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1. Garry Landreth: 나에 대해서 = 17
2. 놀이의 의미 = 25
놀이의 기능 = 27
상징적인 놀이 = 29
놀이를 통한 아동들의 의사소통 = 31
치료적 과정에서의 놀이 = 33
놀이치료 과정에서의 단계 = 37
적응 아동과 부적응 아동의 놀이 = 40
3. 놀이치료의 역사와 발전 = 45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48
이완놀이치료 = 51
관계놀이치료 = 53
비지시적 놀이치료 = 54
초등학교에서의 놀이치료 = 55
국제놀이치료학회 = 57
대학에서의 훈련 과정 = 57
놀이치료센터 = 58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 = 58
놀이치료의 추세 = 59
놀이치료 효과 = 62
4. 아동에 대한 관점 = 71
어린 아동과의 관계에 대한 신조 = 73
아동은 탄력적이다 = 75
어떤 아동은 팝콘 같고 어떤 아동은 당밀같다 = 77
5. 아동중심 놀이치료 = 79
성격 이론 = 82
성격과 행동의 아동중심적 관점 = 85
주요 개념 = 86
적응과 부적응 = 89
성장하기 위한 치료적 조건 = 91
치료적 관계 = 99
목표 = 107
놀이치료에서의 아동이 배우는 것 = 109
6. 놀이치료자 = 115
차이 만들기 = 118
함께하기 = 119
성격 특성 = 120
치료자의 자기이해 = 123
치료자의 자기수용 = 126
놀이치료자의 역할 = 129
라이언-놀이치료에서 죽어 가는 소년 = 131
슈퍼비전을 통한 자기통찰의 촉진 = 136
초보 놀이치료자의 내적 노력 = 138
추천할 만한 훈련 프로그램 = 140
7. 놀이방과 놀이도구 = 145
놀이방의 위치 = 147
놀이방의 크기 = 148
놀이방의 특징 = 149
놀이치료를 위한 그밖의 다른 장소 = 151
합리적인 놀잇감과 도구 선택 = 153
놀잇감의 범주 = 158
토트백 놀이방 = 162
놀이방에 추천할 만한 놀잇감과 도구 = 163
특별히 고려해야 할 점 = 165
학교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이름 = 166
학교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 167
8. 놀이치료 과정에서의 부모 참여 = 169
배경 정보 = 171
부모가 치료에 참여해야 하는가 = 173
부모 면담 = 176
법적 후견인의 허락을 구하는 것 = 184
정신과 의뢰 = 184
부모에게 놀이치료 설명하기 = 185
분리에 대해 부모를 준비시키기 = 188
9. 관계의 시작: 아동의 시간 = 191
관계의 목표 = 194
아동과 접촉하기 = 196
대기실에서의 첫 만남 = 198
놀이방에서의 관계 구조화 = 202
치료받기를 싫어하고 불안해하는 아동 = 206
놀이치료 관계에 대한 아동의 관점 = 208
아동의 질문에 적절히 반응하는 기법 = 213
일방경과 기록에 대한 설명하기 = 221
놀이치료 동안에 기록하기 = 223
첫 놀이치료 시간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반응 = 224
관계의 기본적인 차원 = 225
10. 촉진적 반응의 특징 = 229
민감한 이해: 함께하기 = 231
돌봄적 수용 = 232
구체적인 치료적 반응 = 234
촉진적 반응 = 238
아동에게 책임을 돌려주기 = 243
대표적인 비촉진적 반응 = 247
폴 - 두려움을 행동화하는 아동 = 254
11. 치료적 제한 설정 = 267
제한 설정의 기본 지침 = 269
언제 제한을 제시할 것인가 = 271
치료적 제한의 이론적 근거 = 272
치교적 제한 설정의 절차 = 281
치료적 제한 설정 과정의 단계 = 282
제한이 깨졌을 때 = 285
제한 설정의 유보 = 287
상황적 제한 = 288
제한 설정에 대해 치료자의 반응하기 = 294
12. 놀이방에서의 문제 = 297
아동이 침묵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299
아동이 놀이방에 장난감이나 음식을 가지고 들어가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1
아동이 지나치게 의존적이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3
아동이 계속 칭찬받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4
아동이 치료자가 이상하다고 말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7
치료자에게 알아맞히기 게임을 하자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8
