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부 학습
제1장 학습이란 무엇인가 = 15
학습은 행동상의 변화로 나타나야 하는가 = 17
학습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가 = 22
학습과 생존 = 25
학습에 대해 연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27
제2장 학습에 대한 연구방법 = 31
학습에 대한 체계적 연구 = 32
학습 실험 = 37
모델의 활용 = 42
실험실 실험법과 자연관찰법 = 43
과학의 변화에 대한 Kuhn의 견해 = 44
과학에 대한 Popper의 견해 = 46
제3장 초기 학습이론 = 51
인식론과 학습이론 = 51
플라톤 = 53
아리스토텔레스 = 55
현대 심리학의 출발 = 58
학습이론에 영향을 미친 그 밖의 역사적 영향 = 63
심리학의 초기 학파 = 68
요약과 개관 = 75
제2부 주요 기능주의적 이론
제4장 에드워드 리 손다이크(Edward Lee Thorndike) = 83
Thorndike 이전의 동물 연구 = 85
주요 이론적 개념 = 87
1930년 이전의 Thorndike = 92
1930년 이전의 이차적 개념 = 95
1930년 이후의 Thorndike = 101
과학과 인간의 가치 = 105
Thorndike의 교육론 = 106
Thorndike 이론의 평가 = 109
제5장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 113
주요 이론적 개념 = 116
강화의 상대성 = 156
유기체의 비행 = 161
Skinner의 교육론 = 166
Skinner의 유산: PSI, CBI 및 온라인 학습 = 168
Skinner 이론의 평가 = 176
제6장 클라크 레너드 헐(Clark Leonard Hull) = 181
이론화에 대한 Hull의 접근 = 183
주요 이론적 개념 = 184
Hull의 1943년 이론과 1952년 이론의 주된 차이점 = 192
Hull의 교육론 = 202
Hull 이론의 평가 = 203
O. Hobart Mowrer = 206
Kenneth W. Spence = 210
Abram Amsel = 217
Neal E. Miller, 내장 조건화와 바이오피드백 = 222
제3부 주요 연합주의적 이론
제7장 이반 페드로비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 231
경험적 관찰 = 235
주요 이론적 개념 = 242
고전적 조건화와 도구적 조건화의 비교 = 248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최근의 연구 = 250
학습된 무력감 = 261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기타 이론적 설명 = 264
학습된 부적절성, 잠재적 제지 및 상위 조건화 = 266
조건화된 미각 혐오: Garcia 효과 = 269
어린 앨버트를 대상으로 한 John B. Watson의 실험 = 272
고전적 조건화의 임상심리학에의 추가적 적용 = 275
고전적 조건화의 의학에의 적용 = 279
Pavlov의 교육론 = 280
Pavlov 이론의 평가 = 281
제8장 에드윈 레이 거스리(Edwin Ray Guthrie) = 285
주요 이론적 개념 = 286
습관을 깨는 방법 = 296
Guthrie 이론에 대한 Voeks의 공식화 = 307
Guthrie의 교육론 = 309
Guthrie 이론의 평가 = 311
제9장 윌리엄 케이 에스테스(William Kaye Estes) = 315
주요 이론적 개념 = 316
Estes의 Markov 학습모델 = 325
Estes와 인지심리학 = 330
학습에 대한 학습 = 339
수학적 학습모델의 현 상태 = 342
Estes 이론의 평가 = 343
제4부 주요 인지적 이론
제10장 형태주의 이론 = 351
주의설,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에 대한 반대 = 353
주요 이론적 개념 = 355
뇌와 의식적 경험 = 357
주관적 현실과 객관적 현실 = 361
형태주의 학습 원리 = 362
생산적 사고 = 368
기억 흔적 = 374
형태주의 심리학의 교육론 = 378
