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언어, 문화와 번역
01 언어, 문화와 번역의 관계 = 3
1. 언어, 문화와 번역의 고찰 = 3
1.1 언어, 문화와 번역 = 3
1.1.1 언어 = 3
1.1.2 문화 = 4
1.1.3 언어와 문화 간의 관계 = 7
1.1.4 문화와 번역 = 8
1.2 번역과 세계화 = 10
1.2.1 번역의 이해 = 10
1.2.2 세계화의 의미와 성과 = 11
2. 번역가는 누구인가 = 14
2.1 번역가의 자격과 조건 = 14
2.2 번역가의 임무와 역할 = 16
2.3 번역가의 직업윤리 = 18
2.3.1 책임과 의무 = 18
2.3.2 권리 = 20
2.3.3 위상 = 21
2.4 번역가 헌장 소개 = 23
3. 통번역 약사(略史) = 24
3.1 서양의 번역사 = 25
3.2 동양의 번역사 = 29
3.3 성경 번역사 = 36
02 번역의 이론 = 43
1. 번역작업의 핵심 = 43
1.1 번역의 목적 = 43
1.2 번역물의 내용 = 45
1.2.1 번역 등가 = 46
1.2.2 등가 개념의 분류 = 50
1.2.3 충실성 = 56
1.2.4 내용의 일치 = 58
1.3 번역의 불가능성 = 60
1.3.1 번역의 문제 = 60
1.3.2 발생 원인 = 61
1.3.3 등가어 부재시의 번역 = 62
1.4 번역에서의 손실과 이득 = 63
1.4.1 믿음과 표상적인 언어 간의 차이 = 63
1.4.2 두 언어 간의 차이 = 64
1.4.3 전이와 변환 = 66
1.4.4 번역가의 개입 = 67
2. 번역 과정 = 69
2.1 고려사항 = 69
2.1.1 상황의 구상화 = 69
2.1.2 맥락과 시대적 요인 = 70
2.1.3 기본 목적의 충족 = 71
2.2 배경지식과 문화 중심적인 번역 = 71
2.2.1 재창조 과정 = 71
2.2.2 문화적 차이의 이해 = 72
2.2.3 번역가의 지식과 기술 = 73
2.2.4 전문성(專門性) = 74
2.3 의사 결정(Decision-making) = 75
2.3.1 번역의 직업적인 상황 = 75
2.3.2 의사결정의 경우 = 76
2.3.3 의사 결정과 표준 = 77
2.4 상황 문맥의 처리 = 78
2.4.1 번역과 문맥 = 78
2.4.2 상황 문맥의 주요 인자 = 79
2.5 번역 과정의 구분 = 80
2.5.1 번역 과정 개관 = 80
2.5.2 선형적 하위단위 구분 = 81
2.6 번역의 단계 = 82
2.6.1 이해의 단계와 읽기 = 83
2.6.2 표현의 단계와 쓰기 = 87
3. 번역의 이론 = 89
3.1 개요 = 89
3.2 번역과 번역학 연구 = 90
3.2.1 번역이란 무엇인가? = 91
3.2.2 번역과 번역학의 관계 = 97
3.2.3 번역학의 분류 = 101
3.3 제 이론의 고찰 = 105
3.3.1 역어 텍스트의 기능을 고려한 구분 = 106
3.3.2 해석적 이론과 대응식 이론 = 109
3.3.3 변환법(變換法)과 구상법(具象法)의 이해 = 115
03 번역방법과 번역텍스트 = 119
1. 번역의 종류 = 119
1.1 번역의 대상에 의한 분류 = 119
1.2 번역 기법에 의한 분류 = 119
1.2.1 책 번역 = 119
1.2.2 예술 번역 = 120
1.2.3 영상 번역 = 120
1.2.4 기계 번역 = 121
2. 번역 방법의 고찰 = 122
2.1 개요 = 122
2.2 번역 방법 = 123
2.2.1 행간번역(Interlinear Translation) = 123
2.2.2 직역(直譯)/축자역(Literal Translation) = 124
2.2.3 의역(意譯: Free Translation) = 127
2.2.4 번안 또는 개작(Adaptation) = 129
2.2.5 변환/전환(變換/轉換: Shifts/Transpositions) = 131
2.2.6 완전 번역 = 133
2.2.7 삭제(Deletion) 또는 생략(Ellipsis) = 134
2.2.8 역번역(Back-translation) = 136
2.2.9 기계번역(자동번역) = 136
3. 번역 텍스트 = 139
3.1 개요 = 139
3.2 번역 단위로써의 텍스트 = 140