아동이 애정 표현을 요구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9
아동이 치료자를 껴안거나 무릎에 앉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1
아동이 장난감을 훔치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3
아동이 놀이방에서 나가지 않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5
치료자가 약속을 지킬수 없게 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6
13. 놀이치료의 이슈 = 319
비밀 보장 = 321
아동놀이에 참여하는 것 = 323
아동에게서 선물을 받는것 = 327
아동에게 회기가 끝날 때 상을 주거나 마지막에 기념품을 주는 것 = 329
아동에게 정리하도록 시키는 것 = 330
놀이치료받는 이유를 아동에게 알리는 것 = 333
놀이방에 친구를 데려오는 것 = 334
놀이방에 부모나 형제를 초대하는 것 = 337
14. 집중적 단기놀이치료 = 339
집중적 놀이치료 = 341
단기놀이치료 = 344
요약 = 347
15. 놀이치료 받는 아동 = 351
낸시 - 대머리에서 곱슬머리로 = 354
놀이치료에서의 낸시 = 355
신디 - 조종하는 아이 = 361
에이미 - 선택적 함묵증 아동 = 370
에이미의 통제 욕구 = 377
형제 놀이치료의 중요성 = 379
요약 = 380
16. 치료 과정의 종결과 종료 = 383
상담 과정 내에서 일어나는 치료적 움직임의 결정 = 385
변화의 차원 = 387
종료의 의미 = 389
종료 결정의 참고할 점 = 391
관계 종결에 대한 절차 = 393
마지막 회기에 대한 아동의 반응 = 395
17.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 놀이치료기술을 이용한 부모-자녀 관계 훈련 = 399
부모 효율성 = 402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의 역사적 발전 = 403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의 과정 = 405
부모의 선택 = 409
훈련을 위한 집단 구성 = 411
훈련시간의 구조와 내용 = 413
연구와 평가 = 423
찾아보기 = 429
0.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1. Garry Landreth: 나에 대해서 = 17
2. 놀이의 의미 = 25
놀이의 기능 = 27
상징적인 놀이 = 29
놀이를 통한 아동들의 의사소통 = 31
치료적 과정에서의 놀이 = 33
놀이치료 과정에서의 단계 = 37
적응 아동과 부적응 아동의 놀이 = 40
3. 놀이치료의 역사와 발전 = 45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 48
이완놀이치료 = 51
관계놀이치료 = 53
비지시적 놀이치료 = 54
초등학교에서의 놀이치료 = 55
국제놀이치료학회 = 57
대학에서의 훈련 과정 = 57
놀이치료센터 = 58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 = 58
놀이치료의 추세 = 59
놀이치료 효과 = 62
4. 아동에 대한 관점 = 71
어린 아동과의 관계에 대한 신조 = 73
아동은 탄력적이다 = 75
어떤 아동은 팝콘 같고 어떤 아동은 당밀같다 = 77
5. 아동중심 놀이치료 = 79
성격 이론 = 82
성격과 행동의 아동중심적 관점 = 85
주요 개념 = 86
적응과 부적응 = 89
성장하기 위한 치료적 조건 = 91
치료적 관계 = 99
목표 = 107
놀이치료에서의 아동이 배우는 것 = 109
6. 놀이치료자 = 115
차이 만들기 = 118
함께하기 = 119
성격 특성 = 120
치료자의 자기이해 = 123
치료자의 자기수용 = 126
놀이치료자의 역할 = 129
라이언-놀이치료에서 죽어 가는 소년 = 131
슈퍼비전을 통한 자기통찰의 촉진 = 136
초보 놀이치료자의 내적 노력 = 138
추천할 만한 훈련 프로그램 = 140
7. 놀이방과 놀이도구 = 145
놀이방의 위치 = 147
놀이방의 크기 = 148
놀이방의 특징 = 149
놀이치료를 위한 그밖의 다른 장소 = 151
합리적인 놀잇감과 도구 선택 = 153
놀잇감의 범주 = 158
토트백 놀이방 = 162
놀이방에 추천할 만한 놀잇감과 도구 = 163
특별히 고려해야 할 점 = 165
학교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이름 = 166