형태주의 이론의 평가 = 381
제11장 장 피아제(Jean Piaget) = 385
주요 이론적 개념 = 387
발달 단계 = 393
최적의 학습 조건 = 396
Piaget 이론은 어느 진영에 속하는가 = 398
Piaget의 교육론 = 400
Piaget 이론의 요약 = 401
Piaget 이론의 평가 = 403
제12장 에드워드 체이스 톨먼(Edward Chace Tolman) = 407
몰 단위 행동 = 409
목적적 행동주의 = 410
주요 이론적 개념 = 412
Tolman 이론의 형식적 측면 = 423
Tolman 이론에 대한 MacCorquodale과 Meehl의 공식화 = 428
여섯 종류의 학습 = 428
Tolman의 교육론 = 433
Tolman 이론의 평가 = 434
제13장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 439
관찰학습에 대한 이전 설명 = 441
관찰학습에 대한 Bandura의 설명 = 445
주요 이론적 개념 = 448
불완전한 인지과정 = 461
관찰학습의 실제적 응용 = 463
뉴스와 오락 매체의 영향 = 469
사회인지 이론 = 471
Bandura의 교육론 = 474
요약 = 476
Bandura 이론의 평가 = 478
제5부 주요 신경생리학적 이론
제14장 도널드 올딩 헵(Donald Olding Hebb) = 485
주요 이론적 개념 = 489
신경과학 연구에 미친 Hebb의 영향 = 504
신연결주의 = 525
Hebb의 교육론 = 532
요약 = 533
Hebb 이론의 평가 = 535
제6부 진화론적 이론
제15장 로버트 C. 볼스(Robert C. Bolles)와 진화심리학 = 543
Darwin 이론과 진화심리학 = 544
Bolles의 학습이론 = 547
학습의 생물학적 경계 = 551
진화심리학과 인간 행동 = 561
진화심리학의 교육론 = 576
진화심리학의 평가 = 578
제7부 앞으로의 과제
제16장 맺음말 = 585
학습이론의 현재 경향 = 586
학습에서 해결되지 않는 의문 = 589
학습과정에 대한 최종 답은 없다 = 594
참고문헌 = 597
찾아보기 = 639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부 학습
제1장 학습이란 무엇인가 = 15
학습은 행동상의 변화로 나타나야 하는가 = 17
학습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가 = 22
학습과 생존 = 25
학습에 대해 연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27
제2장 학습에 대한 연구방법 = 31
학습에 대한 체계적 연구 = 32
학습 실험 = 37
모델의 활용 = 42
실험실 실험법과 자연관찰법 = 43
과학의 변화에 대한 Kuhn의 견해 = 44
과학에 대한 Popper의 견해 = 46
제3장 초기 학습이론 = 51
인식론과 학습이론 = 51
플라톤 = 53
아리스토텔레스 = 55
현대 심리학의 출발 = 58
학습이론에 영향을 미친 그 밖의 역사적 영향 = 63
심리학의 초기 학파 = 68
요약과 개관 = 75
제2부 주요 기능주의적 이론
제4장 에드워드 리 손다이크(Edward Lee Thorndike) = 83
Thorndike 이전의 동물 연구 = 85
주요 이론적 개념 = 87
1930년 이전의 Thorndike = 92
1930년 이전의 이차적 개념 = 95
1930년 이후의 Thorndike = 101
과학과 인간의 가치 = 105
Thorndike의 교육론 = 106
Thorndike 이론의 평가 = 109
제5장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 113
주요 이론적 개념 = 116
강화의 상대성 = 156
유기체의 비행 = 161
Skinner의 교육론 = 166
Skinner의 유산: PSI, CBI 및 온라인 학습 = 168
Skinner 이론의 평가 = 176
제6장 클라크 레너드 헐(Clark Leonard Hull) = 181
이론화에 대한 Hull의 접근 = 183
주요 이론적 개념 = 184
Hull의 1943년 이론과 1952년 이론의 주된 차이점 = 192
Hull의 교육론 = 202
Hull 이론의 평가 = 203
O. Hobart Mowrer = 206