3.2.1 텍스트와 번역 단위 = 140
3.2.2 텍스트의 구성 = 141
3.2.3 텍스트의 임무와 의사소통 기능 = 142
3.3 텍스트성 기준 = 143
3.3.1 결속구조(結束構造 cohesion) = 146
3.3.2 결속성(結束性 coherence) = 147
3.3.3 의도성(意圖性 intentionality) = 149
3.3.4 용인성(容認性 acceptability) = 149
3.3.5 정보성(情報性 informativity) = 150
3.3.6 상황성(狀況性 situationality) = 153
3.3.7 상호(相互) 텍스트성(intertextuality) = 155
3.4 번역 텍스트의 기타 고려사항 = 157
3.4.1 번역 텍스트의 관계와 특징 = 158
3.4.2 번역 텍스트와 언어 사용역 = 162
3.4.3 텍스트 유형 분류 = 164
제2부 번역의 준칙과 번역기법
01 번역의 전략과 번역기법 = 169
1. 번역의 일반적 준칙 = 169
1.1 번역시 고려사항 = 169
1.1.1 번역의 목적과 번역전략 = 170
1.1.2 해석과 번역 = 171
1.1.3 텍스트별 번역전략 = 173
1.1.4 문학번역과 기술번역의 차이 = 174
1.2 번역자를 위한 비망록 = 176
1.2.1 작품 번역과 번역가의 구비 조건 = 176
1.2.2 번역의 경험적 제언 = 178
1.2.3 이상적인 번역전략 = 181
2. 텍스트별 번역전략과 번역기법 = 182
2.1 전문서적의 번역 = 182
2.1.1 법률 텍스트의 번역 = 182
2.1.2 과학 텍스트의 번역 = 183
2.2 문학작품 번역 = 185
2.2.1 텍스트별 번역전략 = 185
2.2.2 번역 사례 = 188
2.3 미디어 번역 = 195
2.3.1 신문과 잡지의 번역전략 = 196
2.3.2 영화 번역전략 = 200
3. 기타 번역 기법의 소개 = 203
3.1 창조적 번역과 초월적 번역 = 203
3.2 순차번역 기법 = 204
3.3 범주화 체계차이와 어휘 간극의 중개 = 205
3.3.1 법주화 수준의 분류 = 206
3.3.2 범주 전환(category shift) = 207
3.4 청중설계와 프레임 기반 접근법 = 207
3.4.1 프레임(frames) = 208
3.4.2 번역 사례(case study) = 209
3.5 문화와 밀접한 상관어의 번역 = 211
3.5.1 정의 및 번역전략 = 211
3.5.2 번역 사례(case study) = 212
3.6 통번역에서의 제유와 환유 = 214
3.6.1 제유법의 설명 = 215
3.6.2 환유법의 방식 = 216
3.7 색채어 번역 = 217
3.8 의미 선명화와 번역문의 잉여성 = 218
3.9 주석의 사용 = 219
02 영어와 한국어간의 번역 = 221
1. 영어와 한국어간의 차이 = 221
1.1 일반 사항 = 221
1.2 상이한 어순과 격 표지 = 222
1.2.1 기본 어순의 차이 = 223
1.2.2 격-표지(case-marking) = 224
1.3 양 언어간 구조의 차이에 따른 번역 = 225
1.3.1 명사중심적 영어와 동사중심적 한국어 = 225
1.3.2 구문론(Syntax) 상의 차이와 번역 = 227
1.3.3 한국어와 영어의 수동구문 = 232
1.3.4 상이한 어휘와 음운 = 234
2. 영ㆍ한 간의 번역기법 = 237
2.1 인용문의 번역기법 = 237
2.1.1 인용문의 구성 = 237
2.1.2 한국어의 직접인용문 구분 = 238
2.2 대명사 '그' 사용의 한계 = 239
2.2.1 '그(the)'의 사용과 분류 = 239
2.2.2 번역 사례 = 240
2.3 강조 표현과 번역 기법 = 242
2.3.1 통사, 형태, 어순의 변화에 의한 강조 = 242
2.3.2 활자와 문장부호 및 기타에 의한 강조 = 243
2.4 은유법의 영한번역 = 244
2.4.1 정의와 기능 = 244
2.4.2 표현의 구분과 번역 기법 = 245
2.5 한국어와 영어의 번역 단어 수 = 250
2.5.1 정의와 단어수 비교 = 250
2.5.2 번역단어수의 차이 발생요인 = 251
2.6 외래어와 한국어의 영어 표기 = 255
