토의주제 = 647
참고문헌 = 647
제15장 ASIAN의 외교정책 = 651
1. 서론 = 651
2. ASEAN 외교정책의 변천 = 654
1) 1967년 설립 이후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까지의 아세안 = 654
2) 1997년 경제위기 이후 현재까지의 아세안 = 667
3. ASEAN 외교정책의 특징과 방향 = 675
1) 아세안 조직과 운영의 특징 = 675
2) 아세안 공동체 달성을 향한 노력 = 680
4. 21세기 ASEAN과 한국의 외교 = 685
5. 결론 = 690
토의주제 = 693
참고문헌 = 693
추천사이트 = 695
집필진 소개 = 697
서문 = v
제1부 외교정책의 이론
제1장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 3
1. 서론 = 3
2. 국가이익과 외교정책 = 5
1) 국가이익의 개념 = 6
2) 국가이익 개념의 학문적 유용성과 국제정치학 = 7
3) 국가이익과 국제정치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상호관계 = 10
3. 외교정책 결정과 국제정치 = 13
1) 국제정치이론은 외교정책이론이 아니다? = 13
2)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관계 = 15
4. 국제정치학의 외교정책 설명 = 18
1) 외교정책의 공격성향에 대한 이론적 설명 = 19
2) 무역과 환율정책에 대한 이론적 설명 = 23
5. 국제정치학이론과 외교정책 사안 = 29
1) 한국전쟁 평화조약의 필요성 = 29
2) 포용정책의 이론적 내용 = 31
3) 다자주의 외교의 효율성 = 35
6. 결론: 외교정책 분석에 대한 국제정치이론의 공헌 가능성 = 37
토의주제 = 39
참고문헌 = 39
제2장 외교정책 결정 요인 = 43
1. 서론: 외교정책 결정 요인이란? = 43
2. 외교정책 결정 요인 분류방법: 분석수준의 문제 = 45
3. 분석수준에 따른 외교정책 결정 요인의 분류 = 50
1) 국제체제 수준의 결정 요인 = 50
2) 국가ㆍ사회 수준의 결정 요인 = 56
4. 정책결정 집단 수준의 결정 요인 = 63
1) 제도와 조직 = 64
2) 관료정치 = 66
3) 집단사고 = 67
5. 정책결정자 수준의 결정 요인 = 70
1) 개인특성 = 71
2) 인지 = 74
6. 결론: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외교정책 = 76
1)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정책 결정 과정 = 76
2) 외교정책 결정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 78
3) 외교정책 결정 요인과 외교정책 행위자 = 80
토의주제 = 83
참고문헌 = 84
제3장 외교정책 결정체계와 이론 = 87
1. 서론 = 87
2. 외교정책결정과정이론: 좁은 의미의 외교정책이론 = 92
1) 합리적 단일행위자를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92
2) 제한된 합리성을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94
3) 조직행동이론 = 99
4) 정부정치를 가정한 외교정책이론 = 101
5) 이상의 이론들을 위한 표준 질문들 = 104
3. 21세기 세계화, 민주화, 정보화 시대의 외교정책 = 105
1) 외교정책 환경의 변화 = 105
2) 외교정책이론의 변화 = 111
4. 양면 게임이론과 외교정책의 변환 = 113
1) 양면 게임으로서의 외교정책 = 113
2) 변환외교의 출현과 외교정책의 미래 = 118
5. 결론 = 122
토의주제 = 124
참고문헌 = 125
제2부 외교정책의 주요 영역과 이슈
제4장 외교정책과 안보 = 129
1. 서론 = 129
2. 안보개념의 지속성과 변화 = 131
1) 생존을 위한 경쟁 = 131
2) 공존을 위한 협력 = 137
3. 안보이론과 안보정책 = 143
1) 전쟁과 평화 = 143
2) 민주주의와 국제규범 = 151
4. 한국 안보정책의 과제 = 156
5. 결론 = 159
토의주제 = 160
참고문헌 = 161
제5장 외교정책과 경제 = 167
1. 서론: 국제정치경제적 관계에 대하여 = 167
2. 전후 국제정치경제적 관계의 변화 = 168
3. 국제경제관계와 외교적 시각 = 173
4. 국제경제관계와 외교적 이슈 = 182
5. 결론: 바람직한 국제정치경제적 관계를 위하여 = 197
토의주제 = 198
참고문헌 = 199
제6장 외교정책과 국제기구 = 203
1. 서론 = 203
2. 다자외교정책과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고찰 = 206
1) 다자외교정책의 개념과 특성 = 206
2)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토대 = 209
3. 유엔외교의 발전과정 = 217
1) 유엔의 역할과 적실성 = 217
2) 유엔과 미국의 관계 = 221
3) 동북아국가들의 대(對)유엔외교 = 225
4. 지역기구와 지역통합 = 233
1) 유럽과 지역협력기구 = 234
2) 동북아시아와 지역협력기구 = 236
3) 아프리카와 지역협력기구 = 238
4) 지역통합을 위한 지역기구의 역할 = 239
5. 결론 = 242
토의주제 = 246
참고문헌 = 248
제7장 외교정책과 국내정치 = 253
1. 서론 = 253
2. 외교정책론과 국내정치 요인: 역사적 조망 = 255
1) 현실주의 패러다임에서의 국내정치 = 256
2) 외교정책론의 등장과 국내정치 요인 = 259
3. 국내정치 요인에 관한 대표적 이론들 = 262
1) 정부형태와 외교정책 = 263
2) 관료정치 모델 = 272
3) 여론 = 277
4) 국내적 불안정과 대외적 무력사용 = 283
5)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연계 = 288
4. 외교정책결정의 국내정치 요인과 한국외교정책 = 297
5. 결론 = 300
토의주제 = 302