Kenneth W. Spence = 210
Abram Amsel = 217
Neal E. Miller, 내장 조건화와 바이오피드백 = 222
제3부 주요 연합주의적 이론
제7장 이반 페드로비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 231
경험적 관찰 = 235
주요 이론적 개념 = 242
고전적 조건화와 도구적 조건화의 비교 = 248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최근의 연구 = 250
학습된 무력감 = 261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기타 이론적 설명 = 264
학습된 부적절성, 잠재적 제지 및 상위 조건화 = 266
조건화된 미각 혐오: Garcia 효과 = 269
어린 앨버트를 대상으로 한 John B. Watson의 실험 = 272
고전적 조건화의 임상심리학에의 추가적 적용 = 275
고전적 조건화의 의학에의 적용 = 279
Pavlov의 교육론 = 280
Pavlov 이론의 평가 = 281
제8장 에드윈 레이 거스리(Edwin Ray Guthrie) = 285
주요 이론적 개념 = 286
습관을 깨는 방법 = 296
Guthrie 이론에 대한 Voeks의 공식화 = 307
Guthrie의 교육론 = 309
Guthrie 이론의 평가 = 311
제9장 윌리엄 케이 에스테스(William Kaye Estes) = 315
주요 이론적 개념 = 316
Estes의 Markov 학습모델 = 325
Estes와 인지심리학 = 330
학습에 대한 학습 = 339
수학적 학습모델의 현 상태 = 342
Estes 이론의 평가 = 343
제4부 주요 인지적 이론
제10장 형태주의 이론 = 351
주의설, 구성주의 및 행동주의에 대한 반대 = 353
주요 이론적 개념 = 355
뇌와 의식적 경험 = 357
주관적 현실과 객관적 현실 = 361
형태주의 학습 원리 = 362
생산적 사고 = 368
기억 흔적 = 374
형태주의 심리학의 교육론 = 378
형태주의 이론의 평가 = 381
제11장 장 피아제(Jean Piaget) = 385
주요 이론적 개념 = 387
발달 단계 = 393
최적의 학습 조건 = 396
Piaget 이론은 어느 진영에 속하는가 = 398
Piaget의 교육론 = 400
Piaget 이론의 요약 = 401
Piaget 이론의 평가 = 403
제12장 에드워드 체이스 톨먼(Edward Chace Tolman) = 407
몰 단위 행동 = 409
목적적 행동주의 = 410
주요 이론적 개념 = 412
Tolman 이론의 형식적 측면 = 423
Tolman 이론에 대한 MacCorquodale과 Meehl의 공식화 = 428
여섯 종류의 학습 = 428
Tolman의 교육론 = 433
Tolman 이론의 평가 = 434
제13장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 439
관찰학습에 대한 이전 설명 = 441
관찰학습에 대한 Bandura의 설명 = 445
주요 이론적 개념 = 448
불완전한 인지과정 = 461
관찰학습의 실제적 응용 = 463
뉴스와 오락 매체의 영향 = 469
사회인지 이론 = 471
Bandura의 교육론 = 474
요약 = 476
Bandura 이론의 평가 = 478
제5부 주요 신경생리학적 이론
제14장 도널드 올딩 헵(Donald Olding Hebb) = 485
주요 이론적 개념 = 489
신경과학 연구에 미친 Hebb의 영향 = 504
신연결주의 = 525
Hebb의 교육론 = 532
요약 = 533
Hebb 이론의 평가 = 535
제6부 진화론적 이론
제15장 로버트 C. 볼스(Robert C. Bolles)와 진화심리학 = 543
Darwin 이론과 진화심리학 = 544
Bolles의 학습이론 = 547
학습의 생물학적 경계 = 551
진화심리학과 인간 행동 = 561
진화심리학의 교육론 = 576
진화심리학의 평가 = 578
제7부 앞으로의 과제
제16장 맺음말 = 585
학습이론의 현재 경향 = 586
학습에서 해결되지 않는 의문 = 589
학습과정에 대한 최종 답은 없다 = 594
참고문헌 = 597
찾아보기 = 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