2.6.1 개요 = 255
2.6.2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 257
03 번역의 품질관리 = 259
1. 번역 비평 = 259
1.1 개요 = 259
1.2 번역과 번역 비평과의 관계 = 260
1.3 번역 비평의 기준과 기본과정 = 261
1.3.1 번역 비평의 기준 = 261
1.3.2 번역 비평의 기본과정 = 262
1.3.3 문학번역의 평가 기준 = 263
1.4 오역(誤譯) = 266
1.4.1 오역의 유형분류 사례 = 267
1.4.2 오역의 원인과 감소방안 = 268
1.5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 271
1.5.1 좋은 번역의 정의 = 271
1.5.2 좋은 번역의 기대조건 = 272
2. 번역물 품질관리 고찰 = 273
2.1 통번역사의 자격관리 = 273
2.2 통번역사의 자격관리 제도 = 274
2.2.1 통역사 인증제도 = 274
2.2.2 국내 대학의 통번역 종합/인증제도 = 275
2.3 번역물 품질관리 소고 = 276
2.3.1 실태 = 276
2.3.2 번역물 품질관리 방안 = 276
3. 통번역사 재교육 = 282
3.1 재교육을 위한 교육 소요 = 282
3.1.1 통번역사를 위한 교육 소요 = 283
3.1.2 통번역의 실무와 이론교육과의 관계 = 286
3.2 통번역사 재교육의 방법론 = 287
3.2.1 코퍼스를 이용한 LB언어 구사능력의 제고 = 287
3.2.2 제2 언어의 번역 교육 모델 제시 활용 = 288
3.2.3 e-학습(e-learning)과 번역자 교육 = 288
3.2.4 의사결정 교육 = 290
제3부 통역의 이론
01 통역의 이론과 통역과정 = 295
1. 통번역의 전제와 통역 이론 = 295
1.1 양질의 통번역을 위한 전제 = 296
1.1.1 작은 약속과 생활 표현 = 296
1.1.2 언어 사용의 차이 = 296
1.1.3 관용어구 = 297
1.1.4 의미선정 = 297
1.2 통역의 이론 소고 = 298
1.2.1 탈언어화 = 299
1.2.2 정신적인 표상 = 300
1.3 문장 범주와 통역의 과정 = 301
1.3.1 6개의 문장 범주 = 301
1.3.2 통역의 과정 = 303
2. 통번역 방법의 선택 = 306
2.1 변환법과 구상법의 활용 = 306
2.2 전달 정보의 선택과 활용 = 307
3. 통역 방식 = 308
3.1 시간차의 정도에 따라 분류 = 308
3.1.1 동시통역과 순차통역의 차이 = 308
3.1.2 순차통역(Consecutive Interpretation) = 310
3.1.3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ation) = 315
3.2 발화자의 숫자를 기준 = 322
3.2.1 연설통역 = 322
3.2.2 대화통역 = 323
02 통역과 번역의 차이와 교육방법 = 329
1. 통역과 번역의 차이 = 329
1.1 통역과 번역을 구분하는 이유 = 331
1.2 동시통역과 번역의 차이 = 331
1.2.1 정보처리 과정의 차이 = 331
1.2.2 입력모드에서의 차이 = 332
1.2.3 즉시성과 어휘의 선택 = 332
1.2.4 형태적 완성도의 추구 = 333
1.2.5 의사 결정의 차이 = 333
1.2.6 단축형의 사용과 분할의 단위 = 334
1.3 통번역의 종류와 특성 = 334
2. 동시통역의 교육방법 = 335
2.1 동시통역의 기초연습 = 335
2.2 단계적인 학습 = 337
2.3 정보처리 훈련 = 337
2.4 예측과 포괄하기(chungking) 훈련 = 338
2.5 최소주의 문법에 의한 통역전략 = 339
03 통역오류와 평가 = 341
1. 통역오류와 대응방안 = 341
1.1 동시통역 시 난역성의 극복 방안 = 341
1.1.1 어순의 재구성과 전향식 문장구역 = 342
1.1.2 오류, 휴지의 발생과 생략 = 343
1.1.3 듣기ㆍ말하기의 동시 분리 수행 = 348
1.2 모국어 영향에 의한 통역 오류와 대응방안 = 349
1.2.1 문화적 차이로 인한 오류 = 349
