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 4
서문 : '역사인식'논쟁이란 무엇인가? / 다카하시 데쓰야 = 6
제Ⅰ부 좌담
'역사인식'논쟁, 무엇이 문제인가? / 다카하시 데쓰야 ; 테사 모리스-스즈키 ; 이시다 다케시 ; 우카이 사토시) = 17
제Ⅱ부 현재 일본의 '역사인식'을 둘서싼 논쟁ㆍ논의
1.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논쟁ㆍ논의, 그 역사와 현재 = 79
전후 '일본인'의 역사인식/전쟁관의 변천 / 요시다 유타카 = 79
현재의 '역사인식' 논쟁을 둘러싼 상황과 논점 / 다카하시 데쓰야 = 92
2. 지금 어떤 논쟁ㆍ논의가 전개되고 있는가? = 116
1) 네오 내셔널리즘과의 투쟁 = 116
'역사교과서' 논쟁/투쟁 / 오우치 히로카즈 = 116
'히노마루ㆍ기미가요' 논쟁 / 이타가키 류타 = 122
'야스쿠니 신사' 논쟁 : 전사자와 국가 / 모리나카 다카아키 = 129
2) 기억과 증언을 둘러싸고 = 143
'종군위안부'를 둘러싼 논쟁ㆍ논의 / 송연옥 = 143
'역사주체' 논쟁과 그 이후 : '윤리주의'가 아니라면 어떻게? / 이와사키 미노루 = 149
영화「쇼아」와「낮은 목소리」가 남긴 것 / 호소미 가즈유키 = 156
고바야시 요시노리의『전쟁론』,『대만론』,『신전쟁론』: 일본 내셔널리즘의 자기인식의 현재 / 마루카와 테쓰시 = 163
'난징대학살' 논쟁 / 구쓰와다 류조 = 169
3) ' 전후적 이념'의 역사인식을 묻는다 = 176
'반전ㆍ평화 사상/운동'에서의 역사인식 / 이시다 다케시 = 176
'전후 사회과학'에서의 역사인식 / 강상중 = 183
'제국'과 페미니즘 / 이게타 미도리 = 190
4) 마이너리티를 둘러싸고 = 196
'오키나와'를 둘러싼 논쟁ㆍ논의 : 평화자료관 문제/오키나와 이니셔티브 논쟁/오키나와 연구학회에서 황족의 기념강연 문제 / 야카비 오사무 = 196
'역사인식'논쟁과 피차별 마이너리티 = 203
총론 : 승인과 구제의 법적 주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 도모쓰네 쓰토무 = 203
재일한국ㆍ조선인 문제 : 봉쇄당해온 코리안의 목소리 / 손마쓰코 = 210
피차별부락 문제 : 부락 문제를 둘러싼 역사인식의 전환 / 아사지 다케시 = 214
아이누 문제 : 아이누 민족으로부터의 제안 / 하세가와 유키 = 220
미나마타병 문제 : 사건사 인식과 현재 / 지쓰카와 유타 = 224
지쿠호 문제 : 지쿠호를 달려 내뺀 일본의 근대 / 세키구치 히로시 = 229
제Ⅲ부 좌담
탈냉정과 전지구화 시대의 '역사인식'을 생각한다 : 21세기의 일본에서 '희망'은 만들어질 수 있는가? / 요네타니 마사후미 ; 마루카와 데쓰시 ; 오카노 야요 ; 김부자 ; 다카하시 데쓰야 ; 이효덕 = 235
제Ⅳ부 전지구화와 '역사인식'을 둘러싼 논쟁ㆍ논의
1. '과거의 극복' 문제의 전지구화 = 305
총론 : 유럽ㆍ아시아ㆍ세계 - '이중잣대'를 극복할 수 있는가 / 다카하시 데쓰야 = 305
독일 - 지금까지 계속되는 고뇌의 질문 / 가지무라 다이치로 = 322
프랑스 - 유대인ㆍ아랍인ㆍ프랑스인 / 와타나베 가즈유키 = 329
'인도적 개입'과 '인도에 대한 죄' / 마쓰바 쇼이치 = 334
민간법정 - 국가를 넘어선 전쟁책임 추궁은 가능한가? / 마에다 아키라 = 340
인터뷰 : '역사인식' 논쟁과 미일관계 / 빅터 코쉬만 = 347
2. 탈냉전기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새로운 논의 = 354
총론 : 동아시아의 초국가적 역사인식/응답책임을 향하여 / 요네타니 마사후미 = 354
탈식민주의와 역사기술의 책임 / 도베 히데아키 = 361
'식민지성'과 '근대성'의 공범과 갈등 관계 : 식민지 조선의 대일협력과 관련하여 / 조경희 = 367
식민지체제의 유산과 민간인 학살 / 최덕효 = 373
아시아 교역권ㆍ노동력 이동론의 충격 / 가라시마 마사토 = 384
동아시아 시민운동의 전지구화 / 모토하시 데쓰야 = 390
3. 지금 동아시아에서는 어떤 논쟁ㆍ논의가 진행되고 있는가? = 396
총론 : 동아시아의 탈냉전화와 '역사인식' 논쟁ㆍ논의의 활성화 / 마루카와 데쓰시 = 396
한국 - 비판과 연대를 위한 '역사/인식' / 조관자 = 403
대만 -『대만론』이 연 역사인식의 새로운 전개 / 혼다 지카후미 = 411
중국 - 근대의 발걸음을 되묻다 / 스즈키 마사히사 = 419
인터뷰 : '동아시아'는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가? / 쑨꺼 = 428
제Ⅴ부 '역사인식'을 고찰하기 위한 기본도서 45선 = 411
집필자 소개 = 461
옮긴이 후기 = 472
