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글 = 4
Ⅰ. 놀이치료 = 12
1. 놀이치료란 무엇인가? = 12
2. 아동상담과 놀이치료는 어떻게 다른가? = 14
3. 놀이치료는 누가 받나? = 16
4. 놀이치료는 어떻게 하나? = 19
5. 놀이치료는 누가 하나? = 23
Ⅱ. 아동의 심리 행동적 문제 = 25
1. 심리 행동적 문제란 무엇인가? = 26
2. 문제를 보는 기준은 무엇인가? = 29
3. 문제의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32
발달에 장애가 있는 아동 = 32
주의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아동 = 40
반항적인 아동 = 43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불안해하는 아동 = 44
우울해 보이는 아동 = 46
틱 증상을 보이는 아동 = 47
밤에 오줌을 싸거나,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동 = 50
집 밖에 나가서는 말을 하지 않으려는 아동 = 52
밤에 자다가 자주 깨서 우는 아동 = 52
사고 후 정서적인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 54
Ⅲ. 심리 행동문제의 진단과 평가 = 55
1. 아동평가 = 57
2. 부모 면담 = 61
3. 아동 심리검사 = 64
4. 부모를 위한 심리검사 = 68
Ⅳ. 놀이치료 진행과정 = 69
1. 접수면접 = 70
2. 아동관찰 및 놀이평가 = 73
3. 부모면담 = 76
4. 문제 평가 = 78
5. 초기 치료 = 80
6. 중기 치료 = 85
7. 후기 치료 = 90
8. 종결 준비 = 92
Ⅴ. 치료 시 부모역할과 부모상담 = 95
1. 부모상담의 중요성 = 96
2. 부모상담의 방법과 절차 = 101
3. 부모변화와 치료 효과 = 106
4. 가족 상담 = 110
5. 학교 선생님과의 협조 = 113
6. 의사 선생님과의 협조 = 117
Ⅵ. 놀이치료과정에서 부모들이 궁금해 하는 열 가지 = 119
1. 놀이치료를 하면 정말 좋아지기는 하나요? = 120
2. 치료 기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 121
3. 치료비용은 왜 기관마다 다른가요? = 122
4. 집에서 하는 놀이와 무엇이 다르죠? = 122
5. 부모도 상담이 필요한건가요? = 124
6. 놀이 치료하는 것을 볼 수 있나요? 놀이치료실에서 있었던 일을 아이에게 물어봐도 되나요? = 125
7. 놀이치료를 하고 있는데 왜 안 하던 행동들이 보이는 건가요? 다시 나빠지는 게 아닌가요? = 126
8. 유치원 및 초등학교 담임선생님께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이야기해야 할까요? = 128
9.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요? 종결은 언제 하는 건가요? = 129
10. 놀이치료를 종결한 후에 문제 행동이 다시 생기지는 않나요? = 130
Ⅶ. 놀이치료사가 부모에게 바라는 열 가지 = 131
1. 아이가 좋아질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이 중요합니다 = 132
2. 놀이치료사를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3
3. 정해진 놀이치료시간에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4
4. 아동의 문제를 치료사에게만 맡긴다는 생각이 아닌, 아동과 치료사 그리고 부모의 적극적인 협조가 중요합니다 = 135
5. 부모와 함께 놀이치료를 받으러 오고, 가는 시간에는 아주 서로 즐거워야 합니다. 이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은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136
6. 아이를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가슴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7
7. 놀이치료과정 중 치료사가 부모 및 가족에게 제안하는 것을 수용하여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8
8. 치료의 종결은 부모님 혼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며, 반드시 치료사 그리고 아동과 상의하여 결정하셔야 합니다 = 140
9. 놀이치료과정 중 가족 및 아동에게 문제가 생긴 경우 부모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상담자와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 141
10. 치료 종결 후에도 필요시 아동의 문제를 상담자와 함께 나누는 것은 중요합니다 = 142
Ⅷ. 놀이치료기관과 놀이치료사 = 143
1. 놀이치료는 어디서 하나요? = 144
2. 한국놀이치료학회는 어떤 기관인가요? = 145
3. 놀이치료사 자격은 어떻게 취득하나요? = 147
Ⅸ. 놀이치료사례 = 151
1. 우울하고 불안한 아동 = 152
2. 친구에게 관심이 없는 아동 = 163
3. 부모자녀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 = 173
부록 : 놀이치료 관련도서 = 183
1. 놀이치료 관련 도서 = 184
2. 놀이치료 관련 연구목록 = 187
3. 놀이치료 기관 = 193