1.2.2 직역에 의한 오류 = 349
1.2.3 문법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오류 = 350
2. 통역평가 = 350
2.1 통역평가란? = 350
2.2 통역등가 기준 = 351
2.3 해석이론의 다섯 가지 등가 기준 = 353
2.4 사용자에 의한 통역평가 = 353
제4부 현황분석과 제안사항
01 한국통번역의 문제점 분석 = 357
1. 한국 통번역의 현황 = 357
2. 기타 문제점 분석 = 359
2.1 통번역에서의 주요 문제점 점토 = 359
2.1.1 번역가와 작품 선정 = 359
2.1.2 번역의 평가 기준과 품질향상 = 360
2.2 교육 관련사항 = 360
2.2.1 학교 교육 = 361
2.2.2 통번역사 재교육 = 365
02 통번역 문화의 제고방안 = 367
1. 현실 인식의 중요성 = 367
2. 기타 제안 사항 = 368
2.1 한국 고전의 번역 = 368
2.2 번역학의 정립 = 369
2.2.1 학문으로써의 번역학의 체계화 = 369
2.2.2 술어 번역의 체계화 = 370
2.2.3 공동연구의 필요성 = 371
2.3 번역비평의 제도화 = 371
2.4 외국어 교육의 급진적 개혁 = 372
2.5 인터넷 기반 번역 교육의 활용 = 373
2.6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번역지원 = 373
2.6.1 전문 교육 및 감독기관의 설립 = 374
2.6.2 번역물의 종합 관리시스템 수립 = 375
2.7 기타 지원 = 375
2.7.1 외국어 사전의 제작 지원 = 375
2.7.2 풍부한 도서의 공급 = 376
결론 = 377
〈부록 1〉번역가 헌장(The Translator's Charter) = 378
〈부록 2〉영어와 한국어의 구조 차이 비교 = 387
〈부록 3(1)〉새 로마자 표기법 = 392
〈부록 3(2)〉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해설 = 398
참고문헌 = 406
찾아보기 = 430
제1부 언어, 문화와 번역
01 언어, 문화와 번역의 관계 = 3
1. 언어, 문화와 번역의 고찰 = 3
1.1 언어, 문화와 번역 = 3
1.1.1 언어 = 3
1.1.2 문화 = 4
1.1.3 언어와 문화 간의 관계 = 7
1.1.4 문화와 번역 = 8
1.2 번역과 세계화 = 10
1.2.1 번역의 이해 = 10
1.2.2 세계화의 의미와 성과 = 11
2. 번역가는 누구인가 = 14
2.1 번역가의 자격과 조건 = 14
2.2 번역가의 임무와 역할 = 16
2.3 번역가의 직업윤리 = 18
2.3.1 책임과 의무 = 18
2.3.2 권리 = 20
2.3.3 위상 = 21
2.4 번역가 헌장 소개 = 23
3. 통번역 약사(略史) = 24
3.1 서양의 번역사 = 25
3.2 동양의 번역사 = 29
3.3 성경 번역사 = 36
02 번역의 이론 = 43
1. 번역작업의 핵심 = 43
1.1 번역의 목적 = 43
1.2 번역물의 내용 = 45
1.2.1 번역 등가 = 46
1.2.2 등가 개념의 분류 = 50
1.2.3 충실성 = 56
1.2.4 내용의 일치 = 58
1.3 번역의 불가능성 = 60
1.3.1 번역의 문제 = 60
1.3.2 발생 원인 = 61
1.3.3 등가어 부재시의 번역 = 62
1.4 번역에서의 손실과 이득 = 63
1.4.1 믿음과 표상적인 언어 간의 차이 = 63
1.4.2 두 언어 간의 차이 = 64
1.4.3 전이와 변환 = 66
1.4.4 번역가의 개입 = 67
2. 번역 과정 = 69
2.1 고려사항 = 69
2.1.1 상황의 구상화 = 69
2.1.2 맥락과 시대적 요인 = 70
2.1.3 기본 목적의 충족 = 71
2.2 배경지식과 문화 중심적인 번역 = 71
2.2.1 재창조 과정 = 71
2.2.2 문화적 차이의 이해 = 72
2.2.3 번역가의 지식과 기술 = 73
2.2.4 전문성(專門性) = 74
2.3 의사 결정(Decision-making) = 75
2.3.1 번역의 직업적인 상황 = 75
2.3.2 의사결정의 경우 = 76
2.3.3 의사 결정과 표준 = 77