한국어판 서문 = 4
서문 : '역사인식'논쟁이란 무엇인가? / 다카하시 데쓰야 = 6
제Ⅰ부 좌담
'역사인식'논쟁, 무엇이 문제인가? / 다카하시 데쓰야 ; 테사 모리스-스즈키 ; 이시다 다케시 ; 우카이 사토시) = 17
제Ⅱ부 현재 일본의 '역사인식'을 둘서싼 논쟁ㆍ논의
1. 전후 일본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논쟁ㆍ논의, 그 역사와 현재 = 79
전후 '일본인'의 역사인식/전쟁관의 변천 / 요시다 유타카 = 79
현재의 '역사인식' 논쟁을 둘러싼 상황과 논점 / 다카하시 데쓰야 = 92
2. 지금 어떤 논쟁ㆍ논의가 전개되고 있는가? = 116
1) 네오 내셔널리즘과의 투쟁 = 116
'역사교과서' 논쟁/투쟁 / 오우치 히로카즈 = 116
'히노마루ㆍ기미가요' 논쟁 / 이타가키 류타 = 122
'야스쿠니 신사' 논쟁 : 전사자와 국가 / 모리나카 다카아키 = 129
2) 기억과 증언을 둘러싸고 = 143
'종군위안부'를 둘러싼 논쟁ㆍ논의 / 송연옥 = 143
'역사주체' 논쟁과 그 이후 : '윤리주의'가 아니라면 어떻게? / 이와사키 미노루 = 149
영화「쇼아」와「낮은 목소리」가 남긴 것 / 호소미 가즈유키 = 156
고바야시 요시노리의『전쟁론』,『대만론』,『신전쟁론』: 일본 내셔널리즘의 자기인식의 현재 / 마루카와 테쓰시 = 163
'난징대학살' 논쟁 / 구쓰와다 류조 = 169
3) ' 전후적 이념'의 역사인식을 묻는다 = 176
'반전ㆍ평화 사상/운동'에서의 역사인식 / 이시다 다케시 = 176
'전후 사회과학'에서의 역사인식 / 강상중 = 183
'제국'과 페미니즘 / 이게타 미도리 = 190
4) 마이너리티를 둘러싸고 = 196
'오키나와'를 둘러싼 논쟁ㆍ논의 : 평화자료관 문제/오키나와 이니셔티브 논쟁/오키나와 연구학회에서 황족의 기념강연 문제 / 야카비 오사무 = 196
'역사인식'논쟁과 피차별 마이너리티 = 203
총론 : 승인과 구제의 법적 주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 도모쓰네 쓰토무 = 203
재일한국ㆍ조선인 문제 : 봉쇄당해온 코리안의 목소리 / 손마쓰코 = 210
피차별부락 문제 : 부락 문제를 둘러싼 역사인식의 전환 / 아사지 다케시 = 214
아이누 문제 : 아이누 민족으로부터의 제안 / 하세가와 유키 = 220
미나마타병 문제 : 사건사 인식과 현재 / 지쓰카와 유타 = 224
지쿠호 문제 : 지쿠호를 달려 내뺀 일본의 근대 / 세키구치 히로시 = 229
제Ⅲ부 좌담
탈냉정과 전지구화 시대의 '역사인식'을 생각한다 : 21세기의 일본에서 '희망'은 만들어질 수 있는가? / 요네타니 마사후미 ; 마루카와 데쓰시 ; 오카노 야요 ; 김부자 ; 다카하시 데쓰야 ; 이효덕 = 235
제Ⅳ부 전지구화와 '역사인식'을 둘러싼 논쟁ㆍ논의
1. '과거의 극복' 문제의 전지구화 = 305
총론 : 유럽ㆍ아시아ㆍ세계 - '이중잣대'를 극복할 수 있는가 / 다카하시 데쓰야 = 305
독일 - 지금까지 계속되는 고뇌의 질문 / 가지무라 다이치로 = 322
프랑스 - 유대인ㆍ아랍인ㆍ프랑스인 / 와타나베 가즈유키 = 329
'인도적 개입'과 '인도에 대한 죄' / 마쓰바 쇼이치 = 334
민간법정 - 국가를 넘어선 전쟁책임 추궁은 가능한가? / 마에다 아키라 = 340
인터뷰 : '역사인식' 논쟁과 미일관계 / 빅터 코쉬만 = 347
2. 탈냉전기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새로운 논의 = 354
총론 : 동아시아의 초국가적 역사인식/응답책임을 향하여 / 요네타니 마사후미 = 354
탈식민주의와 역사기술의 책임 / 도베 히데아키 = 361
'식민지성'과 '근대성'의 공범과 갈등 관계 : 식민지 조선의 대일협력과 관련하여 / 조경희 = 367
식민지체제의 유산과 민간인 학살 / 최덕효 = 373
아시아 교역권ㆍ노동력 이동론의 충격 / 가라시마 마사토 = 384
동아시아 시민운동의 전지구화 / 모토하시 데쓰야 = 390
3. 지금 동아시아에서는 어떤 논쟁ㆍ논의가 진행되고 있는가? = 396
총론 : 동아시아의 탈냉전화와 '역사인식' 논쟁ㆍ논의의 활성화 / 마루카와 데쓰시 = 396
한국 - 비판과 연대를 위한 '역사/인식' / 조관자 = 403
대만 -『대만론』이 연 역사인식의 새로운 전개 / 혼다 지카후미 = 411
중국 - 근대의 발걸음을 되묻다 / 스즈키 마사히사 = 419
인터뷰 : '동아시아'는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가? / 쑨꺼 = 428
제Ⅴ부 '역사인식'을 고찰하기 위한 기본도서 45선 = 411
집필자 소개 = 461
옮긴이 후기 =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