학교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 167
8. 놀이치료 과정에서의 부모 참여 = 169
배경 정보 = 171
부모가 치료에 참여해야 하는가 = 173
부모 면담 = 176
법적 후견인의 허락을 구하는 것 = 184
정신과 의뢰 = 184
부모에게 놀이치료 설명하기 = 185
분리에 대해 부모를 준비시키기 = 188
9. 관계의 시작: 아동의 시간 = 191
관계의 목표 = 194
아동과 접촉하기 = 196
대기실에서의 첫 만남 = 198
놀이방에서의 관계 구조화 = 202
치료받기를 싫어하고 불안해하는 아동 = 206
놀이치료 관계에 대한 아동의 관점 = 208
아동의 질문에 적절히 반응하는 기법 = 213
일방경과 기록에 대한 설명하기 = 221
놀이치료 동안에 기록하기 = 223
첫 놀이치료 시간에 대한 놀이치료자의 반응 = 224
관계의 기본적인 차원 = 225
10. 촉진적 반응의 특징 = 229
민감한 이해: 함께하기 = 231
돌봄적 수용 = 232
구체적인 치료적 반응 = 234
촉진적 반응 = 238
아동에게 책임을 돌려주기 = 243
대표적인 비촉진적 반응 = 247
폴 - 두려움을 행동화하는 아동 = 254
11. 치료적 제한 설정 = 267
제한 설정의 기본 지침 = 269
언제 제한을 제시할 것인가 = 271
치료적 제한의 이론적 근거 = 272
치교적 제한 설정의 절차 = 281
치료적 제한 설정 과정의 단계 = 282
제한이 깨졌을 때 = 285
제한 설정의 유보 = 287
상황적 제한 = 288
제한 설정에 대해 치료자의 반응하기 = 294
12. 놀이방에서의 문제 = 297
아동이 침묵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299
아동이 놀이방에 장난감이나 음식을 가지고 들어가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1
아동이 지나치게 의존적이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3
아동이 계속 칭찬받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4
아동이 치료자가 이상하다고 말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7
치료자에게 알아맞히기 게임을 하자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8
아동이 애정 표현을 요구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09
아동이 치료자를 껴안거나 무릎에 앉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1
아동이 장난감을 훔치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3
아동이 놀이방에서 나가지 않으려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5
치료자가 약속을 지킬수 없게 되면 어떻게 할 것인가 = 316
13. 놀이치료의 이슈 = 319
비밀 보장 = 321
아동놀이에 참여하는 것 = 323
아동에게서 선물을 받는것 = 327
아동에게 회기가 끝날 때 상을 주거나 마지막에 기념품을 주는 것 = 329
아동에게 정리하도록 시키는 것 = 330
놀이치료받는 이유를 아동에게 알리는 것 = 333
놀이방에 친구를 데려오는 것 = 334
놀이방에 부모나 형제를 초대하는 것 = 337
14. 집중적 단기놀이치료 = 339
집중적 놀이치료 = 341
단기놀이치료 = 344
요약 = 347
15. 놀이치료 받는 아동 = 351
낸시 - 대머리에서 곱슬머리로 = 354
놀이치료에서의 낸시 = 355
신디 - 조종하는 아이 = 361
에이미 - 선택적 함묵증 아동 = 370
에이미의 통제 욕구 = 377
형제 놀이치료의 중요성 = 379
요약 = 380
16. 치료 과정의 종결과 종료 = 383
상담 과정 내에서 일어나는 치료적 움직임의 결정 = 385
변화의 차원 = 387
종료의 의미 = 389
종료 결정의 참고할 점 = 391
관계 종결에 대한 절차 = 393
마지막 회기에 대한 아동의 반응 = 395
17.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 놀이치료기술을 이용한 부모-자녀 관계 훈련 = 399
부모 효율성 = 402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의 역사적 발전 = 403
부모-자녀 관계 증진 치료의 과정 = 405
부모의 선택 = 409
훈련을 위한 집단 구성 = 411
훈련시간의 구조와 내용 = 413
연구와 평가 = 423
찾아보기 = 429