2.4 상황 문맥의 처리 = 78
2.4.1 번역과 문맥 = 78
2.4.2 상황 문맥의 주요 인자 = 79
2.5 번역 과정의 구분 = 80
2.5.1 번역 과정 개관 = 80
2.5.2 선형적 하위단위 구분 = 81
2.6 번역의 단계 = 82
2.6.1 이해의 단계와 읽기 = 83
2.6.2 표현의 단계와 쓰기 = 87
3. 번역의 이론 = 89
3.1 개요 = 89
3.2 번역과 번역학 연구 = 90
3.2.1 번역이란 무엇인가? = 91
3.2.2 번역과 번역학의 관계 = 97
3.2.3 번역학의 분류 = 101
3.3 제 이론의 고찰 = 105
3.3.1 역어 텍스트의 기능을 고려한 구분 = 106
3.3.2 해석적 이론과 대응식 이론 = 109
3.3.3 변환법(變換法)과 구상법(具象法)의 이해 = 115
03 번역방법과 번역텍스트 = 119
1. 번역의 종류 = 119
1.1 번역의 대상에 의한 분류 = 119
1.2 번역 기법에 의한 분류 = 119
1.2.1 책 번역 = 119
1.2.2 예술 번역 = 120
1.2.3 영상 번역 = 120
1.2.4 기계 번역 = 121
2. 번역 방법의 고찰 = 122
2.1 개요 = 122
2.2 번역 방법 = 123
2.2.1 행간번역(Interlinear Translation) = 123
2.2.2 직역(直譯)/축자역(Literal Translation) = 124
2.2.3 의역(意譯: Free Translation) = 127
2.2.4 번안 또는 개작(Adaptation) = 129
2.2.5 변환/전환(變換/轉換: Shifts/Transpositions) = 131
2.2.6 완전 번역 = 133
2.2.7 삭제(Deletion) 또는 생략(Ellipsis) = 134
2.2.8 역번역(Back-translation) = 136
2.2.9 기계번역(자동번역) = 136
3. 번역 텍스트 = 139
3.1 개요 = 139
3.2 번역 단위로써의 텍스트 = 140
3.2.1 텍스트와 번역 단위 = 140
3.2.2 텍스트의 구성 = 141
3.2.3 텍스트의 임무와 의사소통 기능 = 142
3.3 텍스트성 기준 = 143
3.3.1 결속구조(結束構造 cohesion) = 146
3.3.2 결속성(結束性 coherence) = 147
3.3.3 의도성(意圖性 intentionality) = 149
3.3.4 용인성(容認性 acceptability) = 149
3.3.5 정보성(情報性 informativity) = 150
3.3.6 상황성(狀況性 situationality) = 153
3.3.7 상호(相互) 텍스트성(intertextuality) = 155
3.4 번역 텍스트의 기타 고려사항 = 157
3.4.1 번역 텍스트의 관계와 특징 = 158
3.4.2 번역 텍스트와 언어 사용역 = 162
3.4.3 텍스트 유형 분류 = 164
제2부 번역의 준칙과 번역기법
01 번역의 전략과 번역기법 = 169
1. 번역의 일반적 준칙 = 169
1.1 번역시 고려사항 = 169
1.1.1 번역의 목적과 번역전략 = 170
1.1.2 해석과 번역 = 171
1.1.3 텍스트별 번역전략 = 173
1.1.4 문학번역과 기술번역의 차이 = 174
1.2 번역자를 위한 비망록 = 176
1.2.1 작품 번역과 번역가의 구비 조건 = 176
1.2.2 번역의 경험적 제언 = 178
1.2.3 이상적인 번역전략 = 181
2. 텍스트별 번역전략과 번역기법 = 182
2.1 전문서적의 번역 = 182
2.1.1 법률 텍스트의 번역 = 182
2.1.2 과학 텍스트의 번역 = 183
2.2 문학작품 번역 = 185
2.2.1 텍스트별 번역전략 = 185
2.2.2 번역 사례 = 188
2.3 미디어 번역 = 195
2.3.1 신문과 잡지의 번역전략 = 196
2.3.2 영화 번역전략 = 200
3. 기타 번역 기법의 소개 = 203
3.1 창조적 번역과 초월적 번역 = 203
3.2 순차번역 기법 = 204
3.3 범주화 체계차이와 어휘 간극의 중개 = 205
3.3.1 법주화 수준의 분류 = 206
3.3.2 범주 전환(category shift) = 207