Ⅰ. 놀이치료 = 12
1. 놀이치료란 무엇인가? = 12
2. 아동상담과 놀이치료는 어떻게 다른가? = 14
3. 놀이치료는 누가 받나? = 16
4. 놀이치료는 어떻게 하나? = 19
5. 놀이치료는 누가 하나? = 23
Ⅱ. 아동의 심리 행동적 문제 = 25
1. 심리 행동적 문제란 무엇인가? = 26
2. 문제를 보는 기준은 무엇인가? = 29
3. 문제의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 32
발달에 장애가 있는 아동 = 32
주의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아동 = 40
반항적인 아동 = 43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불안해하는 아동 = 44
우울해 보이는 아동 = 46
틱 증상을 보이는 아동 = 47
밤에 오줌을 싸거나,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동 = 50
집 밖에 나가서는 말을 하지 않으려는 아동 = 52
밤에 자다가 자주 깨서 우는 아동 = 52
사고 후 정서적인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 54
Ⅲ. 심리 행동문제의 진단과 평가 = 55
1. 아동평가 = 57
2. 부모 면담 = 61
3. 아동 심리검사 = 64
4. 부모를 위한 심리검사 = 68
Ⅳ. 놀이치료 진행과정 = 69
1. 접수면접 = 70
2. 아동관찰 및 놀이평가 = 73
3. 부모면담 = 76
4. 문제 평가 = 78
5. 초기 치료 = 80
6. 중기 치료 = 85
7. 후기 치료 = 90
8. 종결 준비 = 92
Ⅴ. 치료 시 부모역할과 부모상담 = 95
1. 부모상담의 중요성 = 96
2. 부모상담의 방법과 절차 = 101
3. 부모변화와 치료 효과 = 106
4. 가족 상담 = 110
5. 학교 선생님과의 협조 = 113
6. 의사 선생님과의 협조 = 117
Ⅵ. 놀이치료과정에서 부모들이 궁금해 하는 열 가지 = 119
1. 놀이치료를 하면 정말 좋아지기는 하나요? = 120
2. 치료 기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 121
3. 치료비용은 왜 기관마다 다른가요? = 122
4. 집에서 하는 놀이와 무엇이 다르죠? = 122
5. 부모도 상담이 필요한건가요? = 124
6. 놀이 치료하는 것을 볼 수 있나요? 놀이치료실에서 있었던 일을 아이에게 물어봐도 되나요? = 125
7. 놀이치료를 하고 있는데 왜 안 하던 행동들이 보이는 건가요? 다시 나빠지는 게 아닌가요? = 126
8. 유치원 및 초등학교 담임선생님께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이야기해야 할까요? = 128
9.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요? 종결은 언제 하는 건가요? = 129
10. 놀이치료를 종결한 후에 문제 행동이 다시 생기지는 않나요? = 130
Ⅶ. 놀이치료사가 부모에게 바라는 열 가지 = 131
1. 아이가 좋아질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이 중요합니다 = 132
2. 놀이치료사를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3
3. 정해진 놀이치료시간에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4
4. 아동의 문제를 치료사에게만 맡긴다는 생각이 아닌, 아동과 치료사 그리고 부모의 적극적인 협조가 중요합니다 = 135
5. 부모와 함께 놀이치료를 받으러 오고, 가는 시간에는 아주 서로 즐거워야 합니다. 이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은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136
6. 아이를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가슴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7
7. 놀이치료과정 중 치료사가 부모 및 가족에게 제안하는 것을 수용하여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38
8. 치료의 종결은 부모님 혼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며, 반드시 치료사 그리고 아동과 상의하여 결정하셔야 합니다 = 140
9. 놀이치료과정 중 가족 및 아동에게 문제가 생긴 경우 부모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상담자와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 141
10. 치료 종결 후에도 필요시 아동의 문제를 상담자와 함께 나누는 것은 중요합니다 = 142
Ⅷ. 놀이치료기관과 놀이치료사 = 143
1. 놀이치료는 어디서 하나요? = 144
2. 한국놀이치료학회는 어떤 기관인가요? = 145
3. 놀이치료사 자격은 어떻게 취득하나요? = 147
Ⅸ. 놀이치료사례 = 151
1. 우울하고 불안한 아동 = 152
2. 친구에게 관심이 없는 아동 = 163
3. 부모자녀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 = 173
부록 : 놀이치료 관련도서 = 183
1. 놀이치료 관련 도서 = 184
2. 놀이치료 관련 연구목록 = 187
3. 놀이치료 기관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