참고문헌 = 303
제3부 국가 및 지역별 외교정책
제8장 한국의 외교정책 = 309
1. 서론 = 309
2. 한국의 외교정책 환경 = 310
1) 강대국들로 둘러싸인 한반도 = 311
2) 무한경쟁의 국제질서 = 313
3) 미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 314
4) 긴장과 대립이 잠재된 동북아 안보 정세 = 317
5) 남북관계 = 325
3. 한국 외교정책의 목표와 과제 = 326
1) 한국 외교정책의 목표 = 326
2) 한국 외교정책의 과제 = 329
4. 21세기 한국의 외교정책과 동북아 관계 = 336
5. 결론 = 339
토의주제 = 343
참고문헌 = 344
제9장 북한의 외교정책 = 345
1. 서론 = 345
2. 북한 외교정책 변화의 환경적 요인 = 347
1) 국제적 환경 = 347
2) 국내적 환경 = 349
3. 북한 외교정책의 목표와 성격 = 353
1) 북한외교정책의 이념과 기조 = 354
2) 북한 외교정책의 이중성 = 356
4. 북한 외교정책의 변천 = 359
1) 정권수립, 한국전쟁과 휴전: 체제공고화와 진영외교의 강화 = 359
2) 중소분쟁에 대응한 자주외교와 중립국외교 강화 = 362
3) 세계적 데탕트와 대서방 관계개선 외교 모색 = 365
4) 탈냉전에 따른 외교활로 모색 : 개방과 핵외교 = 368
5. 21세기 북한 외교정책의 쟁점과 과제: 이중성의 지속과 변화 = 373
1) 실용적 외교: 개방ㆍ개혁을 기반으로 한 전방위 외교 = 374
2) 벼랑끝 외교: 체제보장을 위한 강경정책의 모색 = 378
3) 평가 = 386
6. 결론 = 388
토의주제 = 391
참고문헌 = 392
제10장 미국의 외교정책 = 395
1. 서론 = 395
2. 외교정책환경 = 398
1) 대통령 = 400
2) 관료기구 = 403
3) 의회의 견제와 도전 = 407
4) 이익집단과 여론 = 412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419
1) 미국예외주의 = 421
2)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 424
3) 고립주의와 국제주의 = 428
4. 21세기 미국외교정책과 한국 = 433
1) 9ㆍ11의 충격과 대테러전쟁 = 434
2) 21세기 미국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정책 = 442
5. 결론 = 448
토의주제 = 451
참고문헌 = 452
제11장 일본의 외교정책 = 457
1. 서론 = 457
2. 외교정책 환경 = 459
1) 국내외적 환경 = 459
2) 외교정책 결정의 주요 행위자 = 463
3) 외교정책 결정과정 = 469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472
1) 이론적 고찰 = 472
2) 냉전기 경제중심주의 노선의 추구 = 478
3) 냉전 이후 국제적 역할 확대의 모색 = 485
4. 21세기 일본 외교정책과 한국 = 493
1)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전환과 한일 관계 = 493
2) 21세기 일본 외교정책과 한반도ㆍ동아시아 질서에의 함의 = 497
5. 결론 = 499
토의주제 = 500
참고문헌 = 501
추천문헌 = 508
제12장 중국의 외교정책 = 511
1. 서론 = 511
2. 외교정책 환경 = 514
1) 국내적 환경 = 514
2) 국제적 환경 = 529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 540
4.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국 = 553
토의주제 = 558
참고문헌 = 558
추천문헌 = 563
제13장 러시아의 외교정책 = 565
1. 서론 = 565
2. 러시아의 외교의 역사적 유산과 환경 = 567
1) 역사적 유산 = 567
2) 러시아 위기와 정체성 논쟁 = 573
3) 러시아 국내정치와 외교정책의 지향성 변화 = 576
3. 러시아 외교의 지전략적 목표와 전개 = 581
1) 러시아 지전략의 대안들 = 581
2) 러시아의 지전략적 이해와 러시아 외교의 전개 = 587
4. 21세기 러시아의 외교와 한반도 = 598
1) 러시아의 동북아시아 정책 = 598
2)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 601
5. 결론 = 604
토의주제 = 608
참고문헌 = 609
제14장 EU의 외교정책 = 613
1. 서론 = 613
2. 외교정책 주체로서의 EU = 616
1) EU의 발전과정 = 617
2) EU와 국제기구와의 차별성과 국가성 = 618
3. 국제환경의 변화와 EU 외교정책의 발전 = 622
1) EU외교정책의 태동기: 초창기 외교안보협력의 실패와 유럽정치협력의 등장 = 622
2) EU 외교정책의 성장기: 냉전의 종식과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도입 = 626
3) EU의 독자적 안보역량 구축: 쌩 말로 선언과 쾰른 정상회담 = 633
4. 21세기 EU의 외교정책과 한반도 = 639
1) 한-EU 협력관계의 발전 = 639
2) EU의 대 북한정책 = 642
5. 결론: EU 외교정책의 정체성 = 645
토의주제 = 647
참고문헌 = 647
제15장 ASIAN의 외교정책 = 651
1. 서론 = 651
2. ASEAN 외교정책의 변천 = 654
1) 1967년 설립 이후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까지의 아세안 = 654
2) 1997년 경제위기 이후 현재까지의 아세안 = 667
3. ASEAN 외교정책의 특징과 방향 = 675
1) 아세안 조직과 운영의 특징 = 675
2) 아세안 공동체 달성을 향한 노력 = 680
4. 21세기 ASEAN과 한국의 외교 = 685
5. 결론 = 690
토의주제 = 693
참고문헌 = 693
추천사이트 = 695
집필진 소개 =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