3.4 청중설계와 프레임 기반 접근법 = 207
3.4.1 프레임(frames) = 208
3.4.2 번역 사례(case study) = 209
3.5 문화와 밀접한 상관어의 번역 = 211
3.5.1 정의 및 번역전략 = 211
3.5.2 번역 사례(case study) = 212
3.6 통번역에서의 제유와 환유 = 214
3.6.1 제유법의 설명 = 215
3.6.2 환유법의 방식 = 216
3.7 색채어 번역 = 217
3.8 의미 선명화와 번역문의 잉여성 = 218
3.9 주석의 사용 = 219
02 영어와 한국어간의 번역 = 221
1. 영어와 한국어간의 차이 = 221
1.1 일반 사항 = 221
1.2 상이한 어순과 격 표지 = 222
1.2.1 기본 어순의 차이 = 223
1.2.2 격-표지(case-marking) = 224
1.3 양 언어간 구조의 차이에 따른 번역 = 225
1.3.1 명사중심적 영어와 동사중심적 한국어 = 225
1.3.2 구문론(Syntax) 상의 차이와 번역 = 227
1.3.3 한국어와 영어의 수동구문 = 232
1.3.4 상이한 어휘와 음운 = 234
2. 영ㆍ한 간의 번역기법 = 237
2.1 인용문의 번역기법 = 237
2.1.1 인용문의 구성 = 237
2.1.2 한국어의 직접인용문 구분 = 238
2.2 대명사 '그' 사용의 한계 = 239
2.2.1 '그(the)'의 사용과 분류 = 239
2.2.2 번역 사례 = 240
2.3 강조 표현과 번역 기법 = 242
2.3.1 통사, 형태, 어순의 변화에 의한 강조 = 242
2.3.2 활자와 문장부호 및 기타에 의한 강조 = 243
2.4 은유법의 영한번역 = 244
2.4.1 정의와 기능 = 244
2.4.2 표현의 구분과 번역 기법 = 245
2.5 한국어와 영어의 번역 단어 수 = 250
2.5.1 정의와 단어수 비교 = 250
2.5.2 번역단어수의 차이 발생요인 = 251
2.6 외래어와 한국어의 영어 표기 = 255
2.6.1 개요 = 255
2.6.2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 257
03 번역의 품질관리 = 259
1. 번역 비평 = 259
1.1 개요 = 259
1.2 번역과 번역 비평과의 관계 = 260
1.3 번역 비평의 기준과 기본과정 = 261
1.3.1 번역 비평의 기준 = 261
1.3.2 번역 비평의 기본과정 = 262
1.3.3 문학번역의 평가 기준 = 263
1.4 오역(誤譯) = 266
1.4.1 오역의 유형분류 사례 = 267
1.4.2 오역의 원인과 감소방안 = 268
1.5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 271
1.5.1 좋은 번역의 정의 = 271
1.5.2 좋은 번역의 기대조건 = 272
2. 번역물 품질관리 고찰 = 273
2.1 통번역사의 자격관리 = 273
2.2 통번역사의 자격관리 제도 = 274
2.2.1 통역사 인증제도 = 274
2.2.2 국내 대학의 통번역 종합/인증제도 = 275
2.3 번역물 품질관리 소고 = 276
2.3.1 실태 = 276
2.3.2 번역물 품질관리 방안 = 276
3. 통번역사 재교육 = 282
3.1 재교육을 위한 교육 소요 = 282
3.1.1 통번역사를 위한 교육 소요 = 283
3.1.2 통번역의 실무와 이론교육과의 관계 = 286
3.2 통번역사 재교육의 방법론 = 287
3.2.1 코퍼스를 이용한 LB언어 구사능력의 제고 = 287
3.2.2 제2 언어의 번역 교육 모델 제시 활용 = 288
3.2.3 e-학습(e-learning)과 번역자 교육 = 288
3.2.4 의사결정 교육 = 290
제3부 통역의 이론
01 통역의 이론과 통역과정 = 295
1. 통번역의 전제와 통역 이론 = 295
1.1 양질의 통번역을 위한 전제 = 296
1.1.1 작은 약속과 생활 표현 = 296
1.1.2 언어 사용의 차이 = 296
1.1.3 관용어구 = 297
1.1.4 의미선정 = 297
1.2 통역의 이론 소고 = 298
1.2.1 탈언어화 = 299
1.2.2 정신적인 표상 = 300
1.3 문장 범주와 통역의 과정 = 301
1.3.1 6개의 문장 범주 = 301
1.3.2 통역의 과정 = 303
2. 통번역 방법의 선택 = 306
2.1 변환법과 구상법의 활용 = 306
2.2 전달 정보의 선택과 활용 = 307
3. 통역 방식 = 308
3.1 시간차의 정도에 따라 분류 = 308
3.1.1 동시통역과 순차통역의 차이 = 308
3.1.2 순차통역(Consecutive Interpretation) = 310
3.1.3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ation) = 315
3.2 발화자의 숫자를 기준 = 322
3.2.1 연설통역 = 322
3.2.2 대화통역 = 323
02 통역과 번역의 차이와 교육방법 = 329
1. 통역과 번역의 차이 = 329
1.1 통역과 번역을 구분하는 이유 = 331
1.2 동시통역과 번역의 차이 = 331
1.2.1 정보처리 과정의 차이 = 331
1.2.2 입력모드에서의 차이 = 332
1.2.3 즉시성과 어휘의 선택 = 332
1.2.4 형태적 완성도의 추구 = 333
1.2.5 의사 결정의 차이 = 333
1.2.6 단축형의 사용과 분할의 단위 = 334
1.3 통번역의 종류와 특성 = 334
2. 동시통역의 교육방법 = 335
2.1 동시통역의 기초연습 = 335
2.2 단계적인 학습 = 337
2.3 정보처리 훈련 = 337
2.4 예측과 포괄하기(chungking) 훈련 = 338
2.5 최소주의 문법에 의한 통역전략 = 339
03 통역오류와 평가 = 341
1. 통역오류와 대응방안 = 341
1.1 동시통역 시 난역성의 극복 방안 = 341
1.1.1 어순의 재구성과 전향식 문장구역 = 342
1.1.2 오류, 휴지의 발생과 생략 = 343
1.1.3 듣기ㆍ말하기의 동시 분리 수행 = 348
1.2 모국어 영향에 의한 통역 오류와 대응방안 = 349
1.2.1 문화적 차이로 인한 오류 = 349
1.2.2 직역에 의한 오류 = 349
1.2.3 문법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오류 = 350
2. 통역평가 = 350
2.1 통역평가란? = 350
2.2 통역등가 기준 = 351
2.3 해석이론의 다섯 가지 등가 기준 = 353
2.4 사용자에 의한 통역평가 = 353
제4부 현황분석과 제안사항
01 한국통번역의 문제점 분석 = 357
1. 한국 통번역의 현황 = 357
2. 기타 문제점 분석 = 359
2.1 통번역에서의 주요 문제점 점토 = 359
2.1.1 번역가와 작품 선정 = 359
2.1.2 번역의 평가 기준과 품질향상 = 360
2.2 교육 관련사항 = 360
2.2.1 학교 교육 = 361
2.2.2 통번역사 재교육 = 365
02 통번역 문화의 제고방안 = 367
1. 현실 인식의 중요성 = 367
2. 기타 제안 사항 = 368
2.1 한국 고전의 번역 = 368
2.2 번역학의 정립 = 369
2.2.1 학문으로써의 번역학의 체계화 = 369
2.2.2 술어 번역의 체계화 = 370
2.2.3 공동연구의 필요성 = 371
2.3 번역비평의 제도화 = 371
2.4 외국어 교육의 급진적 개혁 = 372
2.5 인터넷 기반 번역 교육의 활용 = 373
2.6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번역지원 = 373
2.6.1 전문 교육 및 감독기관의 설립 = 374
2.6.2 번역물의 종합 관리시스템 수립 = 375
2.7 기타 지원 = 375
2.7.1 외국어 사전의 제작 지원 = 375
2.7.2 풍부한 도서의 공급 = 376
결론 = 377
〈부록 1〉번역가 헌장(The Translator's Charter) = 378
〈부록 2〉영어와 한국어의 구조 차이 비교 = 387
〈부록 3(1)〉새 로마자 표기법 = 392
〈부록 3(2)〉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해설 = 398
참고문헌 = 406
찾아